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승보시” 에 대한 검색결과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

사전(5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시(進士試)와 같이 시부(詩賦)나 경의(經義)로 하였다. 이 는 생원으로 하여금 국자감에 나아가게 하였던 것으로, 국자감의 연구생채용시험 성격을 띤 일종의 예비고시기능을 가졌다. 한편, 는 국학 또는 국자감으로 불리는 최고교육기관 안에서 상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국학생에게 보인 승급시험. [내용] 고려시대의 는 1109년(예종 4)에 국학(國學)에 칠재(七齋)가 생긴 뒤 국자생(國子生)‧태학생(太學生)‧사문학생(四門學生) 등 일반국학생들이 칠재에 올라갈 수 있는 자격시험을 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거(科擧) 승보(陞補) 사학(四學), 성균관(成均館), 기재생(寄齋生), 식년시(式年試), 생원시(生員試), 진사시(進士試)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박현순 ...
    상위어과거(科擧) | 동의어승보(陞補) | 관련어사학(四學), 성균관(成均館), 기재생(寄齋生), 식년시(式年試), 생원시(生員試), 진사시(進士試)
  • 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합격생을 모아 성균관대사성이 연담(讌談)하던 제도. [내용] 는 경중(京中)의 4학 생도들을 대상으로 매월 1일과 15일에 시 1수와 부(賦) 1편으로 시험하고 연말에 점수를 계산하여 우수한 자 10인(뒤...
  • 반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경(明經) 2인을 뽑았다. 그리고 1284년에는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의 시원이 되어 시부와 경의(經義)로 33인을 뽑았다. [상훈과 추모] 경상남도 거제의 문절사(文節祠)에 제향되었다.
    이칭별칭 군수(君秀)| 해려재(海旅齋)

고서·고문서(17)

  • 1873년 기윤진(奇允鎭)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73년(고종10) 7월 1일에 기윤진(奇允鎭)이 아들 기양연(奇陽衍)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가족들의 안부를 전하고, 금년의 ()에 관한 일을 부탁하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839년 하백원(河百源)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39년(헌종5)에 하백원이 큰아들에게 답한 서간이다. 과거를 보러간 아들의 소식과 막내며느리의 병을 염려하고 있다. 둘째아들이 ()를 준비하므로 집안일은 모두 숙부와 상의하고, 익의 분가 문제는 흉년으로 미루자고 말했으며, 두 손자의 학습 상황과 자신의...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1864년 김칠환(金七煥) 서간(書簡)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4년2월 6일에 김칠환(金七煥)이 이봉덕에게 보낸 서간이다. 김칠환은 상대방이 작년에 문과 복시에 급제한 것을 축하하면서, 완주(完州)에 사는 김사민(金士敏)의 집을 함께 방문하자고 부탁하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 1835년 하백원(河百源)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35년(헌종1)에 하백원이 큰아들에게 보낸 서간이다. 요즘 어떤 책을 읽는지, 익의 혼처는 있는지, 와 복시는 보았는지 물으며 자신은 이달 초 노성가의 집으로 옮겼는데 마음에 든다고 했다. 달력 11개와 간지(簡紙) 2축을 함께 보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1843년 하백원(河百源)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43년(헌종9)11월 4일에 하백원이 둘째 아들과 셋째 아들에게 답한 서간이다. 고향으로 돌아갈 날이 반년이 남아서 답답하며, 둘째 아들이 집안일에 얽매여 공부에 전념하지 못하는 것을 고민했다. 에 서울로 가서 봉내를 잘 작성하고, 어린 손자의 병을 속히 치...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국학생에게 보인 승급시험. 고려시대의 는 1109년(예종 4)에 국학에 칠재가 생긴 뒤 국자생·태학생·사문학생 등 일반국학생들이 칠재에 올라갈 수 있는 자격시험을 의미하였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는 사학에서 성균관기재에 올라가는 자격시험을 의

  • 이정귀 / 李廷龜 [문학/한문학]

    통해 성장하였다. 유년시절부터 남다른 문학적 자질을 보이기 시작해 8세에 벌써 한유(韓愈)의 「남산시(南山詩)」를 차운(次韻)했다고 전한다. 1577(선조 10) 14세 때에 ()에 장원을 하며 명성을 떨치기 시작해 1585년(선조 18) 22세에 진사, 5

  • 상사 / 上舍 [교육/교육]

    시·부는 물론 경학 시험까지 치르는 소위 를 거쳐야만 했다. 한편 상사생들은 7재에서 보통 3년 동안 재학했으며, 경학을 위주로 공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