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승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8)
사전(147)
- 승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승려가 입는 의복. [내용] 승의(僧衣) 또는 법의(法衣)라고도 한다. 원래 부처님은 가사(袈裟)를 제정하여 승복의 기본으로 삼았다고 한다. 그 뒤 인도에서는 가사를 사계절의 평상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중국에 전래되어서는 기후와 의습속(衣...이칭별칭승의|법의
- 僧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2_O_0079 僧服 불교 袈娑, 水田衣, 稻畦衣, 毠㲚, 逍遙服, 無塵衣, 無垢衣, 離塵衣, 功德衣, 大衣, 直綴, 褊衫, 寬衣, 肉袒, 五福, 毗盧, 八寶, 唐像, 梵像, 三衣, 安陀會, 下品衣, 行道, 務櫬身等衣, 鬱多羅僧, 中品衣, 入衆說法衣...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승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6(고종 23)∼1961. 유학자.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덕수(德受). 호는 양곡(良谷). 아버지는 동호(東鎬)이며, 어머니는 창녕조씨(昌寧曺氏) 학신(學臣)의 딸이다. 동포(東杓)에게 입양(入養)되었으며, 곽종석(郭鍾...이칭별칭 덕수(德受)| 양곡(良谷)
- 이승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홍(三千百日紅)』(평주이승복선생망구송수기념회 편, 인물연구소, 1974) 이승복(1895-1978) 1895(고종 32)-1978. 독립운동가.
- 동사구문사전 : 승복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2845 승복하다 승복하다I 승복-하다1 承服-- 승복하여(승복해), 승복하니, 승복하고 승복을 하다 일반동사 vi Ⅰ (사람이나 단체가 어떤 사실이나 결과 따위에) 납득하여 따르다. (of a person or a...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고서·고문서(772)
- 승복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승복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3 2 승복, 민정계, 로태우선생님, 민자당, 공백상태, 김영삼선생님, 민생,...대표표제어승복 | 성씨김
- 반공어린이 이승복군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반공어린이 이승복군 대한민국(남한) 국방홍보원 기타(신문) 국방부 산하 국방홍보원에서 발행하는 『국방일보』: 1964년 11월 417일 창간 이승복,대표표제어반공어린이 이승복군 | 저작권자국방홍보원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이승복, 사건
- 1855년 김승복(金升卜) 준호구(準戶口)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신안 하의 김해김씨 덕봉강당
- 1858년 김승복(金升卜) 준호구(準戶口)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신안 하의 김해김씨 덕봉강당
- 故 이승복군 추모 13주기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故 이승복군 추모 13주기 대한민국(남한) 국방홍보원 기타(신문) 국방부 산하 국방홍보원에서 발행하는 『국방일보』: 1964년 11월 985일 창간 북...대표표제어故 이승복군 추모 13주기 | 저작권자국방홍보원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무장공비, 침투
구술자료(6)
- 충청북도 괴산군_1. 느린 방아 2. 짜른 방아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6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1. 느린 방아 2. 짜른 방아 1. 느린 방아 2. 짜른 방아 아이맬 때의 방아소리 류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2리 (소리실, 길골) 1995.12.14 素95-12-14①A 박종순, 김진호, 김승복, 최기준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2리 (소리실, 길골) | 녹음날짜1995.12.14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7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잘하네 못하네 이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1리, 2리(소리실, 길골) 1995.12.14 素95-12-14①A 박종순, 김진호, 김승복, 최기준, 김태형, 유용현, 우용구 (메) : 박종순(19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1리, 2리(소리실, 길골) | 녹음날짜1995.12.14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김기병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북한 사절단(김달현 부총리) 영접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김기형, 김달현, 김상돈, 김성곤, 김정렴, 김종필, 동훈, 박마리아, 박승복, 박정희, 송요찬, 신격호, 신춘호, 심흥선, 양윤세,구술자김기병 | 직업한일협력위원회 부회장 | 지역함경도
- 인간과 목숨을 건 내기에서 패한 하늘신 깍발머하프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몸을 씻어서 마음이 편하고 따뜻해지는 행복, 밤에 자기 전에 발을 깨끗하게 씻는 행복, 이 세 가지가 해답이라고 말하였다. 토머말이 깍발머하프롬 신에게 찾아가 정답을 말하자 신은 승복하며 약속대로 자신의 머리 일곱 개를 잘랐다. 신에게는 일주일 중 각 요일을 뜻하는 이국가캄보디아 | 제보자킴나이키 [캄보디아, 여, 1991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똠과 띠우의 사랑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반해 사랑에 빠졌고 똠은 큰스님의 경고에도 승복을 벗었다. 그러나 띠우의 어머니 예판의 반대로 둘은 헤어졌다. 왕이 아름답다고 소문난 띠우를 보고 반해 결혼하려고 똠을 불러 노래를 청했다. 똠은 아름다운 목소리로 띠우와의 사랑과 이별을 노래하였다. 왕이 진실을 알고 똠국가캄보디아 | 제보자킴나이키 [캄보디아, 여, 1991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
