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승문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승문원문서
연구성과물(1,758)
사전(1,353)
- 승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원이었다. 1411년에 문서응봉사를 승문원으로 개칭하고 그 직제도 바꾸어 판사(정3품) 1인, 지사(종3품) 1인, 첨지사(종4품) 2인, 교리(종5품) 2인, 부교리(副校理, 정6품) 2인, 정자(正字, 종7품) 2인, 부정자(副正字, 정8품)...
- 승문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정의조선시대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eungmunwon | MR표기Sŭngmun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승문원(承文院)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815 제도 승문원(承文院) 승문원 承文院 조선시대 사대교린(事大交隣) 문서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청. 괴원(槐院)이라고도 하였고, 성균관(成均館) ‧ 교서관(校書館)과 함께 3관(三館)으로 불렸다. 사대와 교린에 필요한...유형분류제도
- 승문원지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승문원(承文院)에 두었던 정3품 관직.정의조선시대 승문원(承文院)에 두었던 정3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eungmunwon jisa | MR표기Sŭngmunwŏn chi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사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승문원‧규장각에 소속된 관원. [내용] 승문원‧규장각에 소속되어 사대교린문서(事大交隣文書)와 자문(咨文)‧어첩(御牒)‧어제(御製)‧어람(御覽) 등의 문서를 정서(正書)하던 관원이다. 정원은 규장각에 8인, 승문원에 40인이 있었...
고서·고문서(405)
- ○승문원에서 자고 일찍 일어났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37_150_122 1537년5월 ○승문원에서 자고 일찍 일어났다 1537년 5월 4일 임오, 비가 내림. ○승문원에서 자고 일찍 일어났다. 정지(正紙)를 가지고 승문원에서 초안을 작성했는데, 거칠게 겨우 몇 행 쓰고 그쳤다. 헌납이 상견례를 하고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承文院副正字尹公【命相】墓誌銘【丙辰】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60 文集 卷十六 ITKC_MP_0597A_0160_010_0140 承文院副正字尹公【命相】墓誌銘【丙辰】 정약용(丁若鏞) 傳記類|碑誌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文集 卷十六 | 문체傳記類|碑誌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승문원에서 사람이 와서 해유문서(解由文書)를 주고 갔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45_254_126 1545년4월 ○승문원에서 사람이 와서 해유문서(解由文書)를 주고 갔다. 1545년 4월 8일 경자, 맑음. ○승문원에서 사람이 와서 해유문서(解由文書) 해유문서(解由文書) : 관원이 교체될 때 후임관에게 그 사무와 관리하던 물품...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식후에 다시 승문원에 들어가 부본(副本)을 썼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37_150_144 1537년5월 ○식후에 다시 승문원에 들어가 부본(副本)을 썼다 1537년 5월 26일 갑진, 비가 내림. ○식후에 다시 승문원에 들어가 부본(副本)을 썼다. 겨우 □ 마치고 저녁에 집으로 돌아왔다. ○종이와 햇불[炬]을 상보(相...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贈別柳士鉉【台佐】歸安東【柳時爲承文院正字】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0530 贈別柳士鉉【台佐】歸安東【柳時爲承文院正字】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26)
-
승문원 / 承文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대교린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1411년에 승문원으로 개칭, 도제조 3인, 제조·부제조는 정원이 없으며, 판교 1인, 참교 1인, 교감 1인, 교리 2인, 교검 2인, 박사 2인, 저작 2인, 정자 2인, 부정자 2인이 있고, 그 밖
-
승문원문서 / 承文院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사대와 교린의 문서를 관장하던 관청인 승문원에서 작성·검토·보관한 문서. 따라서 사대문서로서의 주본(奏本)·자문(咨文)·표전(表箋)·방물장(方物狀) 등과 교린문서로서의 왜서계(倭書契)·야인서계(野人書契) 등이 주를 이룬다.
-
사자관 / 寫字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문원·규장각에 소속된 관원. 승문원·규장각에 소속되어 사대교린문서와 자문·어첩·어제·어람 등의 문서를 정서하던 관원. 정원은 규장각에 8인, 승문원에 40인이 있었다. 이들은 외국사행에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매년 1·4·7·10월에 승문원의 제조(
-
교리 / 校理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집현전·홍문관·승문원·교서관 등의 정·종5품의 관직. 집현전과 홍문관의 교리는 정5품직이었으며, 승문원과 교서관의 교리는 종5품직이었다. 교서관에는 1인, 기타 기관에는 2인씩 정원을 두었다.
-
제술관 / 製述官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전례문을 전담하여 짓던 임시 벼슬. 승문원의 한 벼슬인 제술관은 2명이었는데 1명은 문관, 1명은 음관으로 임명했다. 주로 문장이 뛰어난 사람을 겸직으로 임명하였다. 승문원은 사대교린에 관한 문서 등 외교 문서를 맡아 보던 관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