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96)
사전(232)
- 신덕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9(영조 25).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좌의정 개(槩)의 후손이다. 무과를 거쳐 관직에 나와 1728년(영조 4) 영변현감이 되었으나, 재상가(宰相家)에 뇌물을 바치려 하였던 일이 조정에 알려져 파직되...
- 인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신개(申槩)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후손 우균(佑均)이 편집해놓은 것을 경상북도에서 간행하였다. 권말에 후손 현국(鉉國)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국민대학교 도서관‧충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신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太祖實錄 太宗實錄 世宗實錄 四佳集 寅齋集 燃藜室記述 海東雜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인재선생문집 / 신개이칭별칭 자격(子格)| 인재(寅齋)| 문희(文僖)
- 申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0_D_0650 申槩 인간 기타 左相, 廟庭 平山, 海西 子格, 崇謙, 養拙堂, 寅齋, 我太祖, 文僖 D_15_01_50 대동운부군옥 15권 1장 5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1장 5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신개(申槩)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신개 신개 申槩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태조~세종 이현숙 이범직 2011 자격(子格) 인재(寅齋), 양졸당(養拙堂) 문희(...
논문(1)
- 김인순 중단편소설의 여성의식 해독 金仁顺中短篇小说的女性意识解读 [북경지역 한국학 교육 연구 강화 및 다민족 대상 한국학 교육 시스템 구축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염 | 게재정보 : 중국문학 84권, 게재일 : 2014.11유형논문
고서·고문서(1,230)
- 신개황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신개황지 홍 남자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도문시(图们市) 철로분국 전무단보위과 3 2 신개황지, 밭, 갈아...대표표제어신개황지 | 성씨홍
- 新開城난봉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937 잡가 163―B 기린 新開城난봉가 李小紅 朝鮮樂 伴奏 [1] [一,] 수면천심에 바람이 불면은 낙화가 진다고 너 서러마라 에헤― 에헤야 에 에루화좃타 어러럼마 듸여라 내 사랑아 [二,] 한양성중이 살기는 조와도 리별이 만아서 못 살겟네 ...구분잡가
- 新開城難逢歌(신개셩난봉)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864 잡가 1509―A, 1509―B 오케 新開城難逢歌(신개셩난봉) 朴芙蓉 洋樂 [1] 乾坤(건곤)이 不老(불로)라 月長在(월장재)하니 寂寞江山(정막강산)이 이제 百年(백년)이랴 에―에―야 에라 좃타 얼얼엄마 듸여라 내 사랑아 가을바람에 易水...구분잡가
- 6 第六統統首辛介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86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786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一內中部里 6 第六統統首辛介男 第一戶 驛吏辛介男年伍拾陸辛亥本仁同父石乙伊祖吾哲曾祖貴永外祖權得平本安東妻金召史年肆拾肆 癸亥本慶州父於仁老未祖自山二祖不知率子使令日孫年貳拾玖戊寅婦()召史年貳拾捌己亥...연도_면이름1786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一內中部里
- 4 第四統統首申介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8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789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內中部里 4 第四統統首申介男 第一戶 驛吏申介男年伍拾玖辛亥本仁同父道理祖五哲曾祖貴永外祖驛吏權得平本安東妻金召史 年肆拾柒癸亥本慶州父於仁者未祖自山二祖不知率子日弘年拾玖辛卯等丙午戶口相准 第二戶 業...연도_면이름178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內中部里
기초학문(9)
- 会话含义新解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지앙왕치, 게재일 : 201210205 지앙왕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外语与外语教学, Foreign Languages and Their Teaching 2012 会话含义新解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단군신화의 신개념과 홍익인간 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8759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단군신화의 신개념과 홍익인간 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신개념주의 미술의 기호적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엄기홍, 게재일 : 200112823 엄기홍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교육학회 2001 신개념주의 미술의 기호적 해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1
- 近代期朝鮮における新槪念としての「詩」と言語橫斷的實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70316 한국연구재단 朝鮮學報 2013 近代期朝鮮における新槪念としての「詩」と言語橫斷的實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개인 탄원시에 나타나는 유일신 개념과 신정론: 시편 4편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일례, 게재일 : 2015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48195&local_id=10060413 개인 탄원시에 나타나는 유일신개념과 신정론: 시편 4편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04)
