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직왜인” 에 대한 검색결과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직에서부터 당상관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이 있었으며, 이들에게는 관직에 상응하는 예우와 관복을 하사하였다. 국내에 거주하는 은 각지에 분산시켰다. 일본에 거주하는 자는 본인이 1년에 1회 입조하였으며, 이때는 거추사(巨酋使)와 같은 예우를 받았다. 또 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화왜인(向化倭人) 수직인(受職人) 항왜(降倭), 항거왜인(恒居倭人), 고신(告身), 친조(親朝), 수직인선(受職人船), 세견선(歲遣船) 정치외교 개념용어 대한민국/일본 조선시대 태조~인조 ...
    상위어향화왜인(向化倭人) | 동의어수직인(受職人) | 관련어항왜(降倭), 항거왜인(恒居倭人), 고신(告身), 친조(親朝), 수직인선(受職人船), 세견선(歲遣船)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660 개념용어 () 조선에 투화(投化) 혹은 향화(向化)하여 조선정부로부터 관직을 받은 일본인. 조선정부는 건국 초부터 왜구에 대한 회유책으로 왜구가 투항해 오면 이들 향화왜인(向化倭人)에게 관직...
    유형분류개념용어
  • 수직인선(受職人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661 제도 수직인선(受職人船) 수직인선 受職人船 조선정부로부터 관직을 받은 ()에게 조선 왕래를 허용한 배. 수직선(受職船) ∙ 선(船)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후 국교 재개의 공로를 인정하여 상...
    유형분류제도
  • 임온(林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455 인물 임온(林溫) 임온 林溫 ? ? 조선 초기의 투화(投化)한 (). 원명은 나가온(羅可溫), 임온(林溫)으로 개명(改名). 조선에 투항하여 귀화한 투화왜(投化倭)인 동시에 조선정부로부터 선략장...
    유형분류인물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투화 혹은 향화한 일본인에게 준 관직. 왜구의 두목이나 특수한 기술을 가진 자 또는 왜구의 토벌에 공이 있는 자에게 관직을 수여하였다. 수직인은 그 공로나 신분에 따라서 사정(司正)·사과(司果) 등 미관말직에서부터 당상관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이 있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