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시약청”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의약 관계를 관장하였던 임시관서. [내용] 궁중에는 왕실의 병을 치료하고 의약의 제조를 관장하는 내의원(內醫院)이 있으나, 만일 그 병이 중태일 경우에는 임시로 이나 의약청(議藥廳)을 특설하여 내의원 소속 이외의 의...
  • 권성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의관(醫官). [생애] 숙종 이후 영조 초까지 어의(御醫)‧내의원수의(內醫院首醫) 등을 지냈다. 그는 특히 침술에 정통하였다. 1701년 8월에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仁顯王后) 민...
  • 의약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의약을 관장하였던 임시관서. [내용] 평상시에는 내의원(內醫院)과 전의감(典醫監)이 있었으나, 왕과 왕비의 병환이 위독할 때에는 특별히 ()과 의약청을 설치하여 담당자를 궁중에 상주하게 하여 투약에 신중을...
  • 노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補充)의 임무를 맡아 전라도경차관으로 파견되었다. 예문관제학을 거쳐 1576년 수찬이 되고, 동부승지를 거쳐 1582년 평안도관찰사로 나갔다. 1585년 부제학에 이어 호조ㆍ예조판서, 이듬해 제조(提調)가 되었으며, 그 뒤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
    이칭별칭 사치(士稚)| 별유(別宥), 호폐헌(好閉軒)| 헌민(憲敏)
  • 박계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어 예조‧형조‧병조의 참의를 두루 역임하였다. 1565년 도승지, 제조(提調)를 거쳐 한성좌윤이 되었다가 대사헌이 되었다. 겨울에 하성절사(賀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곧이어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1567년 경상도관찰사로 나가 권벌...
    이칭별칭 군옥(君沃)| 관원(灌園)| 문장(文莊)

고서·고문서(5)

  • 58556 B058556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年 6月 11日_032 耶? 楺曰, 若如聖敎, 雖有爲不道之語者, 其將不可以告之乎? 昉曰, 臣俄聞其本意, 則槪緣其不設, 不爲夕問安, 終始諱疾, 而及其敎文出, 乃有那知半夜之間, 遽承憑几之命等語, 故天海...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9240 B05924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年 6月 11日_032 耶? 楺曰, 若如聖敎, 雖有爲不道之語者, 其將不可以告之乎? 昉曰, 臣俄聞其本意, 則槪緣其不設, 不爲夕問安, 終始諱疾, 而及其敎文出, 乃有那知半夜之間, 遽承憑几之命等語, 故天海...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卒乃大漸, 內局請設, 而以有弊, 勿設爲敎。 是年五月初八日丙寅, 薨于昌德宮之正寢, 臨終, 大臣、近臣俱入侍, 正終之禮也。 春秋五十五, 在位二十七年。 以是年九月二十日, 葬于王妃陵之右, 從王命也。 王妃之葬也, 凡石役務令從簡, 曲墻、象設與丁字閣, 皆使居中, 不偏於一邊, 慮...
    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公曰亶固不愛臣臣何爲黨之其論事持平類如此神宗不豫乆執政入問公行語門下侍郞章惇曰延安郡王何不來臣將出白之惇曰未可恐壞大事退集都堂公又語惇曰相公在此門下侍郞何不早定議惇連問王珪曰如何珪徐曰上自有子然須垂箔議旣定公復曰若臨事有異者鼎鑊所不敢避也遽命取紙書延安郡王爲皇太子又取紙書皇太后權同聽軍國事俱入...
    국가중국 | 서명계륵집 | 왕대숙종(肅宗)  7
  • 추안급국안 : 무진년(1688, 숙종 14) 이민재(李敏材) 신문기록{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並面質 後稟處金日先則金貴玄等止接之時被捉之日皆不在家而及其歸路 被捉於都事則其所供之辭似無隱情又無更問之端放送何如答曰依啓 ○ 추국을 그대로 시행하도록 하다 同日政院啓曰臣等卽伏見再啓大王大妃殿症候一倍加重臣等 伏不勝遑遑煎迫之至此時聖上煼煎憂慮之中凡干酬應必有擾攘聖慮 者若非緊急...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2)

  • / [과학기술/의약학]

    이 설치 기록 등이 실록에 보인다. 왕이나 왕비 및 왕대비의 치료를 맡은 중요한 임무를 띤 관청이므로 그 조직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여 도제조·제조·부제조·장무관·침의·제약관·의녀·서원 등의 수많은 관원이 배치되었다.

  • 의약청 / 議藥廳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의약을 관장하였던 임시관서. 평상시에는 내의원과 전의감이 있었으나, 왕과 왕비의 병환이 위독할 때에는 특별히 ()과 의약청을 설치하여 담당자를 궁중에 상주하게 하여 투약에 신중을 기하였다. 그러므로 의약청은 필요에 의하여 그때그때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