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숙휘공주” 에 대한 검색결과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2)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족공주 인물 한국 조선 인조~숙종 정주영, 김가람 박종국 2013 () 왕족 여자 1642년(인조 20...
  • 인선왕후언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숙명공주에게 쓴 53건은 현존하는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에 들어 있고, 에게 쓴 16건은 『숙휘신한첩』에 전하고 있다. 이들 원문은 근래에 간행된 『친필언간총람(親筆諺簡總覽)』‧『언간(諺簡)의 연구』에 모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일반 생활의...
  • 창의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잠저(潛邸). [내용] 한성부 북부 순화방(順化坊 : 지금의 종로구 통의동 35번지 및 그 부근)에 있었다. 이곳은 원래 효종의 4녀인 ()의 부군 인평위(寅平尉) 정제현(鄭齊賢)의 옛집이었다. 그...
  • 숙신공주(淑愼公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동생)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淑明公主), (), 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淑敬公主) [총론] [1635년(인조 13)~1645년(인조 23) = 11세]. 조선 제 17대 임금인 효종(孝...
  • 요화당(瑤華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 신지혜 1656년(효종 7) 창경궁 팔작지붕 효종, 영조, 문효세자(文孝世子), 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淑明公主), (), 숙정공주(淑靜公主), 익평위(益平尉), 청평위(靑平尉), 인평위(寅平尉), 동평위(東平尉) ...
    상위어창경궁(昌慶宮) | 관련어공주(公主), 궁궐(宮闕), 도위(都尉), 동궐(東闕), 별당(別堂), 부마(駙馬), 빈궁(殯宮), 창덕궁(昌德宮)

고서·고문서(12)

  • 조선시대 한글편지: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01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립청주박물관, 2011) 국립청주박물관 영인사항 :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이 편지는 효종(孝宗, 1619~1659)이 둘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 1640~1699)에게 보낸 것이다. 본문에 를 언급한 것으로 미루어 도 이미 혼인...
    발신자효종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統營鹽盆及魚箭, 皆見奪於宮家及監營之後, 無以成樣, 故因巡撫使書啓, 有還給統營之命矣。 今者自房, 又有侵奪統營所屬巨濟地玉浦鎭貫松伊爲名大口魚漁採之處, 故統制使枚報於備局矣。 似聞房, 雖曾有折受之事, 旣是統營元來所屬, 而今若見奪, 則當此舟師缺意修補之日, 尤無以措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統營鹽盆及魚箭, 皆見奪於宮家及監營之後, 無以成樣, 故因巡撫使書啓, 有還給統營之命矣。 今者自房, 又有侵奪統營所屬巨濟地玉浦鎭貫松伊爲名大口魚漁採之處, 故統制使枚報於備局矣。 似聞房, 雖曾有折受之事, 旣是統營元來所屬, 而今若見奪, 則當此舟師缺意修補之日, 尤無以措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內需司]庄土文績_제7책 : 庄土關係圖書文績類 3. 龍洞宮手本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778년(정조 2) 8월 일 龍洞宮 龍洞宮 內需司 內需司 경기 고양 사포 경기도 고양(군/현) 사포(면/방) 방 李璞 김포/통진 19307_07.pdf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庄土文績_제7책 : 庄土關係圖書文績類 4. 內需司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啓’印 1778년(정조 2) 8월 일 內需司 內需司 경기 고양 사포 경기도 고양(군/현) 사포(면/방) 방 李璞 김포/통진 19307_07.pdf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1642년(인조 20)∼1649년(인조 27). 효종의 셋째 딸. 모친은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우참찬 정유성(鄭維城)의 손자인 정제현(鄭齊賢)을 인평위(寅平尉)로 삼아 를 시집보냈다. 소생으로는 직장(直長) 정태일(鄭台一)이 있다.

  • 숙휘신한첩 / 淑徽宸翰帖 [언론·출판/출판]

    <숙휘신한첩>은 효종ㆍ현종ㆍ숙종 3대 왕과 인선왕후ㆍ명성왕후ㆍ인현왕후 3대 왕비 등 6인의 한글 편지첩. 편지는 모두 36편이며, 편지를 받은 사람은 효종의 넷째 딸인 다. 는 연일 정씨 집안의 정제현(鄭齊賢)과 혼인했고 아이를 두명 낳았는데, 불행하

  • 인선왕후언간 / 仁宣王后諺簡 [문학]

    , 에게 쓴 16건은 『숙휘신한첩』에 전하고 있다.

  • 신한첩 / 宸翰帖 [문학/고전산문]

    왕과 왕비에게 받은 한글 편지를 후손들이 모아서 만든 서간집. 현재까지 소개된 것으로는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과 『숙휘신한첩(淑徽宸翰帖)』이 있다. 전자는 효종의 제2공주 숙명공주가, 후자는 제3공주 가 생전에 왕과 왕비들로부터 받은 편지를 그 후손들이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