- 지향성 탐지 과정의 뇌 활성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승복, 게재일 : 200608471 이승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인지과학회 2006 지향성 탐지 과정의 뇌 활성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옥환기봉〉 연작의 여성담론과 소설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승복, 게재일 : 200628253 이승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옥환기봉〉 연작의 여성담론과 소설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32)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終豫公判에廻附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787 1932 7 20 1 1 安在鴻終豫公判에廻附 신문 동아일보 2면 9단 기타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李昇馥 A19320720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陞副領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공관 참찬관 파덕씨가 부령를 승챠고 외부로 셩명야 각함감리에게 훈령을 청엿다더라게재일1902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李昇馥 保釋今日許可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788 1932 7 21 1 1 安在鴻,李昇馥 保釋今日許可 신문 동아일보 2면 10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李昇馥, 保釋 A19320721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高承復(德昌商會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承復(德昌商會 ) 수원 高承復 德昌商會 梅山町 1町目 28 - - 고무靴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高承復(德昌商會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고무靴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민세안재홍전집 : 安,李兩人收監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01 1933 5 2 1 1 安,李兩人收監 신문 조선중앙일보 2면10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安在鴻, 李昇馥, 西大門刑務所 A19330502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1)
- 1960년 6월 24일 강남국민학교(초등학교) 교정에서 이승복 동상 제막식이 열렸다. 강남국민학교 어린이회는 4월 18일 이승복 군의 애국심을 본받기 위해 교정에 동상을 세우기로 결의했다.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70년 6월 2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58)
- 민승복;閔承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421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水原學報 제21권 제1호 1928―07―10 123면 민승복;閔承福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민승복;閔承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027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75면 민승복;閔承福 경기 제9회 193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민승복;閔承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650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48면 민승복;閔承福 경기 제9회 193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승복;白承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259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56면 백승복;白承福 제3회 192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승복;劉承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581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회원명부(소화16년 12월) 1941―12 111면 유승복;劉承復 경성부 필운정 195 (電光③2519) 보통회원(을종)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2)
-
승복 / 僧服 [생활/의생활]
승려가 입는 의복.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중엽 이후부터 고려 말까지 약 1,000년 동안 중국의 흑장삼과 붉은 가사를 받아들여 전통적인 우리 옷 위에 착용하였다. ≪삼국유사≫ 원종흥법조(原宗興法條)에 보이는 피방포(被方袍)는 가사로 추측되는데, 이는 중국에서 건너온
-
임승복 / 林勝福 [예술·체육/연극]
1912-미상. 일제 강점기 극작가. 필명은 임선규(林仙圭)이고, 개명한 이름은 임중랑(林中郞)이다. 본적은 충청남도 논산군(論山郡) 관동리(官洞里)이다. 부인은 여배우 문예봉(文藝峰)이다. 1927년부터 1931년까지 공립강경상업학교 3학년을 수료한 뒤, 1931
-
남평읍지 / 南平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도 남평(현 나주시 남평읍)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38년에 편찬한 지방지. 4권 2책. 인본(印本). 1657년(효종 8) 편찬한 것을 1838년 증보, 간행한 것이다. 1928년 홍승복(洪承復) 등이 다시 수보(修補), 간행하였다. 서정렬(
-
도포 / 道袍 [생활/의생활]
로 우리 나라의 승복인 장삼과 동일하고 명칭으로 보아서도 도복이 분명하다고 하였다.
-
안방준 / 安邦俊 [종교·철학/유학]
1573(선조 6)∼1654(효종 5).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중관, 처는 정승복의 딸이다. 중돈에게 입양되었다. 박광전·박종정에게서 수학, 1591년(선조 24) 파산에 가서 성혼의 문인이 되었다. 지평, 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편저로 ≪항의신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