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스기무라 후카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10)
- 스기무라 후카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었다. 1880년 부산주재 일본서기관으로 부임했고, 1883년 인천주재 부영사로 임명되었다. 스기무라는 1886년 10월부터 주한일본공사관 서기관에 임명되면서 대원군(大院君)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스기무라는 1880년대 중반부터 주한 일본 대리공사(代理公使)를...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스기무라 후카시(杉村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734 인물 스기무라 후카시(杉村濬) 스기무라 후카시 杉村濬 1849 1906 메이지시대의 외교관. 삼촌준(杉村濬). 이와테현(岩手縣) 출신. 모리오카번(盛岡藩) 번사 스기무라 슈조(杉村秀三)의 아들로 태어났다. 1...유형분류인물
- 히사미즈 사부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하기 위해서 일본 정부는 히사미즈 사부로, 스기무라 후카시(杉村濬)을 인천과 부산에 보내 정보를 수집하였다. 1883년 영사대리(領事代理)로서 인천으로 옮겨갔고 1885년 서울의 업무를 겸할 것을 명받았다. 원산영사대리를 거쳐서 청나라 지부(芝罘) 영사대리를 역임하였...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미우라 고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따른 대한정책 실행을 승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국의 정치적 변동을 살펴본 미우라공사는 10월 초 주한 일본서기관 스기무라 후카시(杉村濬)와 밀담을 나눴다. 그 자리에서 미우라 공사는 “이 상태로 그냥 놔두면 눈을 멀뚱히 뜨고서 한국을 러시아에 빼앗기게 될 것이다....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하나부사 요시모토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사태의 수습 책임을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외상에게 맡기고 하나부사를 전권으로 위임하였다. 하나부사는 조선의 상황을 정확히 알기 위해 외무어용괘(外務御用掛) 히사미즈 사부로(久水三郞)와 스기무라 후카시(杉村濬)를 인천과 부산에 보내 정보를 수집하였다. 1882년 8...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고서·고문서(15)
- 신임 주한일본공사 오토리 임명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7629 보고 일본 변리공사 오이시 해임. 현재 휴가차 일본체류중인 주청일본공사 오토리가 주한일본공사를 겸임하게 됨. 임시대리공사 스기무라 후카시는 오토리 임명을 잠정적 조치로 여김. 일본, 주청일본공사, 주한일본공사, 변리공사, 겸임,...대표표제어신임 주한일본공사 오토리 임명 보고 | 발신자크리엔 | 수신자카프리비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 주재 일본 변리공사 가지야마의 소환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2 A.1105 보고 일본정부가 조선주재 일본 변리공사 가지야마 데이스케(梶山鼎介)에 소환 명령. 후임 도착시까지 서기관 스기무라 후카시(杉村濬)가 대리할 것. 일본언론에 따르면 가지야마의 해임 사유는 조선정부에 요구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기 때문....대표표제어조선 주재 일본 변리공사 가지야마의 소환 보고 | 발신자크리엔 | 수신자카프리비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의 정세에 관하여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보고 일본인들을 몰아내려던 조선 왕 부친의 음모. 법무대신 김학우 암살. 조선 내 반란과 대립왕 등장. 일본 공사 이노우에 백작이 제안한 개혁안. 이노우에 가오루, 오토리 게이스케, 흥선대원군, 밀서, 친서, 고종, 이준용, 민씨척족, 김학우, 스기무라 후...대표표제어조선의 정세에 관하여 | 발신자Krien | 수신자Caprivi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의 정세에 관하여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No.81 상트페테르부르크 No.27 기타 조선의 정세에 관한 서울 주재 독일 영사의 1894년 11월 30일 자 보고서 사본을 송부. 이노우에 가오루, 오토리 게이스케, 흥선대원군, 밀서, 친서, 고종, 이준용, 민씨척족, 김학우, 스기무라 후카시, 동학농...대표표제어조선의 정세에 관하여 | 수신자사절단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런던 상트페테르부르크
- 조선의 정치적 사건들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A. 12332 보고 조선 북쪽 4개 지방에서 발생한 폭동세력에 대하여 조선 왕이 일본 측에 군대를 요청했으나 일본이 이를 거절하였음.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민영준(閔泳駿), 민영환(閔泳煥), 스기무라 후카시(衫村濬), 이재순(李載純) No...대표표제어조선의 정치적 사건들 | 발신자크리엔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주제어사전(2)
-
스기무라 후카시 / 杉村濬 [정치·법제/외교]
1848-1906. 일본 외교관. 주한 일본공사 서기관. 명성황후 암살사건 가담. 1875년 요코하마 마이니치 신문의 기자로 활동하면서 한국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880년 부산 주재 일본 서기관으로 부임했고, 1883년 인천 주재 부영사로 임명되었다. 1886년
-
미우라 고로 / 三浦梧樓 [정치·법제/외교]
1846-1926. 일본 외교관. 조선 주재 일본공사. 명성황후 암살 사건에 가담. 1895년 7월 19일 이노우에 가오루의 후임으로 주한 일본공사에 임명되었다. 한국의 정치적 변동을 살펴본 미우라 공사는 10월 초 주한 일본 서기관 스기무라 후카시와 밀담을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