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0)
사전(100)
- 수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 진도(津渡)에 설치되어 강상(江上)의 수송을 담당한 조창(漕倉). 수역(水驛)이라고도 하였다. 수참은 원(元)나라 참적제도(站赤制度)의 영향을 받아 설치되었다. [내용] ≪증보문헌비고≫ 여지고에 따르면, “고려 충렬왕 30...
- 석창온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元洪里)가 뒤에 음이 비슷한 원흥리(元興里)로 바뀌었고 예로부터 온천이 솟아나 온수참이란 지명이 붙여졌다. [현황] 온수참 마을은 희천에서 청천강을 따라 20㎞쯤 올라가 창골[倉洞]에서 원흥천을 따라 3㎞지점에 위치한다. 수온은 60℃ 내외로, 수량이 풍...이칭별칭온수참
- 소양강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내용] 가흥창(可興倉)‧흥원창(興原倉)과 함께 좌수참(左水站)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운송하였다. 좌수참에는 51척의 참선(站船)이 배치되어 있었다. 소양강창에서...
- 동원진(東院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2652 지명 동원진(東院津) 동원진 東院津 부산시 북구 금곡동 동원마을에 있던 수참(水站) 나루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양산군(梁山郡) 남쪽 25리에 위치하였고, 황산강 하류에 있었다. 조선에 온 일본국왕사 일행이 부산포...유형분류지명
- 금곡포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황해도 연백군 금곡포 에 설치되었던 조선시대의 조창(漕倉). [내용] 금곡창(金谷倉)으로도 불리었다. 강음(江陰)의 조읍포창(助邑浦倉)과 더불어 우수참(右水站)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조운(...
고서·고문서(673)
- 甜水站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4권, 태조 2년 9월 29일 신미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조 2년 9월 29일 신미(1393) 1393 甜水站 甛水站 외교 千秋進賀使朴永忠,至甛水站,不得入而還.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甜水站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8권, 태조 4년 10월 25일 을묘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조 4년 10월 25일 을묘(1395) 1395 甜水站 遼東 遼東 鴨綠江 遼東 甛水站 遼東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甜水站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60권, 세종 15년 5월 3일 을묘 5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세종 15년 5월 3일 을묘(1433) 1433 甜水站 甛水站 遼東 朝鮮 漢 외교 工曹參判李兢,以謝恩...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甜水站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33권, 선조 25년 12월 17일 계묘 5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25년 12월 17일 계묘(1592) 1592 甜水站 中江 九連城 狄江 鳳鳳城 順安 湯站...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甜水站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80권, 선조 29년 9월 8일 신축 4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29년 9월 8일 신축(1596) 1596 甜水站 倭 山東 薊遼 朝鮮 朝鮮 倭 遼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신문·잡지(71)
- 情况愁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셔쇼문안 영문병졸 이여명이 포로로 일본령부에 잡혀간 은별항과 갓건니와 그에 일본쇼방부와 병졍등이 근부근 려염집에 들어은복 병졍등을 포착 진슈참고 눈으로 볼슈업난 일이만앗고 셔슈문외 약현지 나아가 슈풀쇽지 슈야 포착난 년소 병졍등은 일병...게재일1907년 8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洪水慘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유랑쳔 창슈 극히 범람야 셔경경찰셔 됴샤거즉 표류고 붕퇴가옥이 일쳔이이십칠호오 산문어진가 륙여쳐오 방츅 궤결것이 이오십팔쳐오 쥭은쟈가일칠십명이니 통이론지면그은 온통멸망모양이오 일본경쳐에 뎨일되경에 텬교란다리 거번창슈가 지나가고 이번폭...게재일1907년 9월 5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大邱菓子品評 盛況裡에 開會 知事以下各關係者多數參集 卄四日에 閉會豫定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大邱菓子品評 盛況裡에 開會 知事以下各關係者多數參集 卄四日에 閉會豫定 1934년 4월18일 대구 대구 대구상공회의소,대표표제어大邱菓子品評 盛況裡에 開會 知事以下各關係者多數參集 卄四日에 閉會豫定 | 연월일1934년 4월18일 | 지역대구
