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식암집”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0)

  • 황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쳐, 대사헌‧지제교 등을 지냈다. 광해군 즉위 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지내면서 후진교육에 여생을 보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1714년 풍기 우곡서원(愚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이 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이칭별칭 경명(景明)| 식암(息庵), 돈암(遯庵)| 정익(貞翼)
  • 황섬(黃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基) 우곡서원(愚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이 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燃藜室記述』;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유형분류인물
  • 황섬(黃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우곡서원(愚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이 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燃藜室記述』;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유형분류인물
  • 신의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그림이 뛰어나 편폭(片幅)을 남겼으며, 또한 사부(詞賦)를 잘하여『해동시화(海東詩話)』에 그 문장이 남아 있다.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
    이칭별칭 서명(瑞明)| 사아(四雅), 사치(四痴)
  • 교서관인서체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운데서도 문집류가 많다. 그 인본으로는 ≪낙전선생귀전록≫을 비롯하여 ≪ ≫‧≪문곡집 文谷集≫‧≪약천집 藥泉集≫‧≪삼연집 三淵集≫ 등이 있다. 正祖實錄 顯宗實錄 顯宗大王改修實錄 肅宗實錄 韓國古印刷...
    이칭별칭운각인서체자

고서·고문서(3)

  • 어났다. 25세에 司馬試에 합격한 뒤 생부 金士明과 스승인 退溪의 喪事를 당하여 고향으로 내려왔는데, 그 때 퇴계 선생의 위패를 伊山書院에 봉안하는 일을 주도하여 영천 지역 사림의 중심인물로 부상하였고, 黑石寺와 紹修書院 등지에서 학업에 열중하며 과거를 준비하였...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찬・정언 등을 지냈으며 저술로 󰡔동명집󰡕이 있다. 과 식암(息菴) 식암(息菴) : 김석주(金錫胄, 1634-1684)의 호이다. 자는 사백(斯百),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이조좌랑・우의정 등을 지냈으며 저술로 󰡔󰡕이 있다.이 쓴 글이...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어유봉(魚有鳳)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회헌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韻書卽事, 金生有看穫詩次其韻以示, 託懷, 閒事, 歎未見梨花, 江樓與辛生國輔-惠東-拈韻共賦, 夜坐與辛生拈韻聯句, 次韻書卽事, 江樓詠雪。與金性汝-善材- 辛國輔拈韻聯句, 詠壁燈用放翁集韻, 用杜詩韻詠老杏, 屛山李相國-觀命-輓, 其二, 其三, 其四, 其五, 其六, 次李副學...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황섬의 문집. 목판본, 서:신경준(1769), 5권 3책. 1769년(영조 45)에 간행. 권1.2에는 시 425수가 있다. 권3에는 비답 1편, 소 5편이 있고, 권4에는 서 15편, 잡저 2편, 기 1편, 발 2편, 명찬 3편, 전문과 책문이 각 1편, 제문 19편

  • 황섬 / 黃暹 [종교·철학/유학]

    판관·황해도사·호조좌랑 등을 거쳐 1577년 서천군수가 되었다. 이조판서에 추증, 저서로는『』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