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현집”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조에게 바치면서 그 해설을 적은 것이다. 그밖에 성은 원래 두 근본이 없다는 내용의 「성무이본설(性無二本說)」이 있다.
  • 석지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하사받았다. 현종 때 개성부교수(開城府敎授)를 지냈다. [저술활동] 저서로는『()』2권,『남한일기(南漢日記)』4권 등이 있다.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
    이칭별칭 숙진(叔珍)| 수현(壽峴)
  • 김연광(金鍊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송암유고(松巖遺稿)』 『심적당⋅송암⋅경승재 유고합편(心適堂松巖敬勝齋遺稿合編)』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남계집(南溪集)』 『()』

고서·고문서(7)

  • 爲他日世道之慮矣, 此則惟在聖上明以察之而已。 愚見如此, 安敢不悉陳乎? 上曰, 若於不干之人, 有敲?之計, 則此常情之外, 如有此等之弊, 卿亦奏, 則當査實嚴處矣。 出擧條 濟恭曰, 頃因東萊別騎衛等呈訴, 別騎衛試取時, 之次十人論賞之法中廢委折, 關問該道矣。 慶尙監〈司〉鄭大容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爲他日世道之慮矣, 此則惟在聖上明以察之而已。 愚見如此, 安敢不悉陳乎? 上曰, 若於不干之人, 有敲?之計, 則此常情之外, 如有此等之弊, 卿亦奏, 則當査實嚴處矣。 出擧條 濟恭曰, 頃因東萊別騎衛等呈訴, 別騎衛試取時, 之次十人論賞之法中廢委折, 關問該道矣。 慶尙監〈司〉鄭大容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0762 B07076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5年 10月 20日_023 ... 爾則此實爲難明之事, 而未必不爲他日世道之慮矣, 此則惟在聖上明以察之而已。 愚見如此, 安敢不悉陳乎? 上曰, 若於不干之人, 有敲?之計, 則此常情之外, 如有此等之弊, 卿亦奏...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0873 B07087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5年 10月 20日_023 ... 爾則此實爲難明之事, 而未必不爲他日世道之慮矣, 此則惟在聖上明以察之而已。 愚見如此, 安敢不悉陳乎? 上曰, 若於不干之人, 有敲?之計, 則此常情之外, 如有此等之弊, 卿亦奏...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주역대전 : 해제_8. 석지형(石之珩)의 『오위귀감(五位龜鑑)』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虎皮)를 하사받았다. 현종 때 개성부교수(開城府敎授)를 지냈다. 저서로는 『()』 2권, 『남계일기(南溪日記)』 4권이 있다. 상소문에는 「진오위귀감소(進五位龜鑑疏)」가 있는데, 강화부교수로 있을 때 군덕(君德)을 권장하기 위하여 「오위귀감」을 지어 올리게...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석지형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1709년(숙종 35) 아들 규서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허목의 서문과 권말에 김성호·규서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26수, 부 7편, 계 1편, 잡저 3편, 상량문 1편, 계수부 1편,

  • 석지형 / 石之珩 [종교·철학/유학]

    . 저서로는『』2권,『남한일기』4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