- 대만출판경찰보 030호 대공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아라, 일군 철제 하의 심양(瀋陽)”이라는 제목으로 봉천(奉天)이 음삼(陰森) 수참(愁慘) 귀역(鬼域)처럼 일군(日軍)이 관리를 잔살(殘殺)하고 괴뢰를 완롱(玩弄)하며 낭인(浪人)이 황행하여 거민(居民)은 어디서 죽을지도 모른다고 왜곡하고 기술함. 한국학분야 토대...대표표제어대만출판경찰보 030호 대공보 | 출판물명대공보(大公報) 1931년 11월 25일
- 연변교육_1980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소학교 조선어문 제10책 교수참고자료 5 진화 50 경침 53 전일제10년제학교 소학교수학 제6권 교수참고서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0
기타자료(116)
- 이수점;李洙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5841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9면 2. 재학생씨명;5) 법률과 이수점;李洙漸 함남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동헌;金東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촌면 수참리 218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98. Project directive No. 647-93 : 비망록 / Commanding General 6th Infantry Division 수신, 1947.04.23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der Allied Powers, and United Nations Command G4 Chief, Ln Section, UNC 숙명여자대학교 미국 정보참모부와 군수참모부, 유엔군사령부 간 오간 서신. 정보참모...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G4 | 수신자Chief, Ln Section, UNC
- 1.1. G-4 section combat operations command report (May) (RCS CSGPO-28 (R 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ed Nations Command G-4 G-3 숙명여자대학교 군수참모부에서 작성해 작전참모부에 전달한 비망록. 1953년 5월 한 달간의 군수참모부 전투 작전 지휘 보고서. 군수참모부의 작전활동, 회계, 공급품...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G-4 | 수신자G-3
- 104. Merkulov letter concerning coast guard vessels : 비망록 / G-2 발신 ; G-4 수신, 1948.10.18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me Commander Allied Powers, and United Nations Command G-2 G-4 숙명여자대학교 미군 군사정보참모부에서 군수참모부에 보내는 협조전. 연안 경비대 선박에 관한 Merc...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G-2 | 수신자G-4
주제어사전(10)
-
수참 / 水站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시대 진도에 설치되어 강상의 수송을 담당한 조창. 조선시대에는 1395년(태조 4) 정월에 수참전운소완호별감을 두어 용산강에서 충주 연천에 이르는 지역에 7개소의 수참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각 수참에는 민호 30호를 예속시키고, 참선(站船)을 배치하였다.
-
중등조선말본교수참고서 / [언어/언어/문자]
1945년에 최현배가 『중등조선말본』의 참고서로 지은 책. 『중등조선말본 교수참고서』는 최현배가 1934년에 처음 쓰고 1938년 고쳐 쓴 『중등조선말본』을 교수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만든 참고서이다. 광복 직후 일반 중등학교에서 널리 사용된 『중등조선말본』을 교수
-
가흥창 / 可興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가흥리 남한 강변에 있었던 조창. 1465년(세조 11)에 설치되어 개항 전까지 존속하였다.
-
석창온천 / 石倉溫泉 [지리/인문지리]
로부터 온천이 솟아나 온수참이란 지명이 붙여졌다. 온수참 마을은 희천에서 청천강을 따라 20㎞쯤 올라가 창골[倉洞]에서 원흥천을 따라 3㎞지점에 위치한다. 수온은 60℃ 내외로, 수량이 풍부하고 피부병·위장병·신경통 등에 특효가 있는 유황천(硫黃泉)이며 탕원에서는 수온
-
소양강창 / 昭陽江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에 설치되었던 조창. 가흥창·흥원창과 함께 좌수참(左水站)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운송하였다. 좌수참에는 51척의 참선이 배치되어 있었다. 소양강창에서는 춘천·홍천·인제·양구·낭천 등 5개 고을의 세곡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