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3,4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7,625)
사전(75,509)
- 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외경(外境)을 식별하고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밝힌 불교의 교설. [내용] 이 식에 관하여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6식설(六識說)‧8식설(八識說)‧9식설(九識說)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6식설은 소승불교와 대...
- 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예의나 격식. 都留不宣式, 김정희(金正喜), 21(智)-26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자식. 아들이 아버지에 대하여 자신을 칭하는 말. 息症勢比甚 語音如. 妻子産期 亦在此月 臥痛今已數日 不能卽日奔哭 尤增.塞, 채성구(蔡聖龜), 21(義)-34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식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일가를 이뤄 매씨가 번성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남창위(南昌尉) 매복과 한림 매순, 매성유 등의 겨레를 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상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정의대상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 | 문광부표기sik | MR표기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202)
- 한밤중 달빛 식당 [호주 빅토리아 지역내 한국학 연구 거점 대학 육성 사업 | Monash University]저자 : Bun-hee Lee (author) Jessica Huynh (transla... | 출판사 : Vietnam Women’s Publishing House | 출판일 : 20221215An enchanting story on memories and choices. “If you want to erase bad memories, please come to Moonlight Diner in the Midnight“.
- 백암 박은식 평전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저자 : 노관범 ... | 출판사 : 도서출판 이조 | 출판일 : 20210530박은식은 격동기의 거인이었다. 황해도 시골 선비로 태어나 서울 언론계에서 필설을 드날렸고 중국과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에 힘썼다. 생애 말년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었다. 언론인, 활동가, 혁명가의 삶이었다. 그의 삶 자체가 역동적인 한국 근대사이다. 인물에 관한 책...
- 식민지 조선 농촌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 농민(근대전환기 국가와 민03)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성균관대학교]저자 : 하지연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180425이 연구는 식민지 시기 대표적인 일본인 거대 지주들의 농장들이 어떤 구체적 방식으로 조선인 소작 농민들을 속속들이 구속하고, 제어해 갔으며, 농업 현장에서 씨뿌리기에서 풀 뽑기, 비료주기, 추수, 소작미 납입 등 영농 전 과정을 철저하게 간섭해 가며 농업 경영상의 식민...
- 한중의 치우 인식과 자료 [한국상고사의 주체적인 체계정립을 위한 다학문적 연구 | 인하대학교]저자 : 서영대... | 출판사 : 백산자료원 | 출판일 : 201611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 고조선 복식문화의 발견 [고조선 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연구 | 상명대학교]저자 : ... | 출판사 : 지식산업사 | 출판일 : 2011062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논문(152)
- 고조선 복식양식의 형성과 장식기법의 고유성 [고조선 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연구 | 상명대학교]저자 : 박선희 | 게재정보 : 백산학보 84호, 게재일 : 2009.08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 『황혼』과 『대륙』의 서사방식 유사성으로 본 한설야의 일제 식민지에 대한 문학적 접근방식 고찰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吳曉琪 | 게재정보 : 韓國語教學與研究유형논문
- 윤동주와 심련수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 비교연구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何潮 | 게재정보 : 東方學術論壇유형논문
- 이기영의 처녀지를 통해서 본 정화의식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鹿文秀 | 게재정보 : 韓國語教學與研究유형논문
- 현경준의 “위만주국”체험과 북향의식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張雅芮 | 게재정보 : 韓國語教學與研究유형논문
고서·고문서(119,059)
- Заведующему Корейским переселнием Чиновнику Особых Поручений Г-ну Пуцило.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클리오”호로 보내는 조선인에 대해 식량 지급 보고함.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극동 러시아국립 역사문서 보관소 | 발신일1870.8.8.
- Н.д. Чиновника особых поручений при Областном Правлении Г. Пуцило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조선이주민 식량 조달 문제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극동 러시아국립 역사문서 보관소 | 발신일1870.6.15.
- Г. начальнику Суйфунского округа полковнику Дьяченко.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조선 이주민 정착 보고와 식량 배급 요청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극동역사문서보관소 | 발신일1870.8.24.
