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간구황촬요”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는 장서각‧국립중앙도서관‧서울대학교 가람문고와 일사문고 등에 소장되어 있다. 또 이본(異本)으로 1686년(숙종 12) 무성(武城 : 지금의 전라북도 정읍)에서 전이채(田以采)‧박치유(朴致維)가 간행한 목판본이 있다. 내용은...
  • 구황촬요(救荒撮要)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 원간인 『구황촬요』가 합쳐진 내용이다. 『농가집성』의 일부가 된 이들 두 책은 다시 『()』라고 하여 1660년(현종 1)에 목판으로 각지에서 인본되었다. 이보다 앞서 1639년(인조 17)에는 김육(金堉)의 합편 『구황벽온방(救荒辟瘟方)...
  • 구황촬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황보유방 救荒補遺方≫과 원간인 ≪구황촬요≫는 ≪≫라고 하여 목판으로 각지에서 인본되었다. ≪구황촬요≫의 원류는 세종 때로 거슬러올라갈 수 있다. 명종 때에 언해본으로 그 명칭이 굳혀졌다. 그 뒤에는 이와 유사한 책 또는 농(農) 및 의(醫)에 관한 책들과...
  • 참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금으로 간을 하여 고소한 깻국을 만들어 부어 차게 해서 먹는다. 참깨는 구황식품으로도 이용되었다. ≪ ≫에서는 “황대두 7말, 지마 3말을 잘 씻어서 3번 찌고 3번 음건하여 껍질을 벗긴 뒤, 또 3번 찌고 3번 음건하여 잘 찧어 환으로 하...

고서·고문서(2)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농가류(農家類) 신속(申洬) 개편, 목판본, 불분권 1책(14장), 합철 구황보유방(21장). 기근에 생명을 연명하는 내용의 책인 세종대에 편간된《구황촬요(救荒撮要)》을 1660년(현종 1)에 개편하여 간행한 책이다. 한문 원문 뒤에 언해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