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숙정공주”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4)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족공주 인물 한국 조선 인조~현종 정주영, 김가람 박종국 2013 () 왕족 여자 1645년(인조 23...
  • 신량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빈의 부하 장수이다. 빈의 명령을 받고 소옥에게 죽임을 당할 위기에 처한 어린 황제를 구출하여 화주 청운동으로 데려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마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산적이다. 위소옥의 명으로 위현이 전쟁 때문에 집을 비운 사이동창궁(東昌宮)을 습격하여 현의 세 부인인 이옥주, 유씨부인, 정씨부인을 겁탈하려 한다. 그러나 세 부인들이 이 사실을 미리 알고 허수아비를 만들어 놓고 몸을 피하는 바람에 뜻을이루지 못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진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당나라 마지막 황제이다. 어린 나이에 황제의 자리에 오르나 배다른 이모 소옥과 소옥의 어머니 덕비에 의해 죽임을 당할 위기에 처한다. 그때 조빈의 부하 장수 신량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한 후 화주 청운동으로 가 지낸다. 후에 빈의형 조광윤이 일당을 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5)

  • 64902 B064902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孝宗 6年 7月 24日_008 折給本館, 而其中宋唜金·奴恰伊等兩箭, 則庚戌年間, 移屬巡檢營, 奴皮同金箭, 則取考內需司報本曹文書, 辛卯八月, 自房折受, 而稅案中, 則自初至今, 以成均館收稅懸錄, 其本以成均館...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4911 B064911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孝宗 6年 7月 24日_008 折給本館, 而其中宋唜金·奴恰伊等兩箭, 則庚戌年間, 移屬巡檢營, 奴皮同金箭, 則取考內需司報本曹文書, 辛卯八月, 自房折受, 而稅案中, 則自初至今, 以成均館收稅懸錄, 其本以成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장렬왕후인선왕후존숭도감의궤(莊烈王后仁宣王后尊崇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明公主)‧숙휘공주(淑徽公主)‧()‧숙경공주(淑敬公主) 등 1남 4녀이다. 1661년(현종2)효숙(孝肅)의 존호를 받았고, 1674년회상전(會祥殿)에서 승하했다. 시호는 효숙경렬명헌인선왕후(孝肅敬烈明獻仁宣王后)이고, 능호는 영릉(寧陵)이다. 영릉은 경기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한글편지:1663년 인선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 1663~?)이 태어난 해에 쓴 편지이다. , 동평위, 실첩 인선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31 G002+LET+KSM-XF.1663.0000-20140430.A0001_44-TXT G002+LET+KSM-XF.1663.0000-20140...
    발신자인선왕후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묘지 소유권 확인 등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シ證人尹學範張敬根金學成金夫汝ノ證言ヲ援用シタリ 被告代理人ハ原告ノ請求ハ之ヲ棄却ストノ判決ヲ求ムト申立テ其演述ノ要領ハ被告九代ノ祖妣ハ孝宗大王ノ王女ナリシカ其薨去ニ及ヒ朝廷ヨリ墓所トシテ安山郡速達三里ノ修理山全部ヲ賜ハリ守護禁養今ニ二百四十餘年ヲ經過シ原告ノ祖先ニシテ元被告家ノ奴隸タリシ朱...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인천지부 | 판결일자1909년 10월 30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1645년(인조 23)∼1668년(현종 9). 효종의 넷째 딸. 모친은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에게 시집갔다. 24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떴다. 소생으로는 봉사(奉事) 구사근(具思謹)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