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순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3)
사전(130)
- 도순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내용]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삼도도순변사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순변사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
- 순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변방의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되던 특사. [내용] 군국에 관계되는 중요한 직임인만큼 파견되는 특사는 주로 중신으로서, 조정의 중의(衆議)를 거친 뒤에 보내졌다. 이 때 예물로 남필단(藍匹段)...
- 순변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변방의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되던 특사.정의조선시대 변방의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되던 특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unbyeonsa | MR표기sunbyŏn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도순변사(都巡邊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순변사 도순변사 都巡邊使 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 도체찰사(都體察使), 순변사(巡邊使), 신립(申砬), 체찰사(體察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동의어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 | 관련어도체찰사(都體察使), 순변사(巡邊使), 신립(申砬), 체찰사(體察使)
- 순변사(巡邊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순변사 순변사 巡邊使 도순변사(都巡邊使), 순찰사(巡察使), 체찰사(體察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정의] 조선시대 왕명으로 변방의 방비...관련어도순변사(都巡邊使), 순찰사(巡察使), 체찰사(體察使)
고서·고문서(62)
- 慈城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禹孟善之於西方, 皆帶巡邊使之號.(후략)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손자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58_373_195 1558년7월 ○손자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1558년 7월 29일 갑술, 맑음. ○손자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조(趙) 이종사관(二從事官)이 들러보고 갔다. 순변사(巡邊使)는 이미 출발했다 한다. ○내려가 밥을 먹었다...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손자를 돌보면서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肝)을 먹어서 더 아픈 것이다. ○순변사(巡邊使) 김수문(金秀文)이 성주에 들어왔는데, 성주 목사가 북정(北亭)에 가서 맞이해 왔다. 류경심(柳景深)이 종사관으로 왔다고 한다. 왜(倭)에 대한 소식이 어떠했는지 물었더니 대답하기를, “왜인(倭人) 원성만(源盛滿)이 몰래...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보냈다. 승군(僧軍)을 보고 오는 길이라고 한다. ○순변사(巡邊使) 조광원(曺光遠)이 낮에 선산(善山)에서 성주 관아로 들어왔다. 종사관(從事官)은 이감(李戡)‧류중영(柳仲郢)이라고 한다. 관찰사와 함께 효용군(驍勇軍)‧잡색군(雜色軍) 등이 잠시 농사일을 멈추는 것을...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을, 8월에서 1월까지는 4역의 거리를 전달하도록 했다.으로 내려왔는데, 순변사(巡邊使)변방의 군국기무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된 특사 이준경(李浚慶)은 18일 서울로 출발했고, 윤선지(尹先智)도 특별히 가선대부(嘉善大夫)에 가자(加資)되어 내려와 무어(撫禦...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1)
- 조선출판경찰월보 117호 영남춘추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시킨 후 양산 밀양에서부터 상주로 향했다. 제2군은 19일에 부산에 또 상륙해서 언양에 이르렀고 제3군은 김해를 공격해서 점령했다. 그때 순변사 이일이 상주에서 일본군과 싸워서 패한 것을 듣고 서울 순변사 신입은 조령을 넘어 충주에 도달했다. 일본군은 조령과 같은 험악...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17호 영남춘추 | 출판물명영남춘추(嶺南春秋) 제41호
주제어사전(4)
-
도순변사 / 都巡邊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이 삼도도순변사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순변사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어 그 구체적인 직무를 알 수 없다.
-
순변사 / 巡邊使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변방의 군국기무를 순찰하기 위하여 왕명을 띠고 파견되던 특사. 군국에 관계되는 중요한 직임인만큼 파견되는 특사는 주로 중신으로서, 조정의 중의(衆議)를 거친 뒤에 보내졌다. 이들의 주임무는 우역(郵驛)·민생·농형(農形), 변방의 군정실태 등 변방의 전반적인
-
박호 / 朴箎 [종교·철학/유학]
1567(선조 즉위년)∼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덕로 증손, 할아버지는 율, 아버지는 천서, 어머니는 김흥의의 딸이다. 1584년(선조 17) 18세로 친시문과에 장원하여, 홍문관수찬이 되고, 1592년 임진왜란 때 26세로 순변사 이일의 종사관이
-
신립 / 申砬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 현손, 할아버지는 상, 아버지는 화국이다. 어머니는 윤회전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 선전관·도총관·도사·경력, 외직인 진주판관, 함경도남병사, 삼도순변사 등을 역임하였다. 고니시(小西行長)를 선두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