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술래잡기” 에 대한 검색결과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의 민속놀이(金光彦, 仁荷大學校出版部, 1982) 여러 아이들 중에서 한 아이가 술래가 되어 숨은 아이를 찾아내는 놀이.
    이칭별칭숨바꼭질
  • 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창 琉璃窓>‧<여정 旅程>‧<비조 悲鳥>‧<정야 靜夜>‧<추억 追憶>‧<격랑 激浪>‧<밤차>‧<증언 證言>‧<바다>‧<가마귀>‧<>‧<공상(空想)의 씨알>‧<오막사리풍경(風景)>‧<항적 航笛>‧<고향 故鄕>‧<해무 海霧>‧<부적>‧<초조 焦燥>‧<미꾸리>‧<지렁...
  • 동사구문사전 : 살리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놀이 따위에서 사람이나 말을) 술래나 상대편에게 잡히지 않고 계속 놀이를 할 수 있게 하다. Make any person or chessmen avoid getting caught by the tagger or opponent and continue p...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기산풍속도첩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뛰기, , 팽이치기, 죽방울놀이, 석전, 편싸움, 씨름, 제기차기, 골패, 투전, 돈치기 등 매우 다양하다. 놀이 전체를 보면, 승패가 있는 겨루기 놀이와 남성놀이가 많으며, 여성 주도의 놀이나, 양반놀이는 적은 편이다. 놀이 종류로 보아, 함경도를 중심으로 한...
    대분류일반용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동사구문사전 : 살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그의 마음 속에는 아직 그녀와의 추억이 살아 있다. 사고 당시의 기억이 아직도 살아 그녀를 괴롭히고 있다. 선생님께서 졸업식 때 해 주셨던 말씀이 내 머릿속에 살아 있다. I (장기, 놀이 따위에서) 술래나 상대편에게 잡...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고서·고문서(2)

  • 노래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8760 창가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300 22172 노래 〈mn〉오선보〈/mn〉 〈#124〉 요번엔 술래가 누구겠니 누구겠니 누구겠니 요번엔 누구가 술래겠니 누구겠니 누구냐 틀렸다 틀렸다 맞지 않었다 틀렸다 틀렸다 틀렸다 틀렸다 맞지 않었다...
    구분창가
  • 했으면. 그림자, 그림자, 그림자는 흙 안 묻지. 그림자로 옷 해 입고 데굴데굴 굴렀으면.
    구분창가 | 편저자尹石重

구술자료(6)

  • 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 김정득이 숨바꼭질을 할 때, 술래가 불렀던 소리라며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11.04.16(토) | 조사장소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 3반 신양5차아파트 김정득 자택 | 제보자김정득
  • 꼭꼭 숨어라/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술래잡기할 때 부르던 노래를 해달라고 하자 고춘랑이 노래를 불렀다.
    조사일시2010. 2. 5(금) | 조사장소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송정리 15-2번지 송정리 경로당 | 제보자고춘랑(#)
  •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년 12월 15일 철원 고석정 전적관 강당에서 철원역사문화연구소가 주최한 세미나장에서 전병순을 만났다. 당시에 조사자가 구비문학조사의 취지를 말씀드리고 협조를 요청하자, 연락처를 가르쳐주며 자신이 ‘곡소리’를 좀 하니까 집으로 한번 오라고 했다. 그런데...
    조사일시2011. 2. 26(토) | 조사장소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상사길 39-29 전병순 댁 | 제보자전병순(#)
  • 무궁화꽃이피었습니다/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술래잡기할 때 부르던 노래를 해 달라는 조사자의 요청에 ‘꼭꼭숨어라’를 부른 후, 이 노래도 술래잡기할 때 부르던 노래라고 하며 불렀다. 노래는 열 번을 불러야하는데, 그 이유는 그 정도는 불러주어야 아이들이 멀리 숨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요즘 아이들이 하는 ...
    조사일시2010. 2. 5(금) | 조사장소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송정리 15-2번지 송정리 경로당 | 제보자고춘랑(#)
  • : 모여서 동네에서?] 그럼, 그런 거 밖에 더 있어? 하고, 공기놀이 하고 그거 밖에 없었어, 그리 고 소꼽장난 요렇게, 요렇게, 땅 파고서는 깡통 뚜껑 갖다 놓구 부침개 만들고, 그런 거 했지. 뭐, 테리비가 있어? [조사자 : 뭐 고무줄, 고무줄 갖고 안
    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3년 1월 18일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2)

  • / [생활/민속]

    여러 아이들 중에서 한 아이가 술래가 되어 숨은 아이를 찾아내는 놀이. ‘숨바꼭질’ 또는 ‘술래놀이’라고도 한다. 예전에 경비를 위해서 순찰을 돌던 이를 ‘순라(巡羅)’라고 하였는데, 술래라는 말은 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이도 있다.

  • 고원의곡 / 故園의曲 [문학/현대문학]

    리」,「비온 뒷날」,「금잔디 지붕 ①」,「금잔디 지붕 ②」,「 ①」,「달」등이 있다. 이들 작품들에 나타난 동심의 세계는 어린아이의 순수한 마음이 아니라 시인이 꿈꾸는 순수한 세계, 곧 유토피아로서의 의미가 더 강하다. 고향(자연)을 주제로 유토피아를 그린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