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직관” 에 대한 검색결과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기로소(耆老所)에 소속된 문신 참하관(參下官, 특히 정7품)의 겸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1765년(영조 41) 기로소내의 영수각(靈壽閣)에 봉안된 태조‧숙종‧영조의 기로소입소 때에 쓴 어휘(御諱) 등 어첩(御帖)의 수직...
  • 별기대(別騎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1년(순조 11) 평안도 농민전쟁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하기도 했다. [용례] 皇壇守直 以皇朝人子孫中 定爲三窠 稱號 令兵曹擬望差出 牙兵等稱號漢旅 仍定三十額 屬于訓局 節制挨次 用龍虎營之禁旅 鎭撫營之義旅壯旅 立番供役 用訓局之局出身 禁營之別騎隊 祭享時奉神榻...
    관련어훈련도감(訓鍊都監), 금위영(禁衛營)
  • 왕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딸이다. 그의 5대조 상생은 심양(瀋陽)에 볼모로 있던 봉림대군을 수종하여 조선에서 벼슬살이를 하였다. 그 음보(蔭補)로 그는 대보단(大報壇)을 지내고, 장원(掌院)ㆍ조지서(造紙署)ㆍ빙고(氷庫) 등의 별제(別提)를 역임하였다. 제조(提調)와 뜻...
    이칭별칭 자범(子範)| 창해(滄海)
  • 기로소(耆老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765년(영조 41) 등의 직제를 두면서 비로소 독립적인 관서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 [조직 및 담당 직무] 기로소에 들어갈 수 있는 관원은 조선 건국 초에는 문신으로 정2품 실직(實職)에 있는 70세 이상인 자에 한정되었고, 음서 출신자나 무관은 참여할...
    상위어의정부(議政府) | 하위어영수각(靈壽閣), 기영관(耆英館), 기사도상첩봉안각(耆社圖上帖奉安閣) | 동의어기로국(耆老局), 기로사(耆老司), 기사(耆司), 기사(耆社), 기소(耆所), 완소(翫所), 치사기로소(致仕耆老所), 전함재추소(前啣宰樞所) | 관련어기로연(耆老宴), 기로회(耆老會), 기사경회록(耆社慶會錄), 기사경회첩(耆社慶會帖), 기사지(耆社志), 기신(耆臣), 기해춘기사일기(己亥春耆社日記), 기영회(耆英會)
  • 파정군(把定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草), 문 지키기는 일 등을 거행하도록 했다. 그리고 명례문(明禮門)에도 파정기병 2명을 배치하였다. [용례] 一 壇直二名 壇所各門 把定騎兵二名 依前仍置 修掃除草把門等事 如前擧行 水工一名 依前使喚於直所 一 明禮門把定騎兵二名 依前仍置直所[『정조실록』 14년...
    관련어대보단(大報壇), 한인(漢人), 파정기병(把定騎兵)

고서·고문서(22)

  • 1787년 김재일(金載一)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787년(정조11) 3월에 이조에서 김재일을 기노소으로 임명한다는 문서이다. 기노소는 조선시대 조선시대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위해 설치한 기관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해남 김해김씨 노송사
  • 院久無博士, 事多可悶矣。 上博士李衡弼, 頃以, 闕直被罪, 而聞其時衡弼, 入直太常云, 省記, 卽下隷之誤擧行也, 飭亦已行, 特爲敍用付職,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致仁曰, 大靜縣監李胤伋, 漂海數朔, 尙無消息, 事係罕聞, 誠極驚念, 而當此本縣設賑之時, 不可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院久無博士, 事多可悶矣。 上博士李衡弼, 頃以, 闕直被罪, 而聞其時衡弼, 入直太常云, 省記, 卽下隷之誤擧行也, 飭亦已行, 特爲敍用付職,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致仁曰, 大靜縣監李胤伋, 漂海數朔, 尙無消息, 事係罕聞, 誠極驚念, 而當此本縣設賑之時, 不可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衛都提調, 柳雲羽爲兵曹佐郞, 尹在德爲禮曹佐郞, 趙斗謙爲直講, 金常行爲引儀, 李守貞爲司饔奉事, 李鎭常爲崇陵參奉, 鄭喆淳爲寧陵參奉, 徐好進爲博川郡守, 申大億爲大靜縣監, 承文副正字單呂弘幹, 檢閱單柳榮鎭, 耆老所呂弘幹。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普中爲司䆃僉正, 李斗煥爲慶興府使, 李長燮爲豐川府使, 鄭益儉爲林川郡守, 鄭潤弼爲戶曹佐郞, 趙鎭憲爲韓山郡守, 吳鏽爲丹陽郡守, 禮賓主簿徐簡修, 司䆃主簿洪啓瑞相換, 耆老所李衡弼, 兼喬桐府使單趙, 寫字官洪聖源, 今加崇政加資事承傳, 兼春秋單睦善恒。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기호, 게재일 : 2014
    45625 강기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14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순수이성비판??에서 순 개념의 다의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기호, 게재일 : 2013
    43406 강기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13 ??순수이성비판??에서 순 개념의 다의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5)

  • 更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갑오이후에 기로소에 슈직관이 폐지가 되엿더니 김쥰한씨와 김용악씨가 슈직관을 피명엿더라
    게재일1902년 4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園所守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비 원소은 창군 리창씨오 시원관은 봉시 강우셕씨가 피명얏더라
    게재일1904년 1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鐵道院技師蔡範錫命前往日本國視察鐵道規程及事務以來十月九日 依願免本官 農商工部技手 金聖初 任農商工部技手 六品李相衍以上十一月五日 依願免本官相禮李寅奎 依願免兼任直閣 耆老所金駿漢 命侍從卿 掌禮卿尹德榮 命掌禮卿 特進官趙定熙 任相禮 侍讀官徐相薰 任直閣 六品李義國 兼任侍讀官 耆...
    게재일1904년 11월 18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命大院王改題主書寫官耆老所 李國應 命大院妃改題主書寫官 六品洪正憙 命完王改題主書寫九品朴用健 正三品朴明煥 營繕司長 沈宜碩 正三品閔泳羲 營繕司書記郞 金宇植命帝室會計審査委員 以上九月二十八日 姜聲國 韓相威 安鍾郁 安錫龍 金義培 雷達仁 邊光雲 千文基 權容珏 申鶴煕 鄭寅喆 宋...
    게재일1907년 10월 3일 | 기사분류관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讀官 相禮李寅奎 任侍讀官 直閣李秉韶 兼任直閣 耆老所金駿漢 任昌陵叅奉 永禧殿叅奉李元榮 任永禧殿叅奉 社稷叅奉許楨 任社稷叅奉 懿陵叅