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시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7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612)
사전(4,740)
- 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외형률(外形律)을 가진 운문인 노래. [내용] 시가는 문학의 여러 부류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양식이다. 그러므로 시가란 무엇인가, 그리고 시가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대한 질문과 해명은 옛날부터 많은 사람에 의하여 여러 가지로 정...이칭별칭시
- 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세보(李世輔)의 시조집. [내용] 1권 1책. 국문필사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총 157수의 시조가 실려 있다. 대부분 ≪풍아≫(大)에 실린 시조와 중복되는 것으로 보아 ≪풍아≫에서 선정, 수록한 것으로 보인다. 첫머리에 실린 ...
- 詩歌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I_0001 詩歌 시 四言詩, 康衢謠, 賡載歌, 五言詩, 七言詩, 栢梁臺詩, 麥穗歌, 箜篌引, 黃鳥詩, 最古, 詩仙, 衣里壓, 柯地施, 歌聖, 敍情詩, 吊神子, 吊王子溺水之歌, 敍事詩, 土來戰爭, 戱曲詩, 祭神詞, 喜劇, 悲劇, 戱詩, 鼻祖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4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고전시가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정병욱(鄭炳昱)이 지은 고전시가에 관한 연구서. [개설] 1976년 신구문화사(新丘文化社)에서 간행되었고, 그 뒤 한 차례 증보판이 나왔다. 총 6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전시가의 율격론에서부터 장르론ㆍ특질론ㆍ소재론ㆍ서지론(書誌論) 및
- 연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여편과 그 책판(冊板)」(유탁일, 부대신문, 1974.11.11.) 용안유사 권16 / 연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개인의 정심수도보다 만민평등의 지상낙원의 구현에 역점을 둔 작품이다. 경북 상주시 동학...
단행본(2)
- KLASSIK KOREYS SHE’RIYATI ANTOLOGIYASI (한국의 고전시가문학) [한국문학 대표선 번역(고대-1950년대까지, 우즈벡어) 및 ‘한국문학의 이해’ 출판 (우즈벡어, 러시아어) | Tashkent Stat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저자 : Saydazimova Umida... | 출판사 : TOSHKENT ISTIQLOL | 출판일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 QADIMGI DAVR SHE'RIYATI (1) Qadimiy qo'shiqlar (2) Xyanga she'riyati (3) Xanmun she'riyati 2. KORYO
- 단국대 소장 연민문고 〈동장귀중본〉 해제집 [단국대 소장 연민문고 동장귀중본 해제 사업 | 단국대학교]저자 : 정재철(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출판사 : 문예원 | 출판일 : 2012.08.20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1장 연암저작류 2장 시집‧문집류 3장 시가‧소설류 4장 일기‧시화류 5장 역사‧사상류 6장 도첩류‧기타
논문(7)
- 당나라로 간 신라 시인 한시 연구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창신위, 순더뵤우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유형논문
- 함형수의 “만주” 체험과 시 창작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王一丹 | 게재정보 : 東方學術論壇유형논문
- 해방전후 이욱 시의 주제의식 변화 연구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岳俊宏 | 게재정보 : 東方學術論壇유형논문
- 조선후기 시가문학에서의 세계관에 대한 표현의 예술적 방법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 | 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저자 : Anastasia A.Guryeva(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 게재정보 : Ljubljana University 1권, 게재일 : 2014.01유형논문
- 조선족과 고려인 시가에 나타난 국민 정체성 의식 연구 [북경지역 한국학 교육 연구 강화 및 다민족 대상 한국학 교육 시스템 구축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오상순(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박승권(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 게재정보 : 黑龙江民族丛刊 1권, 게재일 : 2014.01중국조선족 시가와 러시아 고려인 시가에 나타난 국민 정체성 인식을 작품의 내용과 형식 두 측면으로부터 비교 분석하였다.유형논문
고서·고문서(4,561)
- 시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시가 유 남자 부산광역시 동래구 흑룡강성(黑龙江省) 이춘시(伊春市) 철력현(铁力县) 년풍4촌 5 4 시가, 널...대표표제어시가 | 성씨유
- 시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342 잡가 시뎐위풍위국삼장 13001 1793 시가 [6] 텬지가 벽야 일월이 은 후의 건곤이 유심고 조물이 다졍야 시흥을 날 위야 삼기시니 셰월 풍화 이 집의 손이로다 집이 유벽야 풍월강산 이러니 인간은 뒤히...구분잡가
- 四時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9966 창가 二十世紀新靑年修養唱歌集 22191 1928년 姜義永 永昌書館 姜義永 尹琦炳 定價 四十錢 四時歌 〈#20〉 [ 一. ] 졍―양리(淸凉里) 로변(大路邊)에 자든[眠] 버들[楊柳]은 봄―비[春雨]에 잠을 여[覺醒]...구분창가 | 편저자姜義永
- 四時歌曲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9991 창가 二十世紀新靑年修養唱歌集 22191 1928년 姜義永 永昌書館 姜義永 尹琦炳 定價 四十錢 四時歌曲 〈mn〉숫자보〈/mn〉 〈#45〉 쳥―양리 대로변예 자든 버들은 봄―비에 잠을 여 립을 발하고 우―이동 너른 들에...구분창가 | 편저자姜義永
- 長安寺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054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長安寺歌 〈mn〉숫자악보〈/mn〉 〈#11〉 [ (1.) ] 화려하다 금강 초입 장안사이여 금강산의 쳔만 봉에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구술자료(182)
