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시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9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80)
사전(4,151)
- 시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게는 복용시키지 않는다. 한방에서 많이 쓰는 약재로 대표적인 처방에는 소시호탕이 있다.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한약임상응용(韓藥臨床應用)』(이상인‧안덕균‧신민교, 성보사, 1982) 『中藥...
- 시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 대상이 완화, 확대되었다. 이에 생전에 낮은 관직에 있었던 사람도 증직되어 시호를 받는 일도 있었다. 이 때 시호 내리는 일을 증시(贈諡)라 하고, 후대에 추증해 시호를 내리면 추시(追諡)라 하였다. 추시는 대부분 종2품 이상의 벼슬에 있는 사람의 죽...
- 시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근거 없는 말도 여러 번 들으면 믿게 된다는 말. 삼인성호(三人成虎). 夫市虎曾殺 尙信於三至 則況孤哀何以自脫於衆口哉, 윤순거(尹舜擧), 22-11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시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시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왕‧왕비를 비롯해 벼슬한 사람이나 학덕이 높은 선비들이 죽은 뒤에, 그의 행적에 따라 국왕으로부터 받은 이름.정의왕‧왕비를 비롯해 벼슬한 사람이나 학덕이 높은 선비들이 죽은 뒤에, 그의 행적에 따라 국왕으로부터 받은 이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iho | MR표기si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4)
- 명호名號와 역명易名-동아시아 사회에서 이름에 담은 의미 [조선시대 예제사회(禮制社會)의 성립과 전개 | 단국대학교]저자 : 성인근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220430현대의 이름은 부모나 조부모가 짓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철학관을 활용한다. 철학관 작명은 대체로 두 가지를 고려하는데. 첫째는 한자의 획수이며, 둘째는 오행(五行)으로, 사주(四柱)의 오행을 고려하여 글자를 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이 예전에 전혀 없었다고 할 수 ...
- 국왕 숙종, 잊혀진 창업주 태조를 되살리다 [조선후기 왕실 사적 정비 연구 | 경상대학교]저자 : 윤정(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 출판사 : 여유당 | 출판일 : 2013.04.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태조를 다시 살리기까지 2. 창업주 태조를 되살린 숙종 (1) 태조의 시호를 새로이 추가하다 (2) 태조의 영정을 다시 그리고 옛집에 비를 세우다 (3) 신덕왕후를 본궁에 제사
- 숙종대왕 자료집 4 - 비지, 망단, 제문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이태희, 이남옥, 성인근, 박용만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50920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인경왕후 仁敬王后 인경왕후익릉비 仁敬王后翼陵碑 인경왕후지문 仁敬王后誌文 인경왕후시호등망단 仁敬王后諡號等望單 인경왕후존호망단 仁敬王后尊號望單 인경왕후추상휘호망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시책문 13. 애책문 14. 시호를 추상할 때의 옥책문 15. 왕비의 지문 16. 왕비를 책봉하는 옥책문 17. 왕대비에게 존호를 올리는 옥책문
고서·고문서(5,073)
- 시호(柴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0940 B120940 시호 柴胡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0年 6月 9日_014 ○傳曰, 柴胡知母湯, 前已進御五貼而無效, 人蔘截瘧飮則似有其效矣。 回啓曰, 退與提調及諸醫, 相議以啓。 更以都提調意, 回啓曰, 柴胡知母湯則曾無劑入, 而柴胡芎歸湯, 前有劑入矣。 人蔘截瘧飮...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시호(柴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0941 B120941 시호 柴胡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1年 1月 13日_019 ○藥房再啓曰, 伏承聖批, 慈殿症候泄瀉度數, 與昨一樣, 內殿所患, 言于醫官事, 下敎矣。 臣等不任憂慮, 卽問于醫官, 相與商議, 則柳後聖諸醫官以爲, 內殿去夜, 連進加入小柴胡湯三貼, 汗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시호(柴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0942 B120942 시호 柴胡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0年 6月 9日_014 ○傳曰, 柴胡知母湯, 前已進御五貼而無效, 人蔘截瘧飮則似有其效矣。 回啓曰, 退與提調及諸醫, 相議以啓。 更以都提調意, 回啓曰, 柴胡知母湯則曾無劑入, 而柴胡芎歸湯, 前有劑入矣。 人蔘截瘧飮...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시호(柴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0943 B120943 시호 柴胡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0年 6月 9日_014 ○傳曰, 柴胡知母湯, 前已進御五貼而無效, 人蔘截瘧飮則似有其效矣。 回啓曰, 退與提調及諸醫, 相議以啓。 更以都提調意, 回啓曰, 柴胡知母湯則曾無劑入, 而柴胡芎歸湯, 前有劑入矣。 人蔘截瘧飮...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시호(柴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0944 B120944 시호 柴胡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1年 1月 13日_020 ○藥房三啓曰, 卽以醫女入診後, 內殿症錄, 商議於柳後聖等諸醫官, 則以爲旣有感傷熱候, 且有便燥之氣, 不可偏治一症, 加黃連·桅子炒·牧丹皮·竹茹各七分, 柴胡四物湯二貼進服, 以爲淸熱潤燥之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6)
