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찬” 에 대한 검색결과 4,0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47)

사전(2,13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예문관ㆍ춘추관의 관직. [내용] 1308년(충선왕 즉위년) 문한서(文翰署 : 예문관ㆍ한림원)와 사관(史館 : 춘추관)을 병합하여 예문춘추관으로 개칭할 때 정7품의 2인을 두었다. 1325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관은 1478년(성종 9)에 집현전의 기능과 직제를 이은 기관으로 성립되었다. 홍문관은 최고의 문필기관으로서 그 관원은 청화직(淸華職)으로 간주되었다. 부제학 이하 부까지의 관원과 더불어 지제교(知製敎)를 겸대하였다. 『세조실록(世祖實錄)』 ...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 복위의 거사를 꾀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의 정6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의 정6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uchan | MR표기such’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부교리(副校理), 실직(實職),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부(副) 검토관(檢討官), 겸직(兼職),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기주관(記注官), 사관(史官)...
    상위어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부교리(副校理), 실직(實職),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 하위어부수찬(副修撰) | 관련어검토관(檢討官), 겸직(兼職),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기주관(記注官), 사관(史官), 실록청(實錄廳), 예문관(藝文館) 지제교(知製敎), 집현전(集賢殿), 춘추관(春秋館)

고서·고문서(1,676)

  • 유즈노-우수리 관구 수찬 읍에 속한 마을 목록과 각 마을별 가구 수, 남녀별 인구수, 마을과 읍의 거리와 각 마을간 거리 목록
    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극동역사문서보관소 | 발신일1897.12.05.
  • 사진 1 화가시유기미 하사기망 녹음방쵸 녹음방쵸 : 녹음방초(綠陰芳草). 푸르게 우거진 나무와 향기로운 풀이라는 뜻으로, 여름철의 자연경관을 이르는 말. 욱었으니때좋다 일가님네 화전야유 화전야유 : 화전야유(花田野遊). 꽃밭에 나가 노는 놀음. 가잤...
    가사유형풍류가류 | 소장처김구현 | 시대해방이전
  • 08682 창가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300 22172 추송 〈mn〉오선보〈/mn〉 〈#46〉 넓은 들에 익은 곡식 황금 물결 뒤치며 어대던지 태양빚에 향기 진동하도다 무르익은 저 곡식은 낫을 기다리도다 기회 지나가기 전에 어서 추수합세다
    구분창가
  • 소초(辭疏草)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정사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정사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經史門3_陳諸葛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諸葛 陳壽論諸葛亮曰: “刑政雖峻, 而無怨者, 以其用心平而勸戒明也. 可謂識治之良才, 管、蕭之亞匹也.” 其贊歎至於如此, 而古今謂: “壽嘗得罪於亮, 故貶之曰: ‘臨機應變, 非其所長也.’” 人徒見亮有窺敵制變之能, 而不知更有大於此者存, 故謂壽壽: 와세다대본에는 ‘壽’ 뒤...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5)

  • 장에 서 아들, 아버지 공해처형 당한 사실을 목격했죠 거기서. [조사자 : 어르신,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김 : 변길성.] 그 뒤로 아버지도 결국은 붙들려 가지고 처형당했어요. 그런게 나는 부득불 월남하지 않으면 죽게 생겼으니까 가족들. 그때 나이가 십칠 세
    조사지역충남 태안 | 조사일2014년 3월 30일
  • 잖아. 통일이 되도. 그러면 어렵지. 통일만 되면 고향에 가야지. 가서 살아 야지. 내 본명은, 김순애로 올라있는디 왜냐믄 우리 할아배가 그냥 자기 혼자서 혼인 신고할 때 김순 애로 올렸어. 원래는 김여. [조사자 : 책에 김으로 올릴까요 김순애로 올릴까요?]
    조사지역충남 태안 | 조사일2014년 3월 31일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어, 한림학사(翰林學士), 대사성(大司成) 도루목, 방첨사(蚌僉使) 조개, 해운공(蟹運公) 방게, 병사(兵使) 청어, 군수(郡守) 해구(海狗), 현감(縣監) 홍어, 주부장(部將) 조구(조기), 부별랑청 장대, 승대, 교리(校理), (), 낙지, 고등어, 지평(持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어, 한림학사(翰林學士), 대사성(大司成) 도루목, 방첨사(蚌僉使) 조개, 해운공(蟹運公) 방게, 병사(兵使) 청어, 군수(郡守) 해구(海狗), 현감(縣監) 홍어, 주부장(部將) 조구(조기), 부별랑청 장대, 승대, 교리(校理), (), 낙지, 고등어, 지평(持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 . 김씨는 제가 잘 모르고. 두 사람은 여기 잘 알아요. 그라고 참석 하는 분들이니까. 그러고 지난 해는 그러면 저걸로 해가꼬 저걸 보내는데. 조사지가 왔는데 그런데 그걸 하더니 그래 여기다 안 넣었어요. 지난해는. 왜 안 넣었냐 하니. 그게 인제 선거법 그렇
    조사지역경북 문경 | 조사일2012년 3월 10일

기초학문(4)

