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찬관” 에 대한 검색결과 2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2)

사전(1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춘추사관의 관직. [내용] 2품 이상 겸하던 수국사(修國史)ㆍ동수국사(同修國史)의 다음으로 한림원(翰林院)의 3품 이하가 겸직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임명된 예를 보면 한림이 겸한 것은 아니었고, 다른 관직에서도 문재(文才)가 있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同知事) 2인이 있었지만 모두 재신(宰臣)으로 타관이 겸하고 있었으므로 실질적인 장관은 정3품 당상관인 이었던 때문이었을 것 같다. 태조 신반관제(新頒官制)에서 예문춘추관의 을 2인으로 하고 품계를 정8품으로 정한 것은 고려 후기의 수찬을 이어받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춘추관의 관직. [내용] 1325년(충숙왕 12)에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이 다시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되었을 때 춘추관에 설치하였다. 이 때 설치하였던 충ㆍ충편수관(充編修官)ㆍ겸편수관(兼編修官)은 모...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겸직(兼職), 당상관(堂上官), 동지사(同知事), 사관(史官) 편수관(編修官) 사관(史官), 승정원(承政院),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춘추관(春秋館), 홍문관(弘文館)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상위어겸직(兼職), 당상관(堂上官), 동지사(同知事), 사관(史官) | 하위어편수관(編修官) | 관련어사관(史官), 승정원(承政院),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춘추관(春秋館), 홍문관(弘文館)
  • 충편수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춘추관의 관직. [내용] 3품 이하로 충당된 사관(史官)으로, 같은 계열에 속하는 사관에는 충(充)ㆍ겸편수관(兼編修官)이 있었다. 역사편찬을 담당한 사관 중에서도 중추적 구실을 하였다.

고서·고문서(116)

  • 1573년 윤복(尹復)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년(宣祖6) 4월 18일에 윤복을 통정대부 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573년 윤복(尹復)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년(宣祖6) 5월 4일에 윤복을 통정대부 승정원우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573년 윤복(尹復)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년(宣祖6) 6월 22일에 윤복을 통정대부 승정원좌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573년 윤복(尹復)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년(宣祖6) 7월 11일에 윤복을 통정대부 승정원좌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52년 윤선도(尹善道)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52년(孝宗3) 3월 27에 윤선도를 통정대부 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3품 당상관인 이었던 때문이었을 것 같다.

  • 김석필 / 金錫弼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전기 문신. 증조부는 김당, 조부는 김회윤, 부친은 김중손이다. 연산군 8년(1502) 임술 별시에 3등 7위로 급제하였다. 벼슬은 예문관검열, 대교, 이조정랑 겸 을 역임하였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원종공신 1등으로 녹훈되었고 이어서 홍문관

  • 동수국사 / 同修國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사관의 관직. 사관의 재상직은 한림원의 3품 이하 관직이 겸하는 들이 사관으로서 시정을 기록하고 실록을 편찬하는 일을 지휘·감독하였을 것이다. 1308년(충선왕 복위) 사관이 예문춘추관으로 되었다가 1325년(충숙왕 12)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 윤문거 / 尹文擧 [종교·철학/유학]

    서·시강원설서, 예조와 병조의 좌랑을 거쳐 제천현감·춘추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석호유고』 3권이 있다.

  • 일기청 / 日記廳 [정치·법제/법제·행정]

    . 다만, 관원 수만 달라 감춘추관사 1인, 지춘추관사 6인, 동지춘추관사 8인, 5인, 편수관 24인, 기주관 7인, 기사관 16인 등 모두 67인이 관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