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시강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
사전(120)
- 시강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경연의 정4품 관직. [내용]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부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직제학‧전한‧응교‧부응교가 이를...
- 경연고사서진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講筵)한 문신들의 말을 모은 것이다. 고종에게 강의한 내용을 연월일순으로 적고 끝에는 시강관(侍講官)과 검토관(檢討官)의 이름을 기록하였다. 상단에 강의에 인용된 원전을 표시하였는데, 『국조보감(國朝寶鑑)』‧『조감(祖鑑)』‧『갱장록(羹墻錄)』‧『홍재전서(弘齋全...
- 시강관(侍講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시강관 시강관 侍講官 경연(經筵) 부응교(副應敎), 응교(應敎), 전한(典翰)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김경수 1894년(고종 31) 경연(經筵) 정사품 [정의]...상위어경연(經筵) | 관련어부응교(副應敎), 응교(應敎), 전한(典翰)
- 시독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경연의 정5품 관직. [내용] 조선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그 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직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교리와 부교리가
- 경연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송준길(宋浚吉)이 경연시강관으로서 진강한 것을 적은 책. [내용] 2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필사연대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그가 형조좌랑으로 있던 1639년 9월부터 1684년까지 경...
고서·고문서(48)
- 1660년 이수인(李壽仁) 고신(告身) 6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60년 11월 초5일에 현종이 이수인에게 통훈대부 행홍문관응교지제교겸경연시강관춘추관편수관의 관직을 내리는 교지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연안이씨종중문적박물관
- 1660년 이수인(李壽仁) 고신(告身)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60년 2월 21일에 현종이 이수인에게 통훈대부 행홍문관부응교지제교겸경연시강관춘추관편수관의 관직을 내리는 교지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연안이씨종중문적박물관
- 1882년 이완(李埦) 추증교지(追贈敎旨)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관 즉 경연청 시강관은 3급, 춘추관편수관은 1급에서 3급에 해당하는 직책이다. 결국 이 문서는 이완이 죽은 뒤에 관직을 올려준 것이다. 그리고 연호 옆에 작은 글씨로 추증의 사유를 적어 두었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提學知製敎兼經筵參贊官 臣金之慶。○通政大夫藝文館副提學知製敎兼經筵贊參官 臣柳睠。○編修官:○中直大夫守藝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承文院參校 臣金紐。○通訓大夫尙衣院正 臣高台鼎。○通訓大夫行藝文館典翰知製敎兼經筵侍講官弘文館典翰承文院參校 臣任士洪。 ...출처전거睿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12)이 通訓大夫行弘文館應敎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官別兼春秋奎章閣檢校待敎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王公履歷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燮仝鄭昌默仝李教恒依願免本官 從二品裴水鎭正三品宋益鉉仝李德雨仝梁明洙仝安琦良任議官以上十二月十五日 相禮朴齊璜侍讀柳冕鎬礦學局主事洪宅變電話課主事河德星 齊陵叅奉尹琮鉉厚陵叅奉洪德周 穆陵叅奉柳錫根議官李喜相 依願免本官 任相禮侍讀李義國 侍讀官李元世六品趙南日任侍讀 任侍講官 六品朴齊璜 任礦學...게재일1904년 12월 21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7)
-
시강관 / 侍講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의 정4품 관직.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부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직제학·전한·응교·부응교가 이를 겸하였다.
-
시독관 / 侍讀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의 정5품 관직. 조선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그 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직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교리와 부교리가 이를 겸하였다.
-
기준 / 奇遵 [종교·철학/유학]
1492(성종 23)∼1521(중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응교 기찬홍. 조광조의 문인이다. 1513년(중종 8)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급제해, 천문이습관, 검토관, 장령, 시강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복재집』·『무인기문』·『
-
동지경연사 / 同知經筵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청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고려말 1390년(공양왕 2) 정월에 열린 경연에서 처음으로 동지경연사의 직함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2인이 정원이었다. 그 뒤 조선 세종 때에 국왕 자신이 경연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1418년(세종 즉위년)에 지사·시강관과
-
송병선경연관서연관고신 / 宋秉璿經筵官書筵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77년 8월 15일에 송병선을 경연관서연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경연관 제도는 조선시대에는 성종 때 경국대전에 의해 법제화되어, 정1품 영사 3명, 정2품 지사 3명, 종2품 동지사 3명, 정3품 참찬관 7명, 정4품 시강관 4명, 정5품 시독관 2명, 정6품 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