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돌석” 에 대한 검색결과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30)

  • 배선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3∼1961.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경상북도 안동 출신. 1906년 일제에 의하여 주권이 침탈당하자 ()의병부대에 참가하여 항일전을 전개하였다. 그해 음력 3월에 50여명의 의병들과 함께?영양읍을 공격...
  • 김용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9(고종 6)∼1921.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호는 치언(致彦).?경상북도 울진 출신. 1906년 ()이?경상북도 영해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휘하에 들어가 중군장(中軍將)이 되어 의병진의 크고 작은 전투에...
    이칭별칭 치언(致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때 도 경상도 의병을 대표해 의병 1,000여 명을 이끌고 올라왔다. 그러나 13도연합의병의 서울 침공계획은 실현되지도 못했을 뿐만 아니라, 진호(鎭護)와 부서 개편에서 부대는 제외되고 말았다. 당시 13도연합의병부대의 각도 의병대장은 양반‧유생...
    이칭별칭 순경(舜卿)|태호(泰浩)|돌석(乭錫)|태홍(泰洪)|태을(泰乙)|대호(大浩)|태백산 호랑이
  • 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의병장 ()에 관한 설화. [개설] 이 민중적 영웅으로서 탁월한 능력을 지녔으나 왜적을 물리치지 못하고 비참하게 죽은 내력이 설화의 주안점이 되고 있다. 구전자료는 다양하며, 출생지인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을
  • 장군생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 에 있는 한말의 의병 의 생가지. [내용] 경상북도 기념물 제87호. 장군은 평민출신으로서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 후 영해군 복평리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
    연계항목신돌석장군생가지(申乭石將軍生家址)

고서·고문서(4)

  • 이창영외 1인 판결선고서(李昌英外 1人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CJA-0001147-0006 국가기록원 李昌英外 1人 判決宣告書 이창영외 1인 판결선고서 판결선고서 국한문 1907년 2월 5일 판사서리 검사 주사 강도 이창영(25세), 조준용(22세) 경상북도 영양 6쪽 한국근대사 부대에서 활동한 2인이 각 지역에서
    제목이창영외 1인 판결선고서(李昌英外 1人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강도 | 소장처국가기록원
  • 박기운 판결선고서(朴基運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남의진(山南義陣)에 참여하여 경주, 청송, 영덕 일대에서 군수금을 모집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산남의진은 1906년 4월 28일에 일본군 토벌대에 패한 의진을 돕기 위해 영해로 진군하다가 경주 우각(牛角)에서 대장 정용기가 경주진위대에 체포되었다. 이리하여 산남...
    제목박기운 판결선고서(朴基運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내란 | 소장처국가기록원
  • 배선한외 4인 판결문(裴善翰外 4人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실관계를 정리해 보면, 배선한(裵善翰)은 경상북도 진보군 동면 출신이다. 그는 같은 동면 출신의 윤학이(尹學伊), 신낙선(申洛先), 영덕 출신의 강근이(姜根伊), 봉화 출신의 신태용(申泰用) 등과 함께 의진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배선한은 1906년 음력 3월에...
    제목배선한외 4인 판결문(裴善翰外 4人 判決文) | 사건유형강도, 일부 무죄 | 소장처국가기록원
  • 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렇듯 왜병과 싸워 크게 이김으로써 을사의병 중 경상북도의 진영, 鄭鏞基, 鄭煥直 진영과 3대 전투의병으로 손꼽힌다. 홍주의병의 항일 세력은 서울과의 교통로 때문에도 일제 침략군에게는 큰 위협거리였다. 그런 까닭에 서울에 주둔하던 일군이 토벌군으로 파견되어, 5월...
    제목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내란 | 소장처국가기록원

구술자료(10)

  •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신돌석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했다. 제보자가 상세한 것을 모른다고 하면서 이야기를 했다. 제보자는 이 이야기를 영해 사람들 한테서 들었다고 하며, 신돌석 장군 비(碑)도 직접 보았다고 했다. 청중들 중에도 신돌석에 관한 이야기를 알고 있는 이가 있...
    조사일시1979-04-07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외동면 석계1리 | 제보자임문혁
  •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29를 듣고 웃고 있는데, 제보자가 신돌석 장군 이야기를 하겠다고 나섰다. 반가워서, 어서 하라고 하니, 바로 시작했다. 이야기가 끝난 후에 영덕군 영해 사람인 신돌석 장군 이야기를 어떻게 아느냐고 하니 신돌석 장군이 늘 월성군에 와서 돌아다녔으므로 그 ...
    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 제보자김경달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돌석 장군 이야기를 물으니, 한 번 만난 적도 있다고 하면서 그 분을 안다고 했다. *
    조사일시1980-06-05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1동 | 제보자권태방
  • 의 뛰는 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박노활씨에게 신돌석에 관한 전설을 들려 달라고 했더니, 옆에 있던 교감 선생 박형락씨가 신돌석은 원래 자기 처가에 자주 왔었다고 하면서, 이 이야기를 했다. 이야기는 장인 손후익(孫厚翼)씨에게 들은 것이라고 하면서, 장인이 거짓말할 분은 아니니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조사일시1980-06-05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기1동 | 제보자박형락
  • 의 죽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이 고장에 신돌석이라는 사람이 있었다는데?하고 서두를 꺼내자, 제보자가 나서며 ?영덕 신돌석 장군 이야기를 내가 한 번 하지.? 하고는 이 이야기를 했다. 신돌석에 대해서는 누구든지 잘 알고 있었으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제보자 외에 없는 듯했다...
    조사일시1980-02-08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2동 | 제보자강취근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국방]

    신 의병장인 을 비롯하여 홍범도·김수민 등은 제외 당하였다.

  • 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말기 의병장 ()에 관한 설화. 은 민중적 영웅으로서 탁월한 능력을 지녔으나, 왜적을 물리치지 못하고 비참하게 죽은 내력이 설화의 주안점이 되고 있다. 구전자료는 다양하며, 출생지인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을 위시한 여러 지역에 전하여지고 있다.

  • 장헌문 / 蔣憲文 [역사/근대사]

    1905년 을사오조약을 강제로 체결, 국권을 침탈함을 보고, 김재홍·김복선 등과 함께 재기를 결의하고, 이듬해 5월 300여명의 의병을 모집, 그 의병장에 추대되었다. 그리하여 주로 영일군내의 죽장·흥해·청하 등지에서 활약함으로써 부근의 정환직(鄭煥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