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승선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
사전(46)
- 승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궁내부 산하 승선원의 관직. [내용] 승선원은 1894년(고종 31) 7월 22일 설치되어 왕명의 출납‧기주(記注)‧기사(記事)‧상서(尙瑞)‧품질(品秩)‧검사(檢査) 등의 임무를 맡았다. 의정부로 이속시키려는 논의도 있었지만
- 우승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관직. [내용]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으로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府中)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를 두었다. 이 개편의 일환으로 종래의 승정원을 고쳐 승선원을 두었는데 여기 관직의 하나이다. 정원은
- 우부승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관직. [내용]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으로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府中)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宮內府)를 두었다. 이 개편의 일환으로 종래의 승정원을 고쳐 승선원을 두었는데 이 관직의 하나이다.
- 승선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정부와 궁내부(宮內府)를 둘 때, 조선 초기부터 있었던 승정원을 개편하여 승선원으로 하고 궁내부에 소속되게 하였다. 관원으로는 도승선‧좌승선‧우승선‧좌부승선‧우부승선 각 1인, 기주‧기사‧향실금루주사(香室禁漏主事) 각 2인을 두었다. 그러나 종래의 승정원과 같...이칭별칭승정원|시종원비서감(侍從院?書監)
- 승선원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4년(고종 31) 왕명출납기관이던 승선원의 일기. [내용] 4책. 1894년 7월∼10월 사이 4개월간의 기록으로 1개월분을 1책으로 하여 승선원에서 처리한 왕명의 출납, 제반 행정사무, 의례적 사항에 관한 사무일기이다. 이...
고서·고문서(27)
- 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북방 해상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북방 해상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대표표제어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북방 해상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어선, 표류
- 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북방 25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북방 25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대표표제어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북방 25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어선, 표류
- 북한 어선 1척, 속초 동방 20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 어선 1척, 속초 동방 20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대표표제어북한 어선 1척, 속초 동방 20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2명(남자), 판문점 경유 송환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어선, 표류
- 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동북방 32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5명, 판문점 경유 송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동북방 32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5명, 판문점 경유 송환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대표표제어북한 어선 1척, 울릉도 동북방 32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5명, 판문점 경유 송환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어선, 표류
- 북한 어선 1척, 속초 동방 53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6명, 판문점 경유 송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북한 어선 1척, 속초 동방 53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6명, 판문점 경유 송환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대표표제어북한 어선 1척, 속초 동방 53마일 지점에서 표류 * 승선원 6명, 판문점 경유 송환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어선, 표류
주제어사전(12)
-
승선원 / 承宣院 [역사/근대사]
구한말 왕명의 출납, 기주, 기사, 상서, 품질, 검사의 일을 관장하던 관청. 1894년 관제개혁시 의정부와 궁내부를 둘 때, 조선 초기부터 있었던 승정원을 개편하여 승선원으로 하고 궁내부에 소속되었다. 1894년 9월 11일 군국기무처에서 의정부에 소속시켜야 한다는
-
승선 / 承宣 [역사/근대사]
구한말 궁내부 산하 승선원의 관직. 승선원은 1894년 7월 22일 설치되어 왕명의 출납, 기주, 기사, 상서, 품질, 검사 등의 임무를 맡았다. 승선원의 관제는 도승선, 좌승선, 우승선, 좌부승선, 우부승선 각 1인, 기주, 기사, 주사 각 2인으로 되어 있었다.
-
도승선 / 都承宣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승선원의 최고 관직. 1894년 갑오개혁으로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를 두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승정원은 승선원으로 개혁되었는데, 도승선은 이의 최고관직이다. 정원은 1인이었으며, 왕명의 출납과 기사의 기주를 관장하였다.
-
동부승지 / 同副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되었다.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때 승선원(承宣院)의 우부승선(右副承宣)으로 개칭되었다.
-
비서랑 / 秘書郎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의 궁내부 소속 비서감, 비서원의 관직. 조선시대 승정원이 1894년 갑오개혁 때 승선원으로 바뀌었고 1895년 4월 궁내부 관제가 다시 공포될 때 승선원이 폐지되었다. 이 때 그 기능의 일부는 시종원의 하부기구인 비서감으로 이관되었다. 1905년 3월 궁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