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향편”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4년(철종 5) 정원용이 조정의 전장의를 모아 엮은 책. 필사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 정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錄)』 10권, 『()』 3권, 『문헌찰요(文獻撮要)』 5권 등이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순조실록(純祖實錄)』 『헌종실록(憲宗實錄)』
    이칭별칭 선지(善之)| 경산(經山)| 문충(文忠)
  • 원종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활자의 수량에 대하여서는 ≪판당고 板堂考≫와 ≪ ≫에 원종어필맹자진서자(元宗御筆孟子眞書字) 5,394자 또는 5,594자, 언서자(諺書字) 4,605자, 숙종어필서문대자 435자로 되어 있다. 활자의 크기는 한자(漢字)가 1.6×1.6㎝, 한글이...
  •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密加持篇), 가지멸죄편(可持滅罪篇), 주식현공편(呪食現功篇), 고혼(孤魂), 설시인연편(說示因緣篇), 원성수은편(願聖垂恩篇), 청성수계편(請聖受戒篇), 참제업장편(懺除業障篇), 발홍서원편(發弘誓願篇), 사사귀정편(捨邪歸正篇), 석상호지편(釋相護持篇), 득계소...
  • 정리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만 3388자였으며, 정리소자는 불타고 남은 활자가 5만 9307자, 새로 주조한 활자가 3만 9417자로서 도합 9만 8724자였다. 따라서 실록의 기록과 정원용의 ≪ ≫ 주자신주조(鑄字新鑄條)의 기록에는 다소의 차이가 있다. 즉, 신주한 활자 중에...

고서·고문서(1)

  • 경산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 斗室集序 (26) 斗室 沈象奎(1766∼1838)의 문집인『斗室集』의 序로서 문집 편찬의 경위가 서술되었다. 序 (28) 1854년(철종 5)에 저자가 지은 『』의 序이다. 『』은 저자가 공무에서 물러나 있을 때 지은 것으로 조정의 典章儀...
    분야문학 | 유형문헌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854년(철종 5) 정원용이 조정의 전장의를 모아 엮은 책. 6권 3책. 필사본. 저자가 1802년(순조 2) 정시에 급제한 뒤 50여년간 관직에 있으면서 법규나 의례 등에 관하여 수시로 기록하여 보관해왔던 글을 모은 것이다. 권1에 중국세대연호·본조세대원년·양파공사

  • 정원용 / 鄭元容 [종교·철학/유학]

    산집》·《황각장주》·《북정록》·《》·《문헌촬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