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승지” 에 대한 검색결과 14,0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540)

사전(5,27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말기의 승려. [내용] 선사. 혜근(慧勤)의 제자이다. 금강산 윤필암(潤筆庵)에 머물면서 좌선수도에 정진하였다. 스승이 죽은 뒤 사리를 받들고 각청(覺淸)과 함께 묘향산에 들어가 이를 안치하였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남반(南班) 계통의 이속(吏屬), 또는 고려말 밀직사(密直司) 승선(承宣)의 개칭. [개설] 고려시대 ()는 보통 남반 계통의 이속을 가리킨다. 문종 때 설치되었으며, 공장(工匠)의 업무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를 담당한 듯...
    이칭별칭승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승정원(承政院)의 정3품 당상관. 도(都)‧좌(左)‧우(右)‧좌부(左副)‧우부(右副)‧동부(同副) 등 6를 말하며,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개설] 본래 는 고려시대에 승선(...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시윤의 두 며느리인 정씨부인과 황씨부인이 설씨부인을 모해하여377) 이름은 밝혀져 있지 않다. 임진란 때의 승장이라 했으니 서산대사로 볼 수도 있겠으나, 전후 내용을 검토해 보면 중국 삼국시대의 ‘관우’라야 옳을 듯하다. 혼인을 방해한 일을 전하 에게 알린다 . 전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원급제한 신유복을 대궐로 부르라는 임금의 명령을 사알에게 받아 다시 사령에게 전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1)

  • 숙종대왕 자료집 4 - 비지, 망단, 제문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이태희, 이남옥, 성인근, 박용만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50920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연령군신도비 延齡君神道碑 명빈박씨치제문 ?嬪朴氏致祭文 명빈사우견내시치제문 ?嬪祠宇遣內侍致祭文 연령군상산군부인견근시치제문 延齡君商山郡夫人遣近侍致祭文 연령군묘견치제문 延齡君墓遣致祭

고서·고문서(7,949)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220 俞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230 金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答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440 答崔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答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450 答崔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答金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490 答金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1)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양반 욕보인 이야기에 이어서 조사자가 돈 떼어먹구 그런 얘기는 없느냐고 하자 그런 얘기는 없다고 하고 들려준 이야기이다.*
    조사일시1979-02-25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 | 제보자안평국
  • 왜장 안고 순직한 어성 성주 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국현 씨와 제보자가 번갈아가면서 어성터의 유래에 대하여 이야기한 후 제보자가 자연스럽게 이 이야기를 이어갔다. 어성의 성주가 제보자의 십대조이자, 유명한 청도 14의사 중 한분이라고 했다. 박국현 씨도 아는 이야기인 듯 보였으나 참견하지 않았다.
    조사일시2009. 7. 18(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976-1번지 동회관 | 제보자박의묵
  • 대원군이 관상을 보고 준 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동장인 안태기가 안두모를 보고 가문에 남길 만한 이야기를 하라고 권하면서 이 이야기의 운을 텄다. 그러자, 오래간만에 선조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이야기를 다듣고 난 다음 일부 대목이 미흡하다고 생각한 안태기가 보완하는 이야기를 덧붙여 해주었다. 이야기를 마치고...
    조사일시1984-04-14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 제보자안두모
  • 명풍수 전와 한양조씨 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하해농주’ 이야기를 마치고는 조사자가 다음 이야기를 물어볼 때까지 잠시 아무런 말씀도 하지 않으신 채 생각에 잠기었다. 침묵을 깨고 조사자가 ‘전승지’라는 사람이 있었느냐고 물으니 “있었지” 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나주시 반남면 대영리 구영마을 산 8번지 나종삼 씨 댁 | 제보자나종삼
  • 성우향 춘향가 공연녹음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록A면 \"이렇듯 이몽룡 씨와 춘향이는 사랑가로 날개를 펴고 즐길 적에 호사다마라 뜻밖에 사또께서 동부 당상하야 올라가시게 되었고나\"라는 사설에서 시작함. \"둘이 서로 꼭 붙들고 실성발광으로 울음을 운다\"라는 사설에서 끝남.B면 \"꼼짝달싹 못허고 저희집 단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성우향

기초학문(9)