- 洪川新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쳔군슈 김영진씨 인민의 지식이 고 교육이 발달치못을 쥬야근심야 군민을 회동야 군회와 면회와 촌회 규측을 의결야 금년오월 이십삼일에 도 관찰와 부에 쳥원 인허야 본년십월이십일에 군회를 열고군에묵은폐막과 시무의 긴요 건을의론야 뎨폐것...게재일1906년 1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第一期 甲申時代(四)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938 1935 7 9 19 4 民世學人 안재홍 新聞小史(四) 第一期 甲申時代(四) 開化實錄인 當時紙面 신문 조선일보 1면4단석간 논문 문화 직접자료 4권 甲申改革, 漢城旬報 A19350709조선...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新開明雄(田論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新開明雄(田論商店) 서울 新開明雄 田論商店 太平通 2-210 포백류 - 삼노끈(麻繩) 도소매 7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新開明雄(田論商店)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삼노끈(麻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신개지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신개지 신개지(新開地) 이기영(李箕永) 고경상(高敬相) 경성부(京城府) 관훈정 121번지 조선_1938년 9월 30일 삭제 안녕 미기재 신개지 -이유 본편은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신개지 | 출판물명신개지(新開地)
- 민세안재홍전집 : 靑年老年(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15 1925 9 3 4 2 民世學人 安在鴻 靑年老年(二) 신문 조선일보 1면3단 논단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金庾信, 李舜臣, 壬辰役, 乙支文德, 蔡鍔, 甲申改革, 孔子, 耶蘇, 釋迦 A19250903...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20)
- (특집 생활지도) 정신개발의 모색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집 생활지도) 정신개발의 모색 (특집 생활지도) 정신개발의 모색 교육 문헌 교육과정 생활지도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권경상 | 사료철명부산교육
- 정신개발에 바탕을 둔 봉사활동 실천계획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정신개발에 바탕을 둔 봉사활동 실천계획 정신개발에 바탕을 둔 봉사활동 실천계획 교육 문헌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 초등교육 학교교육과정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온천국민학교 | 사료철명부산교육
- 한국인의 의식구조 분석과 국민정신개발 선양대책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인의 의식구조 분석과 국민정신개발 선양대책 한국인의 의식구조 분석과 국민정신개발 선양대책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 고등교육범주1교육과정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송길섭, 이기춘
- 함기순;咸己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4723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48면 (학과)본과신제도 함기순;咸己順 만주국 길림성 신개문리 길림의원 내 3회 1925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함기순;咸己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8469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48면 (학과)본과신제도 함기순;咸己順 만주국 길림성 신개문리 길림의원 내 3회 1925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경상도 일기자료 목록 및 해제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재훈 | 경북대학교 | 2019 | 국내 | 대구
주제어사전(11)
-
신개 / 申槩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46(세종 28).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집, 아버지는 안이다. 어머니는 임세정의 딸이다. 1393년(태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로 발탁되었는데, 당시 태조가 실록을 보자고 할 때 그 불가함을 강력히 논하였다. 이어
-
대반야경난신해품기 / 大般若經難信解品記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미수가 『대반야경』의 「난신해품」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고려 말 자은종(慈恩宗)의 고승 미수가 충렬왕이 원나라 연도(燕都)에 있을 때 저술한 책이다. 이숙기(李叔琪)가 찬한 「자정국존비(慈淨國尊碑)」에 유가사(瑜伽寺)에 주석할 때 『대반야경』 「난
-
신한촌 / 新韓村 [지리/인문지리]
일제강점기에 러시아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海蔘威]에 자리잡고 있던 한인집단 거주지. 신한촌에서의 1910년대 초기 한인활동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권업회(勸業會)의 항일민족운동이다. 권업회는 신한촌 건설과 같은 시기인 1911년 5월에 조직되어 1914년 9월까지
-
신광요 / 申匡堯 [종교·철학/유학]
1725년(영조 1)∼1799(정조 23). 신개 후손이다. 아버지는 신종악이다. 1751년(영조 27) 신미 춘당대시 병과 5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은 동지돈녕부사에 이르렀다.
-
인재집 / 寅齋集 [종교·철학/유학]
신개의 문집. 목판본. 4권2책. 1929년에 후손 현국이 소. 계. 전 등은 승정원의 기록에서 수집, 시. 서. 기 등은 <동문선> 등에서 뽑고, 여기에 가전되어 오던 연보와 비갈문자 등을 부록하여 출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