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시천주” 에 대한 검색결과 1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9)

사전(4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간 최고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가르침이 사상이다. 하느님을 모신다는 것은 무속(巫俗)에서 무당이 ‘몸주’를 모시고 그 신을 자기 몸에 내리게 하듯이, 하느님만을 믿어서 내 몸에 모시면 놀라운 기운이 내린다[降靈]고 본 것이다. 최제우는 모시는 사람[侍者...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창시한 동학(東學)의 근본사상으로 하느님을 모신다는 뜻.
    정의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창시한 동학(東學)의 근본사상으로 하느님을 모신다는 뜻.[두산백과] | 문광부표기si Cheonju | MR표기si Ch’ŏnj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성경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동학의 세 가지 기본 덕목인 정성‧공경‧믿음. [내용] (:하느님을 모심)를 기본으로 삼아, 하느님을 모시는 주체로서의 나 자신이 하느님을 믿지 못하거나 성실하지 못하면 진정 하느님을 모실 수 없다는 뜻이다. 동학 개조...
  • 주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지기금지 원위대강(至氣今至 願爲大降)’의 8자, 본주는 ‘조화정 영세불망만사지(造化定 永世不忘萬事知)’의 13자이다. 그리고 위의 세 가지 주문을 제자주문(弟子呪文)이라 부르면서 선생주문(先生呪文)을 따로 두기도 한다. 선생주문은 ‘지기금지 사월...
  • 양천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敎訓歌)라고 하여, 사람은 누구나 이미 그의 몸에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 하고 이 사상을 그가 자각, 창도한 동학의 극의(極意)로 삼았다. 이에 대해서 동학의 제2세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은 한걸음 더 나아가 이처럼 사람의 몸에 이미 모시고 있는 바 그 한울...

고서·고문서(48)

  • 1934년 정남동(丁南洞) 교첩(敎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34년1월에 상제교 대법사(大法師)가 정남동을 신부인(信夫人)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첩이다.상제교는 시천교에서 갈라져 나온 동학계통의 신흥종교로,교리는 동학의 일반적 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다.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35년 김태원(金台源) 교첩(敎帖)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35년4월에 상제교 대법사(大法師)가 김태원을 금사(金士)로 특선하면서 발급한 교첩이다. 상제교는 시천교에서 갈라져 나온 동학계통의 신흥종교로 교리는 동학의 일반적 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다.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35년 김재성(金在性) 상제교(上帝敎) 회원증(會員證)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35년3월에 상제교에서 전남 무안군 압해면 가룡리에 살고 있는 김재성에게 교부한 회원증 161호이다. 상제교는 최시형의 수제자였던 김연국이 시천교에서 갈라져나와 1924년에 창교한 신흥종교로 교리는 동학의 일반적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사상을 기본으...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35년 김태원(金台源) 교첩(敎帖)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35년4월에 상제교 대법사(大法師)가 김태원을 현기사신도사(玄機司信道師)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첩이다.상제교는 시천교에서 갈라져 나온 동학계통의 신흥종교로 교리는 동학의 일반적 교리인 인내천(人乃天)과 ()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다.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상제교(上帝敎) 영부(靈符)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다.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험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기초학문(1)

  •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과 동학의 ‘’ : ‘이상적인 삶’에 대한 지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8495 한국연구재단 동학학회 2014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과 동학의 ‘’ : ‘이상적인 삶’에 대한 지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6)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천도교]

    최제우(崔濟愚)가 세운 동학의 근본사상. 천주를 모신다는 뜻이다. 천주는 일반적으로 절대자 또는 초월자를 의미하는데, 천도교에서는 하느님을 한자로 표기할 때 쓴다. 천도교에서는 인간 속에 하느님이 내재한다고 본다. 따라서 사상은 곧 하느님이라고 하는 인간지상주의

  • 양천주 / 養天主 [종교·철학/천도교]

    사람의 몸에 한울님을 기른다는 뜻으로, 동학의 근본사상 가운데 하나. 사람의 몸에 이미 모시고 있는 바 그 한울님을 항시 끊임없이 힘써 길러야만 된다는 최시형의 주장이다. 양천주는 동학의 사상적인 극의로서의 의 자각 위에서만 가능하다고 볼 때, 이것은 사상

  • 인내천 / 人乃天 [종교·철학/천도교]

    천도교의 종지. 손병희가 1905년을 전후해서 간행한 <대종정의설>에서 처음 주장하였다. 인내천은 최제우의 , 그리고 최시형의 사인여천과 맥을 같이한다. 최제우의 는 인간이 신을 모시고 있다는 사상이며, 최시형의 사인여천은 인간을 신같이 모시라는 사상인 반

  • 천어 / 天語 [종교·철학/천도교]

    동학의 2대교주 최시형(崔時亨)이 사용한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뜻의 용어. 최시형은 사람의 말(人語)이 곧 하느님의 말씀(天語)이라고 하면서, 새소리나 베 짜는 소리도 ()의 소리라고 하였다. 이런 주장에는 온갖 사물 속에 하느님의 자취를 체득하려는 종교적인

  • 향아설위 / 向我設位 [종교·철학/천도교]

    '나를 향하여 신위(神位)를 베푼다'는 동학의 새로운 제법(祭法). 이 제사방법은 동학의 제2세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동학의 사상적극의(思想的極意)인 ‘사상(思想)에 입각하여 종래 유교식 향사법(儒敎式享祀法)인 이른바 향벽설위(向壁設位)의 부당성을 자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