- 式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50 詩經講義 卷一 ITKC_MP_0597A_0450_050_0120 式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不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40 詩集 卷四 ITKC_MP_0597A_0040_010_0660 不識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권차명詩集 卷四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251)
- 자식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앞 노래 민요 10이 끝나자 김병주씨가 그 뒤 노랫가락을 하나 부르고 뽐내니까, 이 노래를 불렀다. 노래 시합하는 분위기가 이루어졌다. 이 민요는 처녀 때 품앗이 삼삼기할 때 자주 불렀다고 한다. *조사일시1979-08-1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거제면 | 제보자조필금
- 바보식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거제면 | 제보자이영도
- 만파식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파도를 자게 했다는 이상한 피리 이야기를 물으니 김복종이 나서며 그것은 만파식적 이야기라고 했다. 김복종이 먼저 이야기를 하고 말미에 주봉이가 이야기를 덧붙였다. *조사일시1979-08-16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감포읍 대본3리 | 제보자김복종
- 만파식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만파식적에 관해서 들은 이야기는 없느냐고 하니, 제보자가 ?만파식적은 내가 그래 듣고 있어요. ?하면서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79-08-18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감포읍 감포리 | 제보자김만갑
- 탄식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래 전반부를 상기시키면서 조사자가 이것을 유도하니 이렇세 불러줬다. *조사일시1983-05-03 | 조사장소충청남도 공주군 반포면 | 제보자박옥례
기초학문(9,950)
- 조선지식인의 병세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민, 게재일 : 201142226 정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조선지식인의 병세의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가치의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하영석, 게재일 : 200009048 하영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00 가치의 인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c6b4c901유형논문 | 게재일2000
- 蘇軾과 高麗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32354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어문학회 2002 蘇軾과 高麗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조선의 食治 전통과 王室의 食治 음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호, 게재일 : 200823771 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08 조선의 食治 전통과 王室의 食治 음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내선결혼소설의 낭만적 형식과 식민지적 무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주한, 게재일 : 201057049 최주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내선결혼소설의 낭만적 형식과 식민지적 무의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60,570)
- 식충식물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식충식물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6호 食蟲植物 1907.01.24. 講壇/學園 149~150 204~205 홍정구(洪正求) 대한제국 식충식물에 대한 글 식충식물,...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義士葬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 졍홍씨 쟝지얏 졍씨 본 예슈교 신앙던터인고로 오젼 십일시에 발인야 뎡동 례당안에셔 오후 한시에 례식을 거되 쳐음에 찬미가 닑고 목 젼덕긔씨가 긔도후 윤치오씨가 졍씨의 력을 셜명고 셕진형 김동완 리동휘 졔씨가 졍씨의 쳐 긔졀과...게재일1907년 7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雉卵並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륙군대쟝 쳔옹죠씨가 룡산 광흥창 퇴비 긔디에 마량 젹치고간을 건츅기로 경영난일은 이왕말얏거니와 그고간 건쵹기위야 광흥창 헐어진 목을 빌니라고 쳥구난즁이라더라게재일1905년 1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請改儀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관례라 혼례라 상례라 졔례라 네가지 례졀은비록 유도의 쥰비로 보통용 의식이오나 오려 그번△이만커든 함을며 부허 례식이 졈졈 늘어셔 심지어 집집이 례졀이 다 각각 달으고 집에 잇로 다니 엇지침쟉변동것이 안이오릿가 대뎌례라것은 텬리의졀목이오 인...게재일1907년 5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息壤在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도셔흥군 셕교시장은 텰도역후에 그근쳐젼토가 폐지 지경이러니 뎡거장을 셜시으로 한일량국인 슈호가 연모여와 영업 노라고깁흔굴엉도 메이고 황무토디도깁히갈아 농산이 풍죡 도회가 된지라 젼토쥬인들을 쳥야 그 실을말고 토디셰를 년간에 이량식 작뎡...게재일1907년 6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688)
- 쌀만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보리와 밀을 이용한 혼식 및 분식을 장려하기 위해 라면, 빵, 국수 등을 먹을 것을 독려하고 밀가루와 보리의 영양가에 대하여 설명한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7년 8월 1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한다. 자세한 제작연도는 미상이지만 1930년대 초기서울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자막으로 각 동네 및 건물명을 제시한 후 그것을 보여주는 형식으로 남대문, 본정통(현재 충무로), 종로, 남산, 조선신궁, 총독부청사, 경성부청, 조선호텔, 조선은행, 경성우체국, 조선군사령자료구분일본수집영상 | 제작년도1930년대 초 | 제작大毎キノグラフ
- 당시 국회의 동정을 보여 주는 영상이다. 5월 2일에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의장 보궐선거를 통해 곽상훈 의원이 민의원의장으로 선출되는 과정, 그리고 경찰중립화법안 기초 특별위원회 구성에 관한 결의안 처리 과정을 영상으로 보여주고 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0년 5월 1일 | 제작공보처
- 서울 시민회관 소강당에서 신민당 창당을 했고 대통령 후보에 윤보선, 당수에 유진오를 선출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7년 2월 18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한국 근로자들이 월남에서 하역, 정밀기계, 건설 등 각종 경제활동을 전개하고 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7년 4월 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연구결과보고서(18)
-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간도 담론의 역사와 간도 문제의 식민화 [간도 담론의 역사와 간도 문제의 식민화 | 한경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단군묘 인식과 단군릉 수축 운동 결과보고서 [단군묘 인식과 단군릉 수축 운동 | 단국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식민지배의 부정적 유산, 조선관습법의 창출 [식민지배의 부정적 유산, 조선관습법의 창출 | 연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14,226)
- 소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소식 소식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
- 소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소식 소식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
- 소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소식 소식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
- 소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소식 소식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
- 소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소식 소식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잡지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월보
연구과제(432)
-
식민지조선의 감옥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종민 | 연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방식(疏通方式)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문식 | 단국대학교 | 2014 | 국내 | 경기
-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박종천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단군묘 인식과 단군릉 수축 운동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성환 | 단국대학교 | 2007 | 국내 | 경기
-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미영 | 한국국학진흥원 | 국내
주제어사전(5,376)
-
식 / 識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에서 발신자가 자신을 밝히는 앞에 표시하는 형식.
-
강식 / 姜植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48∼?). 1669년(현종 10) 식년시 생원 3등 48위로 합격, 1689년(숙종 15) 증광시 진사 3등 68위에 합격 후 안음현감·금정찰방·은율현감 등을 지냈다.
-
고식 / 故寔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김희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878년(고종 15) 김희락의 손자인 김철수(金喆銖)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총서(總序)가 있고, 권말에 권영하(權泳夏)와 김철수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주자대전강의십조차자(朱子大全講義十條箚子
-
관식 / 冠飾 [생활/의생활]
관(冠)에 부수되어 장식적 효과를 내거나 종교적 의미를 표하는 것. 고대의 관모는 그 자체가 장식적 형태와 종교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관을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가 되는 것은 관식이라고 할 수 없다. 예컨대, 경주에서 출토되는 금제관(金製冠)의 ‘出’자형 또는 녹
-
다식 / 茶食 [생활/식생활]
쌀·밤·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서 글자·기하문양·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 의례상(儀禮床)에 놓는 필수 과정류(菓飣類)의 하나이다. 다식이 언제부터 있어 왔는지는 잘 알 수 없다. ≪목은집 牧隱集≫에 팔관회(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