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50)
사전(225)
- 수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차(貸借)‧기탁(寄託)‧매매(賣買) 등을 할 때 작성하는 증서. [내용] 수기(手記)라고도 하며, 다짐(侤音, 서약)의 성격을 가진다. 수표에는 연호를 쓰지 않고 간지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간혹 연호를 쓴 경우가 있고, 모든 문서...이칭별칭수기(手記)
- 수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발행인이 지급인(금융기관)에 대하여, 수취인 기타 정당한 소지인에게 일정한 금액의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증권. [내용] 수표는 어음과 함께 채권을 증권화하여 채권변제를 확실히 하는 동시에 그 채권의 유통을 쉽게 하는 수단이며, 어음과 같이...
- 수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하천‧호수‧저수지 등의 수위를 재는 측량기구. [내용] 일반적으로 수위측정방법은 크게 간단한 눈금판을 측정대상지에 세워 눈금을 읽는 수표이용한 방법과, 부표(浮標)를 이용하여 그것의 오르내림을 계속 기록하는 자기수위계(自己水位計)의 두...연계항목수표(水標)
- 수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나타내어 개천의 범람을 예고하는 데 쓰인 것이다. 이 수표는 그 구조를 세종대의 것과 비교할 때 촌‧푼까지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 부족하지만 갈수와 위험수위를 분명히 표시했다는 점은 발전적인 것이다. 아무튼 이 수표는 세계 최초의 하천 양수표(量水標)...
- 수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천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세종 때 제작한 측량기구.정의하천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세종 때 제작한 측량기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upyo | MR표기sup’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212)
- 수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회덕 동면 九亭里 城峙山 2麓을 다시 찾는 외에 다른 일로 다시 침해하지 않겠다는 내용분야문학 | 유형문헌
- 수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회덕 동면 구정리 案山 城峙 아래 禹贊明의 산과 宋錫洪의 산, 金顯學의 산과 경계에 있는 위 산록을 본군 외남면 연효리에 사는 宋湊憲에게 빌려 주었다는 것, 50여간 환급을 간청하여 근년에 출급을 받아, 위 산록을 환속하는 외 다른 소나무 값 및 무덤을 빌리는 일, 다...분야문학 | 유형문헌
- 수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輔用面 後坪 4두락과 같은 평 같은 田 2두락을 100 냥에 방매하고, 반년을 한정하여 환퇴한다는 내용분야문학 | 유형문헌
- 水豹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40_0580 水豹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수표(手標)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수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수표 | 현소장처서산 대교 경주김씨
기초학문(8)
- 제타 함수에 대한 연속분수표현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48498 한국연구재단 Publications of Krassimir T. Atanassov 2003 제타 함수에 대한 연속분수표현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어음수표법상의 쟁점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도제문, 게재일 : 201349284 도제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법학연구소 2013 어음수표법상의 쟁점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번역을 통해 본 韓日 양 언어의 授受表現의 特徵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미숙, 게재일 : 201036934 이미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연구소 2010 번역을 통해 본 韓日 양 언어의 授受表現의 特徵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사회구성원의 의식의 변화가 문법형식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과 일본의 시대별 문학작품 및 독자투고에 나타난 수수표현 대조를 통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미숙, 게재일 : 201239518 이미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연구소 2012 사회구성원의 의식의 변화가 문법형식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과 일본의 시대별 문학작품 및 독자투고에 나타난 수수표현 대조를 통하여- https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중국어 ‘们’과 한국어 ‘들’의 복수표현 대조 연구 - 한국인 학습자의 ‘们’ 첨가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미경, 게재일 : 201353541 신미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13 중국어 ‘们’과 한국어 ‘들’의 복수표현 대조 연구 - 한국인 학습자의 ‘们’ 첨가 현상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363)
- 李在男(水標精肉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在男(水標精肉店) 서울 李在男 水標精肉店 水標町 44 식료품 - 수육(獸肉) 소매 2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在男(水標精肉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수육(獸肉)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龍伊(水標屋)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龍伊(水標屋) 서울 李龍伊 水標屋 水標町 44 요리_음식점 - 조선 음식점 - 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龍伊(水標屋)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음식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성 중요상품 월별 도매물가지수표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경성 중요상품 월별 도매물가지수표 경성상업회의소 통계연보 경성 1932-1942 경성_023_경성_중요상품_월별_도매물가지수표(1932-1942).pdf...대표표제어경성 중요상품 월별 도매물가지수표 | 자료명경성상업회의소 통계연보 | 지역구분경성 | 기간1932-1942