  • 宋元代 族譜과 그 社會史的 意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육정임, 게재일 : 2006
    03021 육정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6 宋元代 族譜과 그 社會史的 意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한국사회에서 시민사회 공동체의 전개:전민동 주민의 사회생활 및 정치생활의 구성과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수찬, 게재일 : 2005
    06462 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세계지역학회 2005 한국사회에서 시민사회 공동체의 전개:전민동 주민의 사회생활 및 정치생활의 구성과 특성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한국 연줄사회조직의 특성과 신뢰구조의 이해:이중적 신뢰구조가 갖는 민주주의에 대한 함의는 무엇인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수찬, 게재일 : 2004
    09778 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세계지역학회 2004 한국 연줄사회조직의 특성과 신뢰구조의 이해:이중적 신뢰구조가 갖는 민주주의에 대한 함의는 무엇인가? https://www.krm.or.kr/krmts/l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분권과 균형발전 시대의 시민사회의 역할 변화 :개별적 차원(at individual Level)에서 알아본 분권사회에서의 시민적 참여(Civic Engagement)와 사회자본(Social Capital)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수찬, 게재일 : 2003
    06491 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행정학회 2003 분권과 균형발전 시대의 시민사회의 역할 변화 :개별적 차원(at individual Level)에서 알아본 분권사회에서의 시민적 참여(Civic Engagement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3)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원산항 최봉쥰씨가 본샤에셔 삼원 보증금의 구쳐무로을 인야 부득이 졍간될 비참 영향을 셕히 녁여 우 삼원을 의연겟다고 씨의리인 젼슌경씨가 본샤에 긔셔엿스니 씨의 다슈금을 가브여히 알아 사계를 볼고고 본샤를 유지도록 쥬의니 씨의 열셩을 이의 ...
    게재일1907년 10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한셩즁셔 셔린방 고삭우물계 뎨六통七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즁셔 셔린방 고삭우물계 뎨六통七호 와가 二十三간반 초가 六간공 四十간 문권을 셔실고 한셩뷰 립지판각을 다시 엿오니 누가 혹 그일흔 문권을 엇더도 휴지시시오 賣家主 嚴柱源 買家主 金 告白
    게재일1901년 6월 12일 | 기사분류광고
  • 한셩즁셔 셔린방 고삭우물계 뎨六통七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즁셔 셔린방 고삭우물계 뎨六통七호 와가 二十三간반 초가 六간 공 四十간 문권을 셔실고 한셩부 립지판각을 다시 엿오니 누가 혹 그일흔 문권을 엇더도 휴지시시오 賣家主 嚴柱源 買家主 金 告白
    게재일1901년 6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 한셩즁셔 셔린방 고삭우물계 뎨六통七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즁셔 셔린방 고삭우물계 뎨六통七호 와가 二十三간반 초가 六간공 四十간 문권을 셔실고 한셩뷰 립지판각을 다시 엿오니 누가 혹 그일흔 문권을 엇더도 휴지시시오 賣家主 嚴柱源 買家主 金 告白
    게재일1901년 6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 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泰安北△面古波島 姜善明 金聖弼 各五十젼식 吳正凡 尹相鳳 金甲斗 李晦殷 各二十젼식 合一圓八十젼 北一面長作里 鄭浩文 一圓 鄭行賢 鄭堯文 趙載瑞 各四十젼식 鄭寛文 鄭行千 金允甫 文昌旭 各十젼 식 合二圓六十젼 郡內面錦山里 姜奇周 姜東周 金永玄 高 各五十젼식 姜仁周 姜德周...
    게재일1907년 6월 29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2)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043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62면 이;李 경주금융조합 제22회 193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10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7면 장;蔣 제2회 1942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1213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09면 ㅁ1. 회원록;ㅁ1) 1학년 갑조 이;李 경성부 효제동 274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2599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2호 1931년 3월05 135면 이;李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2989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3호 1931년 3월31 91면 이;李 청주면 서정 14;청주군 북일면사무소 제2회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69)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의 정5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1463년(세조 9) 11월 홍문관이 신설된 뒤에 증설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때의 홍문관 기능은 장서를 보관하는 임무에 그쳤다. 학술·언론기관으로서의 홍문관은 1478년(성종 9)에 집현전의 기능과 직제를 이

  • / 副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의 종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1420년(세종 2) 집현전을 설치하면서 처음 1인을 두었으나, 1456년(세조 2) 사육신사건으로 혁파되었다. 1470년(성종 1) 예문관에 집현전의 기능을 부활시키면서 2인을 두었고, 이것이 1479년 홍문관으로

  • 관 / [정치·법제/법제·행정]

    3품 당상관인 관이었던 때문이었을 것 같다.

  • 이명환 / 李明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18∼1764). 선조의 아들 인흥군 이영의 4세손이다. 1752년(영조 28) 정시문과 장원 급제 후 문학·정언·사서·충청도경차관교리·부· 등의 청요직을 역임하였으며, 암행어사로 해미현을 안렴하기도 하였다.

  • 심풍지 / 沈豊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8∼1793). 1771년(영조 47)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로 기용되었으며, 병조정랑·부 겸 시강원문학 등을 거쳤다. 이후 ·교리·대사성·이조참판·대사간·대사성·대사헌·도승지·예조참판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