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승사랑” 에 대한 검색결과 2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7)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8품 문관의 품계. [내용] 1356년(공민왕 5)에 처음 설치된 이후 징사랑(徵事郎)과 번갈아가면서 사용되었다. →문산계 『고려사(高麗史)』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8품 문신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져 그뒤『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봉사‧전곡‧별검‧기사관‧부사용‧수문장 등이 있다. →문...
  • 징사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1076년(문종 30)에 정8품의 하계(下階)로 정하여져 29등급 중 제23계였다. 1356년(공민왕 5) 이후에는 ()과 번갈아가면서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 문산계 ...
  • 단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명부 정‧종8품의 위호(位號). [내용] 문무관 정8품 통사랑(通仕郎)의 적처(嫡妻)와 종8품 ()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다. 성종 때 『경국대전』 외명부조에 처음으로 나온 명칭이다. 남편의 고신(告身...
  • 강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23(중종 18)∼1567(명종 22).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중보(仲輔), 호는 개암(介庵) 또는 송암(松庵). 함양 효우촌(孝友村)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 근우(謹友)이며, 어머니...
    이칭별칭 중보(仲輔)| 개암(介庵), 송암(松庵)

고서·고문서(176)

  • 부군가장초기(府君家狀草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행장 | 현소장처영해 도곡 무안박씨
  • 우공묘갈명(禹公墓碣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735년(?) 빙조(聘祖) () 제문(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현소장처영해 도곡 무안박씨
  • 權寏을 司饔院奉事로 임명하는 교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977 1703_01 權寏을 司饔院奉事로 임명하는 교첩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LK113.JPG 權寏을 司饔院奉事로 임명하는 교첩 교첩 吏曹...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690년 이유(李瀏)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90년(숙종16)10월에 이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행성균관학유이유를 행성균관학유겸양현고봉사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영산사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8품 문신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져 그뒤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 관직으로는 봉사·전곡·별검·기사관·부사용·수문장 등이 있다.

  • 종팔품 / 從八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6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는 (), 무산계는 수의부위(修義副尉)로 정해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 문무관 처의 직명은 단인이라고 하였다. 한편,

  • 신흠 / 申欽 [종교·철학/유학]

    1566(명종 21)∼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세경 증손, 할아버지는 영, 아버지는 승서이다. 어머니는 송기수의 딸이다. 송인수와 이제민의 문하에서 수학, 1586년 으로서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병조좌랑, 홍문관교리, 병조참지, 예조참

  • 단인 / 端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 정·종8품의 위호. 문무관 정8품 통사랑의 적처와 종8품 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다. 성종 때 ≪경국대전≫ 외명부조에 처음으로 나온 명칭이다. 남편의 고신에 따라 그 부인을 봉작하되, 부도가 바른 사람이어야 하며 서얼출신이나 재가한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