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시조놀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2)
- 시조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수가 모두 적혔고, ‘집는 쪽’에는 종장만 적었다. 가령 4명이 시조놀이를 한다면, 그 중 1명은 창수(唱手)가 된다. 창수는 ‘읽는 쪽’을 차지하고, 나머지 3명은 ‘집는 쪽’을 고르게 분배한다. 창수가 ‘읽는 쪽’을 읽어 내려가는 동안 그 시조에 해당하는 ‘...이칭별칭가투
- 초중종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원‧서당 등에서 하던 학동들의 시조놀이. [내용] 학동들이 시구(詩句)를 암기하여 익히던 방법의 하나로 동접(同接)끼리 여가시간에 하는 시조의 짝맞추기놀이이다. 동‧서 양편으로 나누어 접장(接長)이 시조의 초장 또는 중장‧종장을...
고서·고문서(1)
- 한어동의보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조, 쓰고, 내용, 그림, 그려, 지금, 그곳, 시조놀이카투, 있는지요, 이곳어린이, 매우유용, 저, 비닐인쇠소, 경영, 고국, 인쇄술, 감탄, 비닐박막에인쇠하는기술재료, 주선, 주십시요, 중국, 흑룡강성, 해림현, 신합조선소학대표표제어한어동의보감 | 성씨한
주제어사전(2)
-
시조놀이 / 時調─ [생활/민속]
시조를 적은 종이쪽을 가지고 하는 부녀자들의 놀이. 시조가 카드에 올려져 사용되었던 놀이로 일명 ‘가투(歌鬪)’라고도 한다. 1920년대 초부터 1940년대까지 유행하였다. 이 놀이는 윤태오(尹泰五)가 경영하던 불선사(不羨舍)에서 1922년에 ≪가투≫를 발행한 데 이어
-
초중종놀이 / 初中終─ [생활/민속]
서원·서당 등에서 하던 학동들의 시조놀이. 학동들이 시구(詩句)를 암기하여 익히던 방법의 하나로 동접(同接)끼리 여가시간에 하는 시조의 짝맞추기놀이이다. 동·서 양편으로 나누어 접장(接長)이 시조의 초장 또는 중장·종장을 낭송하면 방바닥에 놓인 시조모음 가운데서 맞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