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숙부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외명부
연구성과물(513)
사전(175)
- 숙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외명부(外命婦)인 문무관처가 내린 정3품 당상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3품의 당상관(堂上官)인 통정대부(通政大夫)‧절충장군(折衝將軍)의 적처(嫡妻)에게 내린 작호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숙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정숙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숙부인(淑夫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숙부인 숙부인 淑夫人 명부사(命婦司), 문무관처(文武官妻), 외명부(外命婦) 공인(恭人), 국부인(國夫人), 군군(郡君), 군부인(郡夫人), 단인(端人), 봉작(封爵), 부직(夫職), 숙인(淑夫人), 안인(安人), 영인(令人), 유인...상위어명부사(命婦司), 문무관처(文武官妻), 외명부(外命婦) | 관련어공인(恭人), 국부인(國夫人), 군군(郡君), 군부인(郡夫人), 단인(端人), 봉작(封爵), 부직(夫職), 숙인(淑夫人), 안인(安人), 영인(令人), 유인(孺人), 의인(宜人), 정경부인(貞敬夫人), 정부인(貞夫人), 정숙부인(貞淑夫人), 현군(縣君), 현부인(縣夫人)
- 진양우수리방형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우수리 에 있는 조선 태종 때 개성유수를 지낸 강수명(姜壽明)과 그의 부인인 숙부인(淑夫人) 하동정씨(河東鄭氏)의 2기의 고분. [내용] 경상남도 기념물 제43호. 이 일대는...연계항목진양우수리방형고분군(晋陽雨水里芳形古墳群)
고서·고문서(337)
- 증숙부인이씨증정부인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贈淑夫人 李氏를 贈貞夫人에 봉하는 고신분야문학 | 유형문헌
- 1866년 숙부인(淑夫人) 강씨(姜氏)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 1718년 숙부인(淑夫人) 조씨(趙氏)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89년 숙부인(淑夫人) 이씨(李氏)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747년 숙부인이씨(淑夫人李氏)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747년(영조23) 에 영조 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김대 의 처 이씨를 정부인으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정부인은 2품관의 처에 해당한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신문·잡지(1)
- 여류시_1972_0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관 속에서 나온 숙부인의 비밀(I) 박명성 46 관 속에서 나온 숙부인의 비밀(II) 박명성 47 새벽창 박명성...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주제어사전(13)
-
숙부인 / 淑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가 내린 정3품 당상 작호. 문무관 정3품의 당상관인 통정대부(通政大夫)·절충장군(折衝將軍)의 적처에게 내린 작호이다.
-
숙부인한씨봉정부인고신 / 淑夫人韓氏封貞夫人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2년 8월에 숙부인 한씨를 정부인에 봉하는 고신. 숙부인은 종3품의 외명부 직첩, 정부인은 정2품의 외명부 직첩이다. 한씨가 정부인에 봉해지게 되 는 사유가 연호 왼쪽에 기재되어 있다. 즉 한씨는 가선대부전공조참판겸성균관제주시강원찬선이었던 송병선의 처로 법전의
-
증숙부인이씨증정부인고신 / 贈淑夫人李氏贈貞夫人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2년 8월에 증숙부인 이씨를 증정부인에 봉하는 고신. 증숙부인 이씨가 증정부인에 봉해지게 사유가 간지 왼쪽에 기재되어 있다. 즉 이씨는 가선대부전공조참판겸성균관제주시강원찬선이었던 송병선의 처로 법전의 종부직에 의하여 증정부인에 봉해지는 고신이다. 이씨는 송병
-
부인 / 夫人 [사회/가족]
왕의 배우자 및 외명부의 호칭. 조선시대에는 내명부와 함께 외명부 제도도 더욱 정비되었다. ≪경국대전≫ 규정에 의하면, 종친처에게는 정1품 부부인(府夫人)에서 정3품 신부인(愼夫人)까지 문무관처에게는 정1품, 정경부인(貞敬夫人)에서 정3품 숙부인(淑夫人)까지 상위의
-
유씨봉직문서 / 劉氏封職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정3품 숙인 유씨를 정3품 숙부인에 봉하는 임명장. 유씨의 남편 하원홍(河元泓)은 활빈당으로 활동하다가 1901년(고종 38) 참형에 처해졌다. 1910년 순종은 조칙을 내려 갑오경장과 을미사변 이후 화를 입은 83명에 대해 특별추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