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경준” 에 대한 검색결과 1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

사전(6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2(숙종 38)∼1781(정조 5). 조선 영조 때 학자. [개설]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순민(舜民), 호는 여암(旅菴). 아버지는 신숙주(申叔舟)의 아우 말주(末舟)의 10대손인 진사 내(淶)이며, 어머니는 한산이씨로 의홍(...
    이칭별칭 순민(舜民)| 여암(旅菴)
  • 의고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영조와 정조 때의 여암(旅庵) ()이 그린 관방도. [내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9호. 고지도에 정식 명칭이 없기 때문에 편의상 북방강역도(北方彊域圖)와 강화도 이북해역도(江華島以北海域圖)로 구분할 수 있다.
    연계항목신경준의고지도(申景濬의古地圖)
  • 시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영조 때 ()이 지은 한시에 대한 이론서. [개설] 작자가 23세 때 고서에서 본 것과 스승으로부터 들은 바를 가지고 한시의 이해를 위해서 엮은 것이라 한다. 그의 문집인 『여암전서(旅菴全書)』 권8에 전한다. [...
  • 설씨부인선생유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신말주(申末周)의 처인 설씨부인(薛氏夫人)과 조선 후기의 실학자 (, 1712∼1781)이 태어나 살았던 터. [내용] 전라북도 기념물 제86호이다.
  • 가람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 지은 우리나라 절에 관한 자료집. [내용] 1책. 사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여암전서(旅庵全書)』의 별본으로 초사(抄寫)한 사찰지(寺刹誌)로서, 모두 520여개의 절이 수록되어 있다. 본격적...

고서·고문서(20)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47060 B047060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6年 11月 10日_019 ○, 以漢城府言啓曰, 因傳敎, 崔益男, 大靜縣永爲庶民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7529 B047529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6年 11月 10日_019 ○, 以漢城府言啓曰, 因傳敎, 崔益男, 大靜縣永爲庶民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816 B07481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5年 12月 24日_018 郞廳, 臺職許遞, 復差備郞, 令該曹口傳付軍職, 其令專意玆事。 出傳敎 上曰, 前司諫入侍。 出榻敎 宅仁出去, 召入, 景濬進伏。 上曰, 疆域誌, 汝意則必有方略, 何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444 B035444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6年 9月 6日_031 ○, 以刑曹言啓曰, 仲義雖赦一律, 何比五得? 大靜縣爲奴, 倍三道押付, 其時犯蹕下人碩哲, 南海縣, 勿限年充軍事, 命下矣。 依下敎, 南海縣爲奴發配, 罪人仲義, 全羅道濟州牧大靜...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5)

  • 旅菴 의 古體詩에 나타난 眞情性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명희, 게재일 : 2005
    21440 박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시가문학회 2005 旅菴 의 古體詩에 나타난 眞情性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旅菴 의 「詩則」 再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명희, 게재일 : 2005
    21439 박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05 旅菴 의 「詩則」 再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頤齋 黃胤錫의 天文 관찰과 시적 含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명희, 게재일 : 2007
    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6095&local_id=10027948 18세기 湖南實學派의 한문학 연구 - ‧ 魏伯珪 ‧ 黃胤錫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存齋 魏伯珪의 현실인식과 시적 형상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명희, 게재일 : 2006
    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6095&local_id=10023995 18세기 湖南實學派의 한문학 연구 - ‧ 魏伯珪 ‧ 黃胤錫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頤齋 黃胤錫의 시에 나타난 有機體的 자연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명희, 게재일 : 2007
    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6095&local_id=10022639 18세기 湖南實學派의 한문학 연구 - ‧ 魏伯珪 ‧ 黃胤錫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1)

  • 민세안재홍전집 : 南天에둘린海蛇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90 1936 4 22 7 5 安在鴻 안재홍 春天星象(五) 南天에둘린海蛇 申旅菴과朝鮮分野圖 신문 조선일보 5면1단 석간 생활문 과학 직접자료 5권 天秤座, 아르꼬스, 컵座, , 頫仰圖, 翼宿...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2)

  • 신경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5263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64면 (학과)본과신제도 신경순; 경기도 파주군 교동면 금촌리 9회 193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경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8967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64면 (학과)본과신제도 신경순; 경기도 파주군 교동면 금촌리 9회 193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2∼1781). 33세 때까지 여러 곳으로 옮겨 다니며 살다가 33세부터 43세까지 고향에 묻혀 저술에 힘썼다. 43세 되던 1754년(영조 30) 향시에 합격 정언·장령 등을 역임했으며 《여지승람》을 감수했고 1770년 《동국여지도》의 감수를

  • 도로고 / 道路考 [지리/인문지리]

    1770년 문신·학자 이 전국의 육로·수로 교통 및 중국·일본과의 교통로를 기록한 지리서.역사지리서. 4권 2책. 필사본. 은 『군현제 郡縣制』·『강계고 疆界考』·『산수고 山水考』·『수차도설 水車圖說』·『차제책 車制策』 등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그 중 『

  •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 / 濟州上孝洞─自生地 [지리/인문지리]

    제주특별자치 서귀포시 상효동 일대의 한란 자생지. 제주도의 한란은 기록으로 볼 때, 1775년(영조 51)에 제주목사로 부임했던 (, 1721∼1781)의 유고에는 “아국 제주독유혜(我國 濟州獨有蕙: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에서만 일경다화성인 난이 나온다.)”라

  • 한글갈 / [언어/언어/문자]

    것을 밝히며, 그 어지러운 것을 간추림으로써 정연한 체계의 한글갈을 세워, 위로는 ()·유희(柳僖)의 유업을 잇고, 아래로는 주시경(周時經) 스승의 가르침의 유업을 이루는 데 있다.”고 하였다. 역사편과 이론편의 두 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역사편」에서는 훈

  • 시칙 / 詩則 [문학/한문학]

    조선 영조 때 ()이 지은 한시에 대한 이론서. 작자가 23세 때 고서에서 본 것과 스승으로부터 들은 바를 가지고 한시의 이해를 위해서 엮은 것이라 한다. 그의 문집인 『여암전서(旅菴全書)』 권8에 전한다. 『시칙』은 다섯 개의 도표와 그것의 설명으로 짜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