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순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5)
사전(181)
- 순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무청의 관제는 경무사(警務使)‧경무관(警務官)‧총순(總巡)‧순검 등으로 되어 있었고, 총순이 판임관으로 순검을 지휘하였다(순검은 등외관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순검의 명칭은 1907년 12월 27일 순사(巡査)로 바뀌었다. 1895년 6월 23부...이칭별칭순사(巡査)
- 內巡撿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H3_D_0037 內巡撿軍 군제 巡警, 別置 毅宗 D_12_02_09 대동운부군옥 12권 2장 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2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內巡撿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H3_D_0044 內巡撿 군제 麗制, 闕中, 巡撿軍, 別選, 勇力, 不測, 紫衣, 弓劒, 雨雪, 巡警 毅宗 麗史 D_12_07_04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순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군편제. [개설] 순찰과 치안 유지가 주된 임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설치된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목종과 현종 때 서북면과 동북면에 도순검사(都巡檢使)를 파견한 적이 있다. 1093년(선종 10)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
- 순검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지방에 전승되는 휘모리잡가. [내용] 휘모리잡가의 「병정타령」‧「기생타령」등과 같이 순경, 즉 경찰의 외모와 생활을 묘사하여 부른 노래인데 현재는 전하지 않고, 다만 휘모리 잡가의 곡명을 거론할 때에 함께 언급되고 있을 뿐이다. ...
고서·고문서(298)
- 초저녁 순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631 P-SDK-05631-P-C-32-16 P-SDK-05631-P-C-32-16-1 P-SDK-05631-P-C-32-16-2 초저녁 순검 初夜巡檢 봉투 없음. 32매 세트. 사제엽서 정치 군사 근대 일본 사진그림엽서...자료명초저녁 순검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檢屍不委巡檢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格例 檢屍不委巡檢 최치운(崔致雲) 등 33 至元二十八年五月江西道按察司會驗【會驗謂事應證案而行者】至元五年六月中書右三部符文【符文移文之名兩相符合而不差之意】該【載也】照勘【照具見始末也勘考校也】各處稱冤重囚多爲【去聲】檢尸時司縣官不行親去監視轉委巡檢司吏弓手人...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1910년 정순검(鄭純儉) 칙명(勅命)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1906년 순검(巡檢) 신난수(申蘭秀) 고목(告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고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上)_巡檢淸人 巡檢淸人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몽어유해 101 1768_몽어유해(上) 巡檢淸人 巡檢淸人 1768몽어유해(상)034b.jpg 巡檢淸人 巡檢淸人 行伍 行伍 精選 달 다 嚴緊 엄히 다 整齊 즉이 다 發兵 군 발다 預備 預備다 守了 직희다 敎守 직희오다 營 營 陣 陣 排陣 진티다 習陣 習陣...편명1768_몽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신문·잡지(138)
- 巡檢捉巡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보션회샤 슌검 뎡대유와 리용션등 십여명이 삼작일밤 츅시량에 봉두란발로 각각 몽치를차고 남문안 양동쥬가에셔 슐을먹는 이 슈상고로 경무쳥에셔착거엿다더라게재일1903년 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巡檢習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칭경례식에 외국대를 졉는데 응용로 경위원 슌검을 광화문대궐로 파송야 례식의 제반의졀을 연습다더라게재일1902년 1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巡檢換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릉 외에 파송엿든 병뎡은 다 불너드리고 슌검을파송한다더라게재일1902년 9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巡檢募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경무쳥에셔 슌검 이명을 모집 엿더라게재일1902년 9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保護巡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쳥에셔 각셔로 훈령야 각국대 영졉 보호슌검을 각셔에셔 오십명식 지위케 라고 엿더라게재일1902년 8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8)
- 문순검;文順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3377 남한 경남 동래일신여학교 2-23 日新제10호 1938―07 138면 문순검;文順儉 울산군 하상면 서리 岳學교회 부산진1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동래일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48. 제주도 소요사태와 프랑스 군함의 활동에 관한 보고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포에 전해진 소요 소식의 심각성 및 섬에 거주하는 프랑스 선교사 두 명에 대해 대한제국 정부가 관심을 기울여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저는 소요 진압에 필요한 조치를 지체 없이 취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15일, 외부대신은 목포 총감에게 소요 장소로 순검들을 보낼 것을 명...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905년 | 작성월일06월 01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 15. 옛 섭정의 거동에 의해 야기된 혼란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로 자신의 거처 주변 경계 근무를 하던 순검 세 명을 체포하여 고문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그리고는 경무사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거처로 와서 집사에 대한 이번 조치에 대해 해명을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경무사가 그의 편지에 응답하지 않자, 대원군은 경무사가 오고 싶어 하...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조선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7년 | 작성월일8월 5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조선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 17. 대한제국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가량이 모여 황제에게 또 다른 청원서를 제출했습니다.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모이자 약간 겁이 난 정부는 군중을 해산하려 했습니다만, 순검들은 제 역할을 하지 못했습니다. 순검들은 군중에게 몰려 결국 자신들의 무기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고, 상소는 이형[李熙] 폐하께 전...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8년 | 작성월일4월 16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 48-1. 별첨 1―제주도 소요사태의 원인과 경과에 대한 뮈텔 주교의 메모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호해주기 바람.” 나는 즉각 그 전보를 프랑스 공사에게 가져갔다. 콜랭 드 플랑시는 곧바로 외부에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튿날, 외부대신은 제주도가 너무 멀어 원하는 대로 해주기가 힘들지만, 그래도 목포총감에게 전보를 쳐 제주도로 순검들을 보내...집필자뮈텔, 대한제국 주교 | 작성연도1905년 | 작성월일05월 27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7)
-
순검 / 巡檢 [역사/근대사]
갑오개혁 때 신식 경찰제도가 실시되면서 설치된 관직. 1894년 7월 14일 종전의 좌우포도청을 합쳐서 경무청을 신설, 경무청은 내무아문에 속하였고 서울의 경찰사무를 맡아보았다. 경무청의 관제는 경무사, 경무관, 총순, 순검 등으로 되어 있었고, 총순이 판임관으로 순
-
별순검 / 別巡檢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내부의 경무청 또는 경위원에 소속하여 비밀정탐에 종사하던 관직. 황궁숙위 및 경찰임무를 수행하는 경리를 순검, 그 중 특별히 제복을 입지 않고 비밀정탐에 종사하는 자라 하여 별순검이라 한다. 경무청관제에 따르면, 최고 우두머리인 경무사가 내부대신의 지휘감독
-
정순검 / 鄭純儉 [종교·철학/유학]
1710년(숙종 36)∼1767년(영조 43).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정재한, 조부는 정복선이다. 부친 정석원과 모친 김종연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35년(영조 1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설서, 부교리, 장령, 사간, 집의, 대사간 등을
-
정순검증시문서 / 鄭純儉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궁내부대신 정순검(鄭純儉)에게 '충헌(忠憲)'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려국망가왈충 행선가기왈헌'이라 적어 충헌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
강홍립 / 姜弘立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 아버지는 참판 강신, 어머니는 정유의 딸이다. 1597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한성부우윤,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