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숙경공주”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3)

  • 원몽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머니는 이조참판 이시해(李時楷)의 딸이다. [내용] 1659년(효종 10) 효종의 딸 ()와 혼인하여 흥평위(興平尉)가 되었고, 후에 흥평군에 봉하여졌다. 1661년(현종 2) 광덕대부(光德大夫)에 이어 1672년에 사은사가...
    이칭별칭 용여(龍歟)| 죽서(竹西)| 효헌(孝憲)|흥평군|흥평위
  • 원몽린(元夢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추(元斗樞) (친조부)원두표(元斗杓) 원만리(元萬里) 완산 이씨(完山李氏) : 이시해(李時楷)의 딸 (동생)원몽익(元夢翼), 원몽양(元夢陽) () : 효종의 딸 →(자녀)1녀 ...
  • 옥천사(玉泉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남편인 흥평위의 원당이 되어 각종 불사를 일으켰다. 현종 때에는 흥평위의 원당으로서 지역(紙役)을 면제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으나, 이조(吏曹)에서 반대하여 원당이 혁파되었다. [내용 및 변천] 담양 옥천사는 폐사되어 그 정확한 위치와 사찰에...
    동의어정원사(淨源寺) | 관련어비보사찰(裨補寺刹), 원당(願堂), 지역(紙役),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麟)
  • 녹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서식과 일치하고 있으며, 연호 위에 녹패의 발급 관부인 이조 또는 병조의 도장이 찍혀 있다. [현황] 녹패로서 현전하고 있는 것은 매우 적다. 1606년(선조 39)에 유성룡(柳成龍)에게 내린 제1과 녹패 및 1658년(효종 9)에 ()...
  • 숙신공주(淑愼公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동생)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淑明公主), 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淑靜公主), () [총론] [1635년(인조 13)~1645년(인조 23) = 11세]. 조선 제 17대 임금인 효종(孝...

고서·고문서(7)

  • [1662]가례등록(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조 말부터 효종 10년(1658)에 걸쳐 행해진 인평대군과 숙안군주‧숙명공주‧숭선군‧낙선군‧의 가례와 출합(出閤)에 관한 모든 사항을 예조에서 각 의례가 끝날 때마다 모아서 정리한 등록이다. 「인평대군(麟坪大君) 가례」는 인조 16년(1638) 7월에 행해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조선시대 한글편지:인선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28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국립청주박물관 영인사항 :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이 편지는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가 둘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 1640~1699)에게 보낸 것이다. 본문에서 (, 1648~16...
    발신자인선왕후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인선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02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국립청주박물관 영인사항 :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이 편지는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가 둘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 1640~1699)에게 보낸 것이다. 발신 시기는 가 원몽린과 혼인한 1...
    발신자인선왕후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인선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05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국립청주박물관 영인사항 :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이 편지는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가 둘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 1640~1699)에게 보낸 것이다. 발신 시기는 가 원몽린과 혼인한 1...
    발신자인선왕후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장렬왕후인선왕후존숭도감의궤(莊烈王后仁宣王后尊崇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明公主)‧숙휘공주(淑徽公主)‧숙정공주(淑靜公主)‧() 등 1남 4녀이다. 1661년(현종2)효숙(孝肅)의 존호를 받았고, 1674년회상전(會祥殿)에서 승하했다. 시호는 효숙경렬명헌인선왕후(孝肅敬烈明獻仁宣王后)이고, 능호는 영릉(寧陵)이다. 영릉은 경기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1648년(인조 26)∼1671년(현종 12). 효종의 다섯번째 딸. 모친은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鱗)과 결혼하였다. 원몽린은 원두표의 손자이고 원만리의 아들이다. 딸 하나가 있으며 원명구(元命龜)로 사자(嗣子)를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