  • '징후'로서의 장 읽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8759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0 '징후'로서의 장 읽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創作初探 - 他的理想主義與抗戰文學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천현경, 게재일 : 2004
    13020 천현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문화학회 2004 張創作初探 - 他的理想主義與抗戰文學論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지역화 교육을 위한 마을 축제전통의 전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성진, 게재일 : 2014
    50749 남성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교민속학회 2014 지역화 교육을 위한 마을 축제전통의 전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옹기장인들의 ‘신라토기’의 상품화과정과 전식의 활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호, 게재일 : 2014
    49902 김재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실천민속학회 2014 옹기장인들의 ‘신라토기’의 상품화과정과 전식의 활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마을 단위 전식의 전달체계와 학교 연계교육의 지역화 전략 - 진주시 대평면 수몰지역의 집돌음 농악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성진, 게재일 : 2017
    16280 남성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속학연구소 2017 마을 단위 전식의 전달체계와 학교 연계교육의 지역화 전략 - 진주시 대평면 수몰지역의 집돌음 농악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244)

  • 改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징샹병으로 슌졀 김봉학씨의 증직은 법부참셔관으로 얏더니 다시 쳐분이나리 비셔승 증직이되얏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倘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에 미국 포와로가 사이 허다기로 향일 론셜에 말얏거니와 먼져갓던 사이 돈을버러셔 보되 그곳셔 삭월급을 금젼 이십오원식 쥬 십오원은먹고 십원식은 남어셔 보다 지라 셔관 사들이 포와가 승디강산인쥴알고 솔쳐고 그곳으로 가랴고 인쳔지 왓더니 사...
    게재일1903년 5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岡實(-) 부산 岡實 - 大倉町2-17 - - 선구(船具) - 55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岡實勝之(-)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선구(船具)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井上助(井上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井上助(井上助) 서울 井上助 井上助 岡崎町 8 청부업 - 면타(綿打) 청부 30.0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井上勝之助(井上勝之助)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면타(綿打)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江頭助(-) 대구 江頭助 - 西城町 1丁目 - - 곡물상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江頭勝之助(-)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곡물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멀티미디어(4)

  • 15세기 중반 승씨()의 분포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5세기 중반 승씨()의 분포 지리 제도 근현대 사회 성씨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없음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사회_256_15세기_중반_승씨()의_분포 사회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승씨()의 분포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5세기 중반 승씨()의 분포 지리 제도 근현대 사회 성씨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없음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사회_190_15세기_중반_승씨()의_분포 사회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승씨()의 분포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5세기 중반 승씨()의 분포 지리 제도 근현대 사회 성씨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없음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사회_255_15세기_중반_승씨()의_분포 사회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한국의 어린이들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한국의 어린이들을 학교에서 각 과목 별로 수업하는 모습과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한국의 여러 명를 관광, 견학하는 모습을 통해 보여준다.
    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73년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47)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4233 북한 평남 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3-01 光成 제8호 1934―02―20 156면 1. 제14회 졸업생명부 1934년 (가나다 순) 108명 (현 재학) 김;金 대동군 대동강면...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산본;山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5408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7호 1936―04―05 161면 산본;山本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산본;山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4958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6호 1934―11―05 100면 산본;山本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산본;山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4780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57면 이;李;산본;山本 제20회 1932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해균;李海均;목하;木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771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81-1면 이해균;李海均;목하;木下 제18회 1943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46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 도·좌·우·좌부·우부·동부 등 6를 말하며,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 / 景 [지리/자연지리]

    경치가 좋아 지정된 장소. 경는 명보다 더 포괄적이고 넓은 의미를 갖는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정부는 경치가 좋은 경 중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곳을 명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경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점차 바뀌었다. 과거에는

  • / 都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의 정3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도는 왕의 측근에서 시종하며 인재를 가려 관리로 선발하는 일에 깊숙이 관여했기 때문에 기능이 왕권과 직결되었다. 따라서 왕권이 강력한 시기나 국왕의 신임을 받을 때에는 의정부·육조 대신에 필

  • 동부 / 同副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정원은 1인이다. 통정대부로 다른 들과 품계는 같았으나, 앉는 순서는 서벽(西壁)의 말석이었다. 조선 전기에는 서벽의 로서 직을 옮길 때 동벽의 에 비하여 약간의 차별이 있었으나, 후기에는 이러한 차별도 거의 없어지게

  • / 副 [정치·법제/법제·행정]

    조 때 도··부·동부로 개칭되었는데 와 부는 각기 좌·우 2인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