- 만육이란 시호받은 전주 최씨 시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원중씨가 또 하나 헐까 말하자 옆에 있던 청중들이 쉬었다 하라고 하였다. 이때 제보자가 구술하여 준 것이다. 목소리가 매우 침착하며 겸손하였다. *조사일시1982-01-13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월평리 | 제보자최재순
- 삿갓 쓴 돌부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카사지조, 보은, 민담, 일본, 모우에 히로꼬, 강원도, 횡성군 [조사자: 히로꼬선생님 지금 하셔도 되죠?] 네, 아, 오늘은 힘드네. [조사자: 힘들죠.] 힘들어. 시간이 지금 [조사자: 이것만 하고 마지막으로 할게요.] 하나는 카사지조. 하고 또 하나는 미미나시호국가일본 | 제보자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귀 없는 악사 호이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일본, 모우에 히로꼬, 강원도, 횡성군 [조사자: 그다음에 또 준비하신 이야기가?] 이거가 미미나시호시 [조사자: 이거는 무슨 뜻일까요?] 미미나시. 미미나시 귀가 없는, ‘미미(耳)’ 귀, ‘나시(無し)’ 없다, 호시 그 사람 이름. 주인공 이름. [조사자: 아.국가일본 | 제보자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양산백과 축영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있고 항주는 시호배 사랑이야기를 되게 많이 찍거든요 그리고 사랑이야기 전설도 또 많고. 양산백과 축영대도 마찬가진 거 같아요. 또 얘가 집을 보면 예쁘더라구요. 정원도 예쁘게 하고 집이 2층으로 되어있는데 다락방도 또 있어서 올라가는 거예요. 축영대는 “알았어요.”국가중국 | 제보자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자, 차전(車前), 전실, 시호(柴胡), 전호(前胡), 목통(木通), 인삼(人蔘),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청서육가탕[淸暑六和湯], 이원익기탕(二元益氣湯), 오가탕(五加湯), 사물탕(四物湯), 신농씨 백초약을 갖가지로 다 써도 효험 보지를 못하리다. 침으로 논지허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기초학문(6)
- 1683년(숙종 9) 태조 및 태종의 諡號 加上과《太祖諡號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호, 게재일 : 200401458 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683년(숙종 9) 태조 및 태종의 諡號 加上과《太祖諡號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740년(영조 16) 孝宗 諡號 加上과《[孝宗]加上諡號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례, 게재일 : 200401459 김경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40년(영조 16) 孝宗 諡號 加上과《[孝宗]加上諡號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공용부문 구성형식 중 콘코스형 형식의 도시호텔에 나타난 공간구성 요소의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창노, 게재일 : 201446284 이창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공용부문 구성형식 중 콘코스형 형식의 도시호텔에 나타난 공간구성 요소의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681년(숙종 7) 恭靖大王의 廟號 追上과 《諡號都監都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호, 게재일 : 200402247 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681년(숙종 7) 恭靖大王의 廟號 追上과 《諡號都監都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857년(철종 8) 純元王后의 昇遐와《純祖大王改上諡號廟號追上尊號純元王后尊號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세은, 게재일 : 200402042 김세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857년(철종 8) 純元王后의 昇遐와《純祖大王改上諡號廟號追上尊號純元王后尊號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474)
