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도비명” 에 대한 검색결과 6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1)

사전(512)

  • 부용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權璉夏)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ㆍ국립중앙도서관ㆍ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6수, 소 1편, 계 21편, 권2에 서(書) 12편, 제문 3편, 권3ㆍ4는 부록으로 행장ㆍㆍ묘지명ㆍ묘지문ㆍ만사ㆍ제문ㆍ봉안문ㆍ축문ㆍ상량문ㆍ유사ㆍ장(狀)ㆍ증유...
  • 분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세채가 찬한 행장, 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시가 대부분으로 그 가운데서도 임원화초(林園花草)의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한 신산잡영(薪山雜詠) 20수와 이시백(李時白)ㆍ장유(張維)ㆍ이명한(李明漢) 등과 화답한 시 등은 그의 시적(詩的) 면모를 엿...
  • 관원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권1에 시 95편, 서(書) 2편, 묘갈명 1편, 권2는 부록으로 증시(贈詩)‧행장‧유사략(遺事略)‧()‧시장(諡狀)‧고유문(告由文)‧후서(後敍)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명승고적에 대한 경치나 감회를 읊은 것이 대부분으로, 「용추(龍湫)」‧「세...
  • 삼등공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헌집발(樗軒集跋)ㆍ종실호천군묘지(宗室湖川君墓誌) 각 1편, 현손 희조(喜朝)의 발문 2편, 권2에 논(論) 6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ㆍ묘표ㆍ() 등이 수록되어 있다. 아들 정구(廷龜)가 쓴 행장에 따르면, 그는 당대에 시문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 분봉가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뒤에 수신‧사친‧교제‧제사 및 입신양명에 걸친 양욕기대(量欲其大)‧위욕기중(威欲其重)‧덕욕기후(德欲其厚) 등 48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증손 관징(觀徵), 5대손 만부의 발문과 정경세(鄭經世)가 쓴 ()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 가문...

단행본(1)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Ⅰ.《헌릉지》권1 1. 능침 2. 선원보략 3. 헌릉대왕 행장 4. 5. 비음기 6. 중건한 비석의 음기 7

고서·고문서(78)

  • 1590년 박소(朴紹)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의정부 장암 반남박씨
  • 박의장(朴毅長) ()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영해 도곡 무안박씨
  • 1700년 창계선생(滄溪先生)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나주 회진 나주임씨 창계 후손가
  • 1635년 학봉 김성일(鶴峯金成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20세기 초 판서공(判書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74)

  • / [문학/고전산문]

    조선 태종(太宗) 헌릉(獻陵)의 . 앞면 첫째 행에는 '유명증시 공정 조선국 태종 성덕신공 문무광효대황 헌릉 (有明贈諡恭定朝鮮國太宗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獻陵) 병서(幷序)'라 새겨 있다.

  • 이암유고 / 頤菴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송인의 시문집. 12권 5책. 목판본. 권1·2에 시 198수, 권3·4에 묘지명 11편, 3편, 묘갈명·행장·제문 각 2편, 발 1편, 권5·6에 시의 속집으로 시 148수, 권7·8에 문의 속집으로 묘지·비음기·행장 각 1편, 묘갈

  • 명재유고 / 明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지명 14편, 권37은 묘지명 18편, 묘갈명 2편, 권38·39는 묘갈명 27편, 권40은 묘갈명 16편, 2편, 권41은 6편, 권42는 3편, 행장 1편, 권43∼46은 행장 23편이 수록되어 있다. 또 별집 권1∼4에는 서 60편이 실

  • 명암집 / 鳴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해조의 시문집. 6권 3책. 필사본. 권두에 1713년(숙종 39)에 쓴 김창흡의 서문이 있다. 권1∼4에 시 430수, 권5에 소 11편, 권6에 계사 4편, 제문 2편, 상량문 1편, 부록 상에 ·묘지명·묘표, 하에 제문 4편, 만사 2

  • 영릉지문 / 寧陵誌文 [언론·출판]

    >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