- 야시가 된 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6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동부면 | 제보자김주악
- 옛날 옛날 영감 할마시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밤에 숙소에서 다시 이야기 판을 벌였다. 이미 여러 차례 이야기를 한 문문희씨가 먼저 시작했다. 우스운 이야기를 하느라고 웃음을 참지 못했다. 노래 비슷한 곡조도 섞어가면서 했다. 다하고는, 더 긴 것인데 짧게 되었다고 했다. *조사일시1980-06-06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기1동 | 제보자문문희
- 시가의 악습 고친 며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심운택씨가 계속 이었다. 가난한 집안을 현명한 며느리가 일으키는 내용이다.*조사일시1983-07-20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 제보자심운택
- 단종의 귀양살이 시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82-01-12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월연리 | 제보자김일현
- 결혼식 날 앞집의 사촌과 색시가 바뀐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옛날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요청하자, 마침 재미난 얘기가 있다며, 적극적인 분위기로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 1. 27(수) | 조사장소부산시 동래구 명장2동 명장2동경로당 | 제보자김일연
기초학문(239)
- 정간보의 시가해석 재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949134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정간보의 시가해석 재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9
- 辭賦의 詩歌的 特性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우준호, 게재일 : 200112243 우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문화학회 2001 辭賦의 詩歌的 特性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유형논문 | 게재일2001
- 한반도 일본어 시가(詩歌)문학의 종장(終章) -1943년 11월 간행 국민시가발행소(國民詩歌發行所)의 〈조선시가집(朝鮮詩歌集)〉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5889 한국연구재단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한반도 일본어 시가(詩歌)문학의 종장(終章) -1943년 11월 간행 국민시가발행소(國民詩歌發行所)의 〈조선시가집(朝鮮詩歌集)〉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한국 고전시가에 끼친 중국시가의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5718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3 한국 고전시가에 끼친 중국시가의 영향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国民詩歌』――朝鮮半島における日本語詩歌文学の終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1618 한국연구재단 東アジアと同時代日本語文学フォーラム・高麗大学校GLOBAL日本研究院 2016 『国民詩歌』――朝鮮半島における日本語詩歌文学の終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2,139)
- 是可忍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슈표다리밋쳔변에엇더 무도놈이 갓난아를대상에 담아여다가 발엿그 쳔변에 거사이 발견고 쳔가온로 미러여 물에워보려으로 왕지인이 모혀셔셔보고 침빗고 짓지안쟈업더라게재일1906년 7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准時價買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대문 자우셩쳡을 팔간식 츌고 뎐거츌입길을만들일로 상 △된말은 이왕긔얏거니와 그뎡계에잇난 가옥을 다슈이 훼쳘터인 부에셔 한셩부로 신칙야 외국인의 가옥은 그소관리들과 교셥야 상당가을 츌급고 본국인의 가옥은 종시가야 졍실이 수케라얏다더...게재일1907년 4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堤政七(堤家具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堤政七(堤家具店) 평양 堤政七 堤家具店 旭町 12 - - 가구제조 - - 양가구 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堤政七(堤家具店) | 지역평양 | 품목- | 영업종목가구제조 | 자료출처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 釜山의 新市街經營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釜山의 新市街經營 1912년 11월15일 부산 부산 부산항 신시가지 택지 매각은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고, 희망자는대표표제어釜山의 新市街經營 | 연월일1912년 11월15일 | 지역부산
- 출판경찰보 139호 애국시가선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39호 애국시가선 애국시가선(愛國詩歌選) 귀결심(貴潔心) 미기재 상해(上海) 일본_1941년 8월 25일 금지 안녕 중국어 애국시가선 항일투쟁고취(抗日鬪爭鼓吹) 가사를 모...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39호 애국시가선 | 출판물명애국시가선(愛國詩歌選)
멀티미디어(188)
- 하남 덕풍동 수리골 유적 -시가지 우회도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시‧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하남 덕풍동 수리골 유적 -시가지 우회도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시‧발굴조사 보고서- j3-0043_#1 유구 도면 1. 조사지역 및 주변유적 위치도 2015-02-12_0.471615_도면 1. 조사지역 및 주변유적 위치도.jpg j3-0제목하남 덕풍동 수리골 유적 -시가지 우회도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시‧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서울시가 잠실지구 개발 촉진을 위해 건설한 잠실지구 아파트 단지 1차분의 준공 소식을 전하는 뉴스이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5년 8월 30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포항 시내 거리에서 가족계획 관련 캠페인을 벌이는 보건 관계자들 및 시가를 행진하는 가족계획사업 관계자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이다.