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승여사” 에 대한 검색결과 1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

사전(9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된 하위 관서)도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1405년 1월에 병조가 정2품 아문으로 격상될 때 속사제(屬司制)도 갖추어져, 3개의 사를 예하에 두게 되면서 도 성립을 보게 되었다. 이 때에 생긴 가 그대로『경국대전』에 오르게 되었다. 『경국대전』...
  • (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輿 마색(馬色), 고역전(尻驛典), 경도역(京都驛), 공역서(供驛署), 노부(鹵簿), 여련(輿輦), 유악(帷幄), 구목(廐牧), 정역(程驛), 보충대(補充隊), 조례(皂隸), 나장(羅將), 반당(伴倘) 경제교통...
    관련어마색(馬色), 고역전(尻驛典), 경도역(京都驛), 공역서(供驛署), 노부(鹵簿), 여련(輿輦), 유악(帷幄), 구목(廐牧), 정역(程驛), 보충대(補充隊), 조례(皂隸), 나장(羅將), 반당(伴倘)
  • 승록사()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승록사 승록사 승정(僧政), 양가(兩街), 도승통(都僧統), 승록(僧錄), 승정(僧正), 승적(僧籍), 도첩(度牒) 정치행정/관청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 조선 강호선 고려~1424년(세종...
    관련어승정(僧政), 양가(兩街), 도승통(都僧統), 승록(僧錄), 승정(僧正), 승적(僧籍), 도첩(度牒)
  • 의장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각 전(殿)의 의장(儀仗)을 담당하던 병조 (輿) 소속의 관서. [내용] 고려시대의 위위시(衛尉寺)를 계승하여 설치되었는데, 장(長)은 병조 의 낭관(郎官)이 겸임하며, 낭청(郎廳) 2명도 의 부장(部長)이
  • 길의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가노부(大駕鹵簿)ㆍ법가노부(法駕鹵簿)ㆍ소가노부(小駕鹵簿)로 구분한다. 조선시대 노부의 관리와 운영은 병조 (輿)에서 담당하였다. 의장에 사용되는 물품을 형명(形名)이라고 하는데 160여 가지나 있다. 길의장에 속하는 것으로는 각종 기치류ㆍ무기류ㆍ산류ㆍ...

고서·고문서(11)

  • 輿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10_0060 輿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357년 승록사첩(貼)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7년(공민왕 6) 7월에 승록사에서 전라도 안렴사에게 발급한 문서로서, 백암사 주지 약운과 그 제자들을 백암사에서 쫓아내고 들어오지 못하도록 금지한다는 내용이다. 백암사는 현재의 백양사로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남장성군북하면약수리에 자리하고...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
  • 普濟寺 設落成會 請王臨幸 有 司 諫止之 仲夫 陰令 奏請親幸 具盛饌以進 王 不欲久留 命宰樞承宣侍臣 同時赴宴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爲附庸 愚溪旣當其任 然老病未遑發 偶聞商船至 欲成先策 遴選俊髦 臺評湊師 卽勅宣尉使阿答刺相公 遣一省郞及慶元府判官知書昌國州知州僧正司知書等五十餘人 入寺出宣慰使手書及官書曰 皇帝聖旨下省府 賜師金襴衣及妙慈弘濟大師號 泛溟波 到日本 通二國之好 乃以衣帖付師 軟語慰勞 師思不可逭...
    국가일본 | 서명一山國師行記 | 왕대충선왕(忠宣王)  0
  • 三綱行實圖 三綱行實忠臣圖 嵆紹衛帝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太弟穎僭侈日甚大失衆望司空東海王越等謀討之奉惠帝北征徵前侍中嵇紹詣行在侍中秦準謂紹曰卿有佳馬乎紹正色曰臣子扈衛輿生以之佳馬何爲穎遣石超帥衆五萬拒戰超軍奄至乘輿敗績於蕩陰帝傷頰中三矢百官侍御皆散紹朝服下馬登輦以身衛帝兵...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3)

  • / 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의 행차에 관한 의장과 교통 관계의 역정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던 관서. 병조에 속한 관서이다. 1405년 1월에 병조가 정2품 아문으로 격상될 때 속사제도 갖추어져, 3개의 사를 예하에 두게 되면서 도 성립을 보게 되었다. 때에 생긴 가 그대로

  • 마색 / 馬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교통관계를 주로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병조소속의 관서. 기능은 관원이 지방에 부임하거나 공무로 여행할 때에 역마를 제공하는 입마(立馬), 역마를 제공받은 관원의 숙식편의를 위하여 공행의 일정표를 연도의 각 관청에 미리 보내는 노문(路文), 관원이 지나가

  • 의장고 / 儀仗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전의 의장을 담당하던 병조 소속의 관서. 의장은 크게 길의장과 흉의장으로 나누어진다. 길의장은 궁궐의 길례·가례에 사용되는 것으로 왕·왕비·왕세자가 갖추는 양산·개·선·금고·기·당·등·과·부 등이 있었다. 흉의장에는 만장·방상식·삽·우보 등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