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승군” 에 대한 검색결과 6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7)

사전(23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의 위난을 구하기 위하여 승려들이 조직한 군대. 중국에서는 명나라 때 처음으로 이 생겨났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 때부터 의 활동을 살필 수 있다. 수나라의 100만 대군이 고구려를 침략했을 때 을지문덕은 살수의 강물을 막아 적병으로 하여금 강을...
    이칭별칭승병|치군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811 제도 () 나라의 위난을 구하기 위하여 승려들이 조직한 군대. 승병(僧兵)이라고도 한다. 1378년 3월에 쓰시마의 왜구와 강화도 인근의 왜구가 개경의 함락을 목적으로 대거 침략하게 되자 조정에서는 경...
    유형분류제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휴정을 팔도도총섭으로 한 수천명의 의은 일부는 직접 전투에 참가하였으며, 일부는 요역(徭役)‧경비 등을 담당하며 관군을 도왔다. 『선조실록(宣祖實錄)』 『한국사』12 (국사편찬위원회, 1981) 『한국사(韓國史)-근세전기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봉기한 승병.
    정의조선시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봉기한 승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uiseunggun | MR표기ŭisŭng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D2_O_0051 少林 불교 法師 宋靖康時, 壬辰 少林寺, 松江, 便殿, 錦山 唐太宗, 秦王, 王世充, 裴漼, 孝武帝, 少林僧月空, 宋皇帝, 宣祖, 休靜, 惟政, 義嚴, 郭震卿, 仁祖 唐書, 少林寺碑, 魏書, 宋史, 內家拳法, 內家拳...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02)

  • [사진] 조 김은철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사진] 조 김은철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5392일 창간 북한,
    대표표제어[사진] 조승군 김은철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유학생, 망명
  • 下戌五 釋冕反喪服 【蘇云:“未塟君,臣皆冕服,非禮也。” ○毛云:“太甲見祖,奠殯之後,則侯ㆍ后,咸來進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70_0330 下戌五 釋冕反喪服 【蘇云:“未塟君,臣皆冕服,非禮也。” ○毛云:“太甲見祖,奠殯之後,則侯ㆍ后,咸來進見。”】 정약용(丁若鏞) 雜...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宋趙普謝罷爲武節度使之日,喩宰相以普有功國家,朕昔與遊,今齒髮衰矣,不欲煩以樞務,擇善地處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0210 宋趙普謝罷爲武節度使之日,喩宰相以普有功國家,朕昔與遊,今齒髮衰矣,不欲煩以樞務,擇善地處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惟元祀十有二月乙丑,伊尹祠于先王,奉嗣王,祗見厥祖。侯后咸在,百官總己,以聽冢宰。伊尹乃明言烈祖之成德,以訓于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80 梅氏書平 卷二 ITKC_MP_0597A_0580_070_0010 惟元祀十有二月乙丑,伊尹祠于先王,奉嗣王,祗見厥祖。侯后咸在,百官總己,以聽冢宰。伊尹乃明言烈祖之成德,以訓于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권차명梅氏書平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志完云聖人之道備於六經六經千門萬户何從而入大要在中庸一篇其要在慎獨而巳俱於十二時中看自家一念從何處起即㸃檢不放過便見工力 田晝者字陽翟人故樞密宣簡公姪也人物雄偉議論慷慨俱有前輩之風鄒浩志完教授頴昌與遊相樂也志完性懦因得故遇事輙自激厲元符間監京城門志完除言官遣客見以測其意客問近...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초학문(2)

  • 조선 중기 의 전통에 대한 재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67683 한국연구재단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조선 중기 의 전통에 대한 재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의 활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8977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의 활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5)

  • 合勢射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음력구월 이십오일에 소위 의병괴슈 김동쥬가 도당오십여명을 령솔고 회인군으로부터 보은군읍하에 범입 그형셰가심히황급고로 군슈가 포군을 령솔고 젹즈음에 즙포관 쳥상군슈가 포병을 령솔고와셔 졉응며 속리산이  일으러 합력 포격야 당각에 궤산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11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27 십자길목 모거일 27 력사의 현장에서 박화 28 꽃비속에 오는 님 김...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2
  • 全國民俗不同 (련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니얏고  함경북도 무산에 가승이란즁 삼명이잇스니 그즁은 달은졀에잇 즁갓지안코 쳐가잇고 졔반동이 속인과갓고 다만 그리가 잇셔셔 긔어히 셔뎨질간에 를셰우되 양 잇자난 샤외에게 넘기되 달일의를엇어 맛치남의죵에게 비부들듯야머리고즁의립고누구...
    게재일1906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유 43 성스러운 투쟁을 나날 (1)-14퇀 3영의 투쟁을 회상하여 강수봉 44 고험 리 48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5
  • 護国 団 発団-曹溪寺서 先師 遺訓 받들어 安保 先鋒 8 北傀 南侵 때 7日內 戦爭 終熄 8 76년 世界의 火薬庫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6

