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승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5)
사전(41)
- 승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한제국시대 궁내부 소속 시종원(侍從員)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으로 주임관 벼슬이었고 국왕을 곁에서 모시는 일을 하였다. 1900년 8월에 설치되었다가 1905년 3월에 폐지되었다. 『한말근대법령자...
- 박승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1∼1933. 조선 말기의 개화파 인사.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호는 산농(汕農)이다. 순조의 외가 직계자손이며 유학의 거장인 박윤원(朴胤源)의 종5대손이고, 박정양(朴定陽)‧박영효(朴泳孝)와도 친척지간이 되는 명문 가문 ...이칭별칭 산농(汕農)
- 승봉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육지와는 인천과 덕적간을 운항하는 정기여객선을 이용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분교 1개교가 있다. 지형이 마치 봉황새의 머리모양 같다 하여 승봉도라 부른다. 본래 남양군(南陽郡)에 속했던 섬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부천군(富川郡)에, 1973년 부천...
- 승봉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종8품 상계(上階) 문관의 품계. [내용] 1076년(문종 30)에 정해졌다. 전체 29등급 가운데 24등급으로,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복위하여 개정할 때 6품계로 승급된 뒤 조청랑(朝請郎)과 번갈아가면서 ...
- 송원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유학자 오승봉(吳承鳳)의 시문집. [내용] 9권 4책. 필사본. 서문은 없고, 권말에 아들 원익(元翼)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영양의 송원정사(松源精舍)에 있다. 권1ㆍ2에 시 165수, 만사 100수, 권3ㆍ4에 서(書) 89...이칭별칭진암집
고서·고문서(170)
- 下卯七 萬年惟王 【梅云:“欲使至於萬年,承奉王室。”○蔡云:“此人臣祈君永命之辭。”】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50_0380 下卯七 萬年惟王 【梅云:“欲使至於萬年,承奉王室。”○蔡云:“此人臣祈君永命之辭。”】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平安道庄土文績_제10책 : 平安南道肅川郡保民垌所在庄土李彰鎬提出圖書文績類 10. 訓令平安北道觀察使朴勝鳳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5394 奎 19305 平安道庄土文績 제10책 : 平安南道肅川郡保民垌所在庄土李彰鎬提出圖書文績類 10-010 10. 訓令平安北道觀察使朴勝鳳 훈령 2 18.6x31.3 판심(宮內府), 宮內府에서 平安北道觀察使에 내리는 訓令임자료명平安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全羅道庄土文績_제24책 : 全羅南道長興郡南面所在庄土龍洞宮所管圖書文績類 70. 乾隆伍拾貳年-丁未-三月二十一日吳勝奉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0483 奎 19301 全羅道庄土文績 제24책 : 全羅南道長興郡南面所在庄土龍洞宮所管圖書文績類 24-070 70. 乾隆伍拾貳年-丁未-三月二十一日吳勝奉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7.7x38.2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7...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明禮宮(1887)_황해도 황주목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8586 18211_0900 奎18211 明禮宮(1887) 황해도 황주목 永豊坊 敬天里 황해도 황주목 永豊坊 敬天里 69 69결 김승봉(金承奉) 김승봉(金承奉)자료번호18211_0900 [奎1821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淑善翁主房(1816)_전라도 장흥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21385 18890_0906 奎18890 淑善翁主房(1816) 전라도 장흥부 安下面 新村坪 전라도 장흥부 安下面 新村坪 38 1 38결 1두락 오승봉(吳升奉)자료번호18890_0906 [奎1889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9)
- 승봉산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야기가 잠시 중단돼서 조사자가 묘에 얽힌 이야기가 없냐고 묻자, 제보자가 이 자료를 제공한 것이다.*조사일시1984-06-09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 제보자김국배
- 인물이 난다는 승봉산의 옥녀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이 지방에 관한 이야기가 또 없냐고 물었더니 김국배씨가 매향비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었다. 다른 사람들도 모두 한 마디씩 거들었다.*조사일시1984-06-09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 제보자김국배
- 은산별신제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잡가[독창: 김승봉] (13:22) 7) 춘향가 중 이별가[독창: 미상] (14:13) 8) 곡명 미상[독창: 황주행] (14:59) 9) 새타령[독창: 김승봉] (18:53) 10) 모심는 소리[독창: 유봉렬] (21:35) 11) 지경다지는 소리[독창: 미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승봉
- 은산별신제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잡가[독창: 김승봉] (13:22) 7) 춘향가 중 이별가[독창: 미상] (14:13) 8) 곡명 미상[독창: 황주행] (14:59) 9) 새타령[독창: 김승봉] (18:53) 10) 모심는 소리[독창: 유봉렬] (21:35) 11) 지경다지는 소리[독창: 미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동철
- 은산별신제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잡가[독창: 김승봉] (13:22) 7) 춘향가 중 이별가[독창: 미상] (14:13) 8) 곡명 미상[독창: 황주행] (14:59) 9) 새타령[독창: 김승봉] (18:53) 10) 모심는 소리[독창: 유봉렬] (21:35) 11) 지경다지는 소리[독창: 미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남궁영