- 追贈謚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죠칙을 나리 죨셔 특진관 심상훈 시호 츙슉으로 고판부 리호쥰 시호 츙익으로 고판돈영 민두호 시호 효헌이라 라 압셧더라게재일1907년 8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謚號更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비궁뎐하 시호를 슌뎔로 의뎡엿더니 다시 의뎡지라 쟝례원 쥬본을 등인야 의졍부에셔 각부로 죠회야 시원임대신 졍부당상 각부부협판이샹 관각당샹 쟝례원당상 봉샹 도뎨됴뎨됴가 작일샹오십이시에 졍부로회동의뎡엿다더라게재일1904년 11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諡號改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비궁시호 슌렬로 뎡하엿더니 작일 졍부에서 회의하야純슌明명으로 뎡하엿더라게재일1904년 11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王과妃의謚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흥션대원군을 대원왕으로 츄봉된지라 그 시호 헌의 (獻懿) 으로 부대부인은 슌목으로 시고 완화군은 완왕으로 츄붕되얏더라게재일1907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시호걱졍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야 셰상이 오랠록 츔밧고 욕기를 마지아니 나니 엇지두렵지 아니며 엇지경계치 아니바리오 옛젹 가츙이란 사은 평에 못된실이 만타가 쥭을에 말이 내가 쥭은후에 만일시호가 잘못나면 엇지리오며 아모됴록 됴흔글로 시호기를 원즉 겻사이 답되 시...게재일1903년 5월 22일 | 기사분류논설
멀티미디어(3)
- 15세기 중반 시호(柴胡)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51_약재_15세기_중반_시호(柴胡) 경제_606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시호(柴胡)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197_17세기_중반_시호(柴胡) 경제_1197_17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멧미나리[柴胡]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524_18세기_중반_멧미나리[柴胡] 경제_1524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63)
- 김시호;金是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57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김시호;金是皓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시호;金時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8277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16-1935) n.r. 101면 김시호;金時浩 경기 17회 1931.3.10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시호;李時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925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54면 이시호;李時鎬 평남 진남포부 碑石町 205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시호;金是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51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76면 김시호;金是皓 釜 送株式會社 지점 제23회 1936년 3월 ‘釜山 朝鮮運送株式會社 지점’의 오...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충, 효의 시호 석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충, 효의 시호 석의 충, 효의 시호 석의 忠, 孝의 諡號 釋義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경북교육연구원 지도보급부 | 사료철명문교경북
연구과제(1)
-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강관식 | 한성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48)
-
시호 / 諡號 [정치·법제/법제·행정]
사람도 증직되어 시호를 받는 일도 있었다. 이 때 시호 내리는 일을 증시(贈諡)라 하고, 후대에 추증해 시호를 내리면 추시(追諡)라 하였다.
-
운산시호가 / 運算時呼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尙州) 동학 본부에서 간행한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2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당시 동학 교주 김주희(金周熙)로 추정되나 확증은 없다. 이 가사는 「운산시호가」와 「송구영신가(送舊迎新歌)」 2편으로
-
경종시호등망단 / 景宗諡號等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20대 국왕 경종이 승하한 뒤 그 시호, 묘호, 전호, 능호를 의정하기 위해 1724년(영조 즉위년) 9월에 빈청에서 영조에게 올린 대행대왕시호등 망단. 이 망단은 시호를 '덕문익무순인선효(德文翼武純仁宣孝)'로, 묘호를 '경종(景宗)'으로, 전호를 '경소(敬
-
숙종시호등망단 / 肅宗諡號等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19대 국왕 숙종이 승하한 뒤 시호, 묘호, 전호, 능호를 의정하기 위해 1720년(경종 즉위년) 6월에 빈청에서 경종에게 계하를 바라며 올린 대행대왕시호등 망단. 이 망단은 시호를 '장문헌무경명원효(章文憲武敬明元孝)'로 묘호를 '숙종(肅宗)'으로 전호를 '
-
현종시호등망단 / 顯宗諡號等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18대 국왕 현종이 승하한 뒤 시호, 묘호, 전호, 능호를 의정하기 위해 1674년(숙종 즉위년) 8월 빈청에서 올린 대행대왕시호등 망단. 이 망단은 시호를 '순문숙무경인창효(純文肅武敬仁彰孝)'로, 묘호를 '현종(顯宗)'으로, 전호를 '효경(孝敬)'으로,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