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순암집” 에 대한 검색결과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0)

사전(1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절요소발(晦庵書節要小跋)」은 주희의 글인 『회암서절요』에 대하여 그 유래와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내암기(耐庵記)」에서는 스스로를 경계하여 노력하면 이루지 못하는 일이 없다고 하였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상뇌연남공 / 상뇌연남공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오재순의 문집으로, 1808년(순조 8) 아들 희상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규장...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박순행(朴洵行)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22년 박봉수(朴鳳秀)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박순행의 사종숙(四從叔) 박용호(朴龍鎬)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서지적 사항] 8권 4책. 활자본. 국...
  • 여용국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한문소설. [구성 및 형식] 화장도구를 의인화한 가전(假傳)으로, ‘효장황제장대기공록(孝莊皇帝粧臺紀功錄)’이라고도 한다. 작자의 문집인 『()』의 「부부(覆瓿)」에 실려 있다. 원작자...
    이칭별칭효장황제장대기공록
  • 오재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저서로는 『주역회지(周易會旨)』ㆍ『완역수언(玩易隨言聖學圖)』ㆍ『()』 등이 있다.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
    이칭별칭 문경(文卿)| 순암(醇庵), 우불급재(愚不及齋)| 문정(文靖)

고서·고문서(6)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해산일기(海山日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추부사가 되었다. 정조(正祖)는 오재순의 겸손함과 과묵함을 가상히 여겨 ‘우불급재(愚不及齋)’의 호를 내렸다. 학문에 뛰어났는데 특히 󰡔주역󰡕에 밝았으며 제자백가에 두루 통하였다. 저술로 󰡔󰡕이 있다. 해산일기 이 자료의 번역은 한국문집총간 242책에 실린...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오재순(吳載純)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포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35)의 『』 序文에 관해 논의하는 내용이다. 上伯氏 (23) 伯父 尹明遇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上伯氏 (23) 伯父 尹明遇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與李高城-夏龜 (24) 李夏龜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寄舍侄心衡 (25) 조카 尹心衡(1698∼1...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후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프지만 그대의 시문은 썩지 않고 후대에 무궁하게 전해질 것이라고 하였다. 李順菴-秉成-集跋 (30) 李秉成의 『』에 붙인 발문. 나는 시에 있어서 그대의 장인과 형 李秉淵을 畏友로 여겼기 때문에 그대의 시를 조금 낮게 보았었는데, 이제 문집 전체를 보니 내 평...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병성의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형 병연과 아들 도중이 수집한 것을 1741년(영조 17) 이질인 유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어유봉과 윤봉조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유수·유엄·유최기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시 718수, 권5·6에 서

  • 관동사유감효악부체오장 / 觀東史有感效樂府體五章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악부시(樂府詩). 영사악부체(詠史樂府體) 한시 5수로 ≪ ≫ 제1권에 수록되어 전한다. 작품은 <성기가 成己歌>·<옹산성장가 壅山城將歌>·<천성행 泉城行>·<노사행 弩士行>·<백마총행 白馬塚行>이다. <관동사유감효악부체오

  • 여용국전 / 女容國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한문소설. 화장도구를 의인화한 가전(假傳)으로, ‘효장황제장대기공록(孝莊皇帝粧臺紀功錄)’이라고도 한다. 작자의 문집인 『()』의 「부부(覆瓿)」에 실려 있다. 원작자는 알 수 없다. 이 원본은 안정복이 지은 것인데, 원본

  • 오재순 / 吳載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7∼1792). 1772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고, 홍문관부제학·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1783년 청나라에 다녀와서 규장각직제학이 되었으며, 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주역회지》·《》 등이 있다.

  • 이병성 / 李秉成 [종교·철학/유학]

    에 이르렀다. 시문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다고 한다. 저서로는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