기초학문(1)
- The Trap of Distrust: How Politics and Institutions Affect Social Trus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승봉, 게재일 : 201515486 전승봉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소 2015 The Trap of Distrust: How Politics and Institutions Affect Social Trust https://www.kr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64)
- 酬金勝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소관공업젼습소에셔 일본공학박 평하의미씨를 명예고문으로 연빙지가 불과월여인 농상공부에셔 탁지부로 조회기를 고문이 명예로 시무야 무방조 공효가 불소즉 슈로금 오환을 지발케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陞俸不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명년도 예산에도 각부부원쳥 관인의 승등 봉급은 더쥬지아니기로 마련이라더라게재일1902년 11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朴承鳳(錦成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朴承鳳(錦成商會) 서울 朴承鳳 錦成商會 鍾路 1-57 포백류 - 포목(布木) 도매 890.01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朴承鳳(錦成商會)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덕원부윤 박승봉과 쟝진군슈 박일헌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덕원부윤 박승봉과 쟝진군슈 박일헌과 안변군슈 최훈쥬와 경흥부윤 심후과 부령군슈 양린욱씨 다 안리슌하씨의 셔계에 치젹이 쵸월으로 각각일등식 승차엿더라게재일1901년 4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시죵원관제에 봉시다음에 승봉이란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시죵원관제에 봉시다음에 승봉이란벼 두 리를 쥬임관으로 마련고 관이 피임게엿더라게재일1900년 8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0)
- 최승봉;崔昇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636 북한 평남 義明學校學 3-09 義明學校學友會 會員名簿 n.r. 6면 1. 통상회원의 부(가나다순);6) 제6회졸업자(1918년도) 최승봉;崔昇鳳 강서;上海 新閘路 永泰里 898호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義明學校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승봉;洪承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0450 남한 경성 경성실업전수학교 1-10 경실 제3호 1932 108면 ㅁ1. 졸업생명부;ㅁ2) 제2회 홍승봉;洪承鳳 (원적및주소또는근무처)훙남 연기군 전의면 동교리 자택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실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승봉;朴昇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0363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83면 1. 숭전·숭실 졸업생;5) 바行部 박승봉;朴昇鳳 황주군 흑교면 흑교리 93;滿...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승봉송;承鳳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9723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64면 승봉송;承鳳松 평북 정주군 高安面 小嚴洞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승봉;洪承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3816 남한 경성 경성실업전수학교 1-10 京實제5호 1934―04 114면 1. 졸업생명부;2) 제2회 홍승봉;洪承鳳 (원적및주소또는근무처)훙남 연기군 전의면 동교리 자택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실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승봉 / 承奉 [역사/근대사]
대한제국시대 궁내부 소속 시종원 관직. 정원은 2인으로 주임관 벼슬이었고 국왕을 곁에서 모시는 일을 하였다. 1900년 8월에 설치되었다가 1905년 3월에 폐지되었다.
-
승봉도 / 昇鳳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승봉리에 있는 섬. 동경 126°18′, 북위 37°10′에 위치하며,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39.8㎞ 지점에 있다. 면적은 6.39㎢이고, 해안선 길이는 9.5㎞이다. 북쪽으로는 자월도, 서쪽으로는 대이작도를 마주한다. 2010년 기준으로 인
-
덕적도패총 / 德積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에 있는 조개더미 유적. 1954년 국립박물관에서 실시한 서해도서조사를 통하여 덕적도를 비롯한 소야도(蘇爺島)·승봉도(昇鳳島) 등에서 빗살무늬토기가 나오는 패총의 소재가 알려졌으며, 1967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중심으로 자세한 조
-
나주군도 / 羅州群島 [지리/자연지리]
조선시대에는 이 일대의 섬들이 전라도 나주목에 속하였기 때문에 유래한 지명이다. 최고봉인 자은도의 두봉산(斗峰山, 364m), 암태도의 승봉산(升峰山, 356m)·큰봉산(223m) 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200m 미만의 기복을 보인다. 주위에 발달한 넓은 간석지는 간척
-
두륜산 / 頭輪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ㆍ삼산면ㆍ북일면에 걸쳐 있는 산. 두륜산의 높이는 700m이고, 소백산맥의 남단에서 남해를 굽어보며 우뚝 솟아 있다. 이 산은 주봉인 가련봉(迦蓮峰, 700m)을 비롯하여, 두륜봉(頭輪峰, 630m)ㆍ고계봉(高髻峰, 638m)ㆍ노승봉(능허대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