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76년 11월 8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서울시가 성수대로 건설공사의 제2공구인 성수대교 및 연결입체도로 건설공사를 착공하여 착공식이 진행되었다.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77년 4월 2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본 영상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영상은 1947년 2월 28일에 촬영된 것으로 시가지에 나붙은 반탁(反託) 관계 벽보들을 보여준다. 두 번째 영상은 1947년 3월 1일에 촬영된 것으로 서울 시가지와 중앙청 일대에서 열린 경찰 시열식을 모습을 담고 있자료구분NARA수집영상 | 제작년도1947년 3월
기타자료(554)
- 시가고분군(施家墓群)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시가고분군(施家墓群) 중국 시가고분군(施家墓群) 고분유적 고구려~발해 요령성(遼寧省) 무순시(撫順市) 고이산성(高爾山城) 동쪽 시가고분군.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표표제어시가고분군(施家墓群)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시가고분군(施家墓群)
- 유엔 동시가입 문제에 대한 중공반응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유엔 동시가입 문제에 대한 중공반응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4/01/14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6140] 한국의 UN(유엔) 가입...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29. 콜랭 드 플랑시가 보내는 전보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9. 콜랭 드 플랑시가 보내는 전보문 n°2. Télégramme N 국제 문헌 근대 대한제국 고서/고문서 콜랭 드 플랑시가 보내는 전보문 러시아, 일본, 미국, 영국, 대한제국, 프랑스 프랑스어 7_CFD29.pdf (탈초...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8년 | 작성월일3월 13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서울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 교육제도 모범도시가 된 후린트시의 지역사회학교운영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제도 모범도시가 된 후린트시의 지역사회학교운영 교육제도 모범도시가 된 후린트시의 지역사회학교운영 교육 문헌 국제협력 국제교류 평생교육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성익 | 사료철명교육경남
- 수업목표의 세분화와 사전 목표제시가 학습성취에 주는 효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업목표의 세분화와 사전 목표제시가 학습성취에 주는 효과 수업목표의 세분화와 사전 목표제시가 학습성취에 주는 효과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교육학 교육...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병성, 유효순 | 사료철명Research Notes
연구과제(11)
-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이형대 | 고려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김려의 『사유악부』 번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이현우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조선왕조 말 개성상인과 자본주의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허성관 | 사단법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 2013 | 국내 | 서울
-
조선후기 여항 문학 자료 수집·해제 및 DB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영진 | 성균관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도시의 탈바꿈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Hyungmin Kim | The University of Melbourne | 2022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083)
-
시가 / 詩歌 [문학/고전시가]
원제명 미상의 가곡가집. 김천택이 편찬한 무신본(戊申本) 『청구영언』(1728)을 저본(底本)으로 삼아 증보·개편한 18세기 중반(1746년 추정)의 가곡가집이다. 수록 작품은 악곡별로 가곡(시조) 719수를 수록하고, 가창가사 「어부사」가 수록되어 있으며, 말미에 「
-
시가요곡 / 詩歌謠曲 [문학/고전시가]
편자·연대 미상의 시조 가집(歌集). 1책(총 28장). 순국문 필사본. 수록된 시조작품은 146수이며, 곡목별 편차를 지니고 있어 작품간에 분별이 잘 되어 있다. 시조의 곡목은 ‘여창우됴쳐치·듕허리·막ᄂᆡ·○자지난엽·밤얏자지난엽·계면쳣치·듕허리·막ᄂᆡ·죤자지난엽·농
-
시가점등 / 詩家點燈 [문학/한문학]
亥元日迄(경술납월념후시신해원일흘)’이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저자가 63세 되던 경술년인 1850년(철종 1) 동짓달에 저술을 시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序)와 발(跋)은 없다. 『시가점등』 권1의 앞 부분에 저자의 간단한 책명에 대한 소개가 있는데, ‘
-
연시가 / 年時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1929년상주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목판본으로 간행된 『용담유사(龍潭遺詞)』 제16편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라는 주장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현재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종이 있다. 2음보 1구로 총 1,164구
-
조홍시가 / 早紅枾歌 [문학/고전시가]
1601년(선조 34)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연시조. 모두 4수. 작자의 문집인 『노계집(蘆溪集)』 권3에 실려 있고, 『청구영언』·『해동가요』 등에도 전한다. 이덕형(李德馨)이 도체찰사로서 영천에 이르렀을 때에 홍시를 보내자 그 자리에서 이 시조를 지은 것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