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시용향악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70)
- 군마대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음과 같다. “리러루 러리러루 런러리루, 러루 러리러루, 리러루리 러리로, 로리 로라리, 러리러 리러루 런러리루, 러루 러리러루, 리러루리 러리로” 『시용향악보』에 수록되어 있으며 기보법(記譜法)은 정간보(井間譜)에 오음약보(五音略譜)로 기보되어 있다....
- 별대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한 장단이 16박자로 된 열여섯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설은 별다른 의미 없는 말로 다음과 같다. 노런나 오리나 리라리로런나 니리리런나 나리나 리런나 로로런나 리런나 로로런나 리런나 노래의 악보는『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의...
- 시용향악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완되어 있다. 1954년에 연희대학교에서 영인했는데 여기에는 분실이 없는 점으로 보아 영인하기 위해서 책을 해체할 때 분실된 것으로 보인다. 이겸로가(李謙魯家)에 소장되어 있다. 時用鄕樂譜 韓國歌謠의 硏究(金東旭, 乙酉文化社, 1...연계항목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 시용향악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중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악보.정의조선 중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악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iyong hyangakbo | MR표기Siyong hyangakp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야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속요. [내용]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전하는 노래이다. 이 곡 끝에 두 번 반복되는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나의 가락은 같은 고려시대의 곡인 「풍입송(風入松)」 곡조의 끝에서 반복되는 위보성수만세(爲報聖壽萬歲)야의 가락과 동...
기초학문(4)
- 시용향악보 소재 군마대왕의 구음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규, 게재일 : 199600746 이상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 1996 시용향악보 소재 군마대왕의 구음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1996
- 『시용향악보』 소재 〈성황반〉〈나례가〉의 무불 습합적 성격과 연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정순, 게재일 : 201446279 나정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4 『시용향악보』 소재 〈성황반〉〈나례가〉의 무불 습합적 성격과 연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시용향악보』 수록악곡의 음악양식 - 가사 및 장단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1257222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12 『시용향악보』 수록악곡의 음악양식 - 가사 및 장단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시용향악보〉 소재 〈내당〉‧〈삼성대왕〉의 불교적 성격과 연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정순, 게재일 : 201663490 나정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시용향악보〉 소재 〈내당〉‧〈삼성대왕〉의 불교적 성격과 연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6
주제어사전(14)
-
시용향악보 / 時用鄕樂譜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동방학연구소 찬, 영인본, 연희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54, 불분권 1책(악보 84장, 부가사별재 8장, 목록 등 4장). 명종(明宗) 이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우리나라 고유의 정간보법(井間譜法)으로 작성된《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
청산별곡 / 靑山別曲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모두 8연으로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전문이 실려 전하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곡조와 제1연이 실려 있다. 「서경별곡(西京別曲)」·「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와 함께 고려가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
대국 / 大國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 작자 미상의 속악가사. 1·2·3의 세 편 모두 각기 다른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전한다. 별대왕(別大王)·천자대왕(天子大王)·ᅀᆞ랑대왕 등의 신격(神格)이 불리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노래는 원래 민간신앙인 서낭신앙을 기
-
유구곡 / 維鳩曲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시용향악보 時用鄕樂譜』에 실려 있다. 예종은 「버국새 伐谷鳥」를 지어 궁중에 있는 교방기생(敎坊妓生)들에게 부르게 하였는데, 이것이 『시용향악보』에 실려 있는 「비두로기노래」일 것이라는 설이 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비두로기
-
대왕반 / 大王飯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악가사. 『시용향악보』에 수록되어 있다. 원래 이 노래는 민간신앙인 서낭신앙을 기반으로 한 무가(巫歌)로서, 서낭당의 제단에 서낭상(床)을 차려놓고 제사를 지낼 때 불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궁중의 악장 가운데 속악가사의 하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