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순변사” 에 대한 검색결과 1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3)

사전(1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내용]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삼도도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변방의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되던 특사. [내용] 군국에 관계되는 중요한 직임인만큼 파견되는 특사는 주로 중신으로서, 조정의 중의(衆議)를 거친 뒤에 보내졌다. 이 때 예물로 남필단(藍匹段)...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변방의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되던 특사.
    정의조선시대 변방의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되던 특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unbyeonsa | MR표기sunbyŏn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都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삼도(三道使) 도체찰사(都體察使), (使), 신립(申砬), 체찰사(體察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동의어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 | 관련어도체찰사(都體察使), 순변사(巡邊使), 신립(申砬), 체찰사(體察使)
  • (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都使), 순찰사(巡察使), 체찰사(體察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정의] 조선시대 왕명으로 변방의 방비...
    관련어도순변사(都巡邊使), 순찰사(巡察使), 체찰사(體察使)

고서·고문서(62)

신문·잡지(1)

  • 조선출판경찰월보 117호 영남춘추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시킨 후 양산 밀양에서부터 상주로 향했다. 제2군은 19일에 부산에 또 상륙해서 언양에 이르렀고 제3군은 김해를 공격해서 점령했다. 그때 이일이 상주에서 일본군과 싸워서 패한 것을 듣고 서울 신입은 조령을 넘어 충주에 도달했다. 일본군은 조령과 같은 험악...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17호 영남춘추 | 출판물명영남춘추(嶺南春秋) 제41호

주제어사전(4)

  • / 都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이 삼도도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어 그 구체적인 직무를 알 수 없다.

  • / 使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변방의 군국기무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되던 특사. 군국에 관계되는 중요한 직임인만큼 파견되는 특사는 주로 중신으로서, 조정의 중의(衆議)를 거친 뒤에 보내졌다. 이들의 주임무는 우역(郵驛)·민생·농형(農形), 변방의 군정실태 등 변방의 전반적인

  • 박호 / 朴箎 [종교·철학/유학]

    1567(선조 즉위년)∼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덕로 증손, 할아버지는 율, 아버지는 천서, 어머니는 김흥의의 딸이다. 1584년(선조 17) 18세로 친시문과에 장원하여, 홍문관수찬이 되고, 1592년 임진왜란 때 26세로 이일의 종사관이

  • 신립 / 申砬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 현손, 할아버지는 상, 아버지는 화국이다. 어머니는 윤회전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 선전관·도총관·도사·경력, 외직인 진주판관, 함경도남병사, 삼도 등을 역임하였다. 고니시(小西行長)를 선두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