멀티미디어(61)

  • 나라 안전을 위한 호국단 조직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대한불교조계종 스님과 신도 약 5,000명이 서울 조계사에 모여 호국단 발단식을 갖고 불법을 통한 호국안보에 이바지할 것을 다짐했다. 부산시내에 있는 불교조계종 대각사에서는 고려불상에 금옷을 입히는 해금불사 의식을 갖고 나라의 평화와 총력안보, 국립인복을 위한 호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5년 12월 2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조선후기 과 승역_8주차_1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교와 국왕 8주차. 조선후기 과 승역 9주차. 식민지 체제불교와 세속화 52주차. 한국 현대 정치사의 굴곡과불교 김용태 서울대 국사학사 학사, 석사, 박사 현)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한국불교융합학과 교수 현) 불교학연구회 연구이사 현) 한국불교학회
    강좌제목국가권력과 불교 | 강의자김용태
  • 조선후기 과 승역_8주차_2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교와 국왕 8주차. 조선후기 과 승역 9주차. 식민지 체제불교와 세속화 53주차. 한국 현대 정치사의 굴곡과불교 김용태 서울대 국사학사 학사, 석사, 박사 현)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한국불교융합학과 교수 현) 불교학연구회 연구이사 현) 한국불교학회
    강좌제목국가권력과 불교 | 강의자김용태
  • 조선후기 과 승역_8주차_3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교와 국왕 8주차. 조선후기 과 승역 9주차. 식민지 체제불교와 세속화 54주차. 한국 현대 정치사의 굴곡과불교 김용태 서울대 국사학사 학사, 석사, 박사 현)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한국불교융합학과 교수 현) 불교학연구회 연구이사 현) 한국불교학회
    강좌제목국가권력과 불교 | 강의자김용태
  • 조선후기 과 승역_8주차_4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교와 국왕 8주차. 조선후기 과 승역 9주차. 식민지 체제불교와 세속화 55주차. 한국 현대 정치사의 굴곡과불교 김용태 서울대 국사학사 학사, 석사, 박사 현)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한국불교융합학과 교수 현) 불교학연구회 연구이사 현) 한국불교학회
    강좌제목국가권력과 불교 | 강의자김용태

주제어사전(16)

  • / [종교·철학/불교]

    나라의 위난을 구하기 위하여 승려들이 조직한 군대.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휴정은 전국 사찰에 나라를 구할 것을 호소하는 격문을 보냈고, 전국 각지에서는 의이 궐기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몸을 아끼지 않았다. 가장 대표적인 싸움은 영규의 청주

  • 남한치영 / 南漢緇營 [정치·법제/국방]

    경기도 광주군 남한산성 안에 있었던 의의 군영. 남한산성은 수도의 방어를 위한 중요한 요새로, 수어청에 소속되어 있었다. 1624년(인조 2) 남한산성을 개축할 때 성 안 사찰의 의승을 모아 치영(緇營)을 설치하고, 팔도도총섭 각성(覺性)의 지휘 아래 의이 이

  • 백초월 / 白初月 [종교·철학/불교]

    華嚴寺) 등 각처의 사찰을 통하여 군자금을 모금하였고, 승려결사인 의용(義勇)에도 관계하여 지원금을 제공하였다. 청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가(판결문이 없어 형기를 알지 못함) 옥사하였다. 1986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북한산성도총섭 / 北漢山城都摠攝 [종교·철학/불교]

    조선시대 의 관직. 북한산성 안의 중흥사(重興寺)에는 치영(緇營)이라 하여 승병을 설치하였는데, 도총섭 1인을 두어 산성을 지키게 하였다. 도총섭은 본래 중흥사에 거주하던 승려로 임명하였는데, 1797년(정조 21) 수원유수 조심태의 계청에 의하여 용주사(龍珠寺

  • 북한치영 / 北漢緇營 [종교·철학/불교]

    조선 후기 북한산에 있었던 의의 병영. 북한산성은 1711년(숙종 37) 4월 축성에 착수하여 9월에 완공되었다. 이에 의으로 성을 수비하였다. 편제는 승대장 1인, 중군·좌우별장·천총·파총·좌우병방 각 1인, 교련관·기패관·중군병방 각 2인, 오기차지 1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