- 禁府後洞高翊相處에推次當錢三萬兩手票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禁府後洞高翊相處에推次當錢三萬兩手票遺失엿스니誰某拾得야도休紙施行홈 朴汝鼎 고게재일1905년 12월 7일 | 기사분류광고
- 義士鄭在洪氏遺族救恤金義捐人氏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水標橋裁縫所 리容셥 五十젼 鉢里동 張基茂 五十젼 合計一圜게재일1907년 7월 7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50)
-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문장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강의자김양진 | 주차〈한글맞춤법〉과어법이야기_1주차
-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문장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강의자김양진 | 주차〈한글맞춤법〉과어법이야기_1주차
-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문장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강의자김양진 | 주차〈한글맞춤법〉과어법이야기_1주차
-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문장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강의자김양진 | 주차〈한글맞춤법〉과어법이야기_1주차
- 로부터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형태, 한국어의 준말, 한국어 속에 들어와있는외래어,단어와 띄어쓰기문제, 그리고 신조어들과 문장 표기에서 나타나는 몇몇 특수표기들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과관련된흥미로운이야기들을 나누어서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바르게 쓸 수 있는 지침을 제공강의자김양진 | 주차〈한글맞춤법〉과어법이야기_1주차
기타자료(92)
- 홍수표;洪洙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9097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35면 홍수표;洪洙杓 전북 정읍군 태인면 태창리 본과 제1회 192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수표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표금 수표금 교육 문헌 교육법령 교육판례 교육행정 사학 문서 대법원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대법원 | 사료철명판결문
- 수표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표금 수표금 교육 문헌 교육법령 교육판례 교육행정 사학 교육재정 사학교육재정 문서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대법원 | 사료철명판결문
- 어느 전직교사의 양심 -교육감에 수표 부쳐 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어느 전직교사의 양심 -교육감에 수표 부쳐 와- 어느 전직교사의 양심 -교육감에 수표 부쳐 와- 어느 前職敎師의 良心 -敎育監에 手票 부쳐 와- 교육 문헌 초등교육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수도교육
- 진안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제증명수수표징수조례개정조례공포(제585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진안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제증명수수표징수조례개정조례공포(제585호) 진안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제증명수수표징수조례개정조례공포(제585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진안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공포
주제어사전(6)
-
수표 / 手票 [경제·산업/경제]
발행인이 지급인에 대하여, 수취인(소지인)에게 일정한 금액의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증권. 우리 나라에서는 1932년 <조선민사령>에 따라 제네바조약에 의거한 일본수표법이 준용됨으로써 비로소 수표가 등장하였다. 그러다가 1962년 1월에 <수표법>이 제정되어, 1963년
-
다짐 / 侤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송사에 패소한 사람이 관의 판결에 승복하겠다고 다짐[侤音] 하던 문서. 수표. 사법관(刑曹·司憲府·漢城府·掌隷院·地方官衙)에게 다짐[侤音] 하였다. 따라서 승소자가 보관하게 된다. 관에서는 다짐을 받고, 관의 표시[揮筆]를 한 다음, 그 밑에 관원의 수결(
-
주척 / 周尺 [과학기술/과학기술]
주나라에서 만들어 썼다는 자. 한 자 길이 약 20㎝이다. 조선 세종대에 황종척을 만들어 그 6촌 6리를 주척 1척으로 규정하면서 공식적인 척도를 얻었다. 현전하는 것 중에 1773년 서울 수표교에 표시한 것이 1척=19.5㎝, 1837년에 제작된 공주 보관의 측우
-
다리밟기 / [생활/민속]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옛날 한양에서는 저녁에 종이 울리면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다리밟기를 하였는데,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혼잡을 이루었고, 수표교와 광교가 가장 심해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
언론집회압박탄핵대회 / 言論集會壓迫彈劾大會 [역사/근대사]
체역 김성수를 폭행 및 공갈·감금한 사건때문에 시작되었다. 각 신문잡지사 등 31개 단체 대표 100명은 6월 7일 수표교 조선교육협회관에서 새로 ‘언론집회압박탄핵회’라는 이름의 단체를 조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