[전체] “신량역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52)
- 신량역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양인 신분이면서 천역에 종사하던 부류. [내용] 고려시대 이래 봉수간(烽燧干)‧염간(鹽干)‧진척(津尺)‧화척(禾尺)‧양수척(楊水尺) 등 칭간‧칭척자를 신량역천이라 하였다. 이들의 신분은 양인이었지만 누구나 기피하는 고된 역에 종사하였다....
- 신량역천(身良役賤)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신량역천 신량역천 身良役賤 칭간자(稱干者), 칭척자(稱尺者), 칭간칭척자(稱干稱尺者), 보충군(補充軍) 경제재정/역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송양섭 [정의] 조선초기...관련어칭간자(稱干者), 칭척자(稱尺者), 칭간칭척자(稱干稱尺者), 보충군(補充軍)
- 관선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역에 동원되는 수군을 담당하였으며, 조운의 물량이 많을 때에는 양민의 배도 강제 징발하는 등 민폐를 많이 끼쳤다. [의의와 평가] 이와 같은 관선전군의 임무변천은 고려말 왜구의 토벌을 위하여 조직된 수군이 결국 과중한 역에 시달리면서 신량역천화(身良役賤化...
- 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채소밭 가꾸는 사람을 원두간(園頭干)이라 하고, 고기 잡는 해민(海民)을 포자간(捕鮓干)이라 하는 따위이다”라고 했듯이, 당시의 간칭호자(干稱號者)는 염간(鹽干)‧철간(鐵干)과 같이 신량역천(身良役賤)의 신분으로 변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이칭별칭한(汗)|한(韓)|한(馯)|한(旱)
- 목마군(牧馬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목마군 목마군 牧馬軍 목자군(牧子軍) 목자(牧子), 신량역천(身良役賤), 목장(牧場), 군적(軍籍) 경제교통/마정 직역 남상호 [정의] 조선시대에 각 목장에서 우마 생산...동의어목자군(牧子軍) | 관련어목자(牧子), 신량역천(身良役賤), 목장(牧場), 군적(軍籍)
고서·고문서(2)
- ○휘(煇)와 함께 여막을 지켰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맡은 신량역천(身良役賤)의 직역 역(役)을 줄여줄 것을 청했으나, 일이 많아서 허락하지 않았다. 이근지(李謹之) 씨도 왔는데, 양주(楊州) 관아에 자리 짜는 역(役)을 독촉하지 말고 면제해 줄 것을 청해달라고 하고는 바로 갔다. ○송진으로 지진, 쇠로 된 자루 4단(段...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慶尙道蔚山府乙酉式戶籍大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面을 포함하고 있으며, 동시에 동북쪽 해안가를 끼고 있는 柳浦面이 기재되어 있어 지역의 특징과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유포면은 해안에 위치한 특징으로 과거부터 노비호와 身良役賤이 많은 지역이었다. 그러나 18세기 중반부터 양인호의 비율이 증가하고, 을유식대장에서도...작성연대1765년(영조 41) | 권수1책
주제어사전(3)
-
신량역천 / 身良役賤 [사회/사회구조]
망과 봉수 업무를 수행하는 봉수군 등도 신분은 분명히 양인이었지만 신량역천으로 되어 ≪속대전≫에 칠반천역으로 규정되었다.
-
창촌 / 倉村 [사회/촌락]
지역에서 온 자들도 있었지만, 조창 부근의 마을에 많이 거주하였다. 조선 전기 조졸의 신분은 신량역천(身良役賤·양민과 천민 사이의 중간 계층을 이루던 부류. 양민의 신분이면서 賤役에 종사하였음)에 속하였고, 복무의 대가로 봉족(奉足)이나 복호(復戶:충신·효자·열녀에게
-
대졸 / 隊卒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오위 가운데 용양위에 속했던 중앙군의 한 병종. 1415년(태종 15)에 제도화된 섭육십의 후신으로 보인다. 양인 또는 신량역천들이 입속하여 시취에 의해 편입되었다. 시취 종목은 주·력을 측정하였다. 총원은 3,000인으로 5교대에 600인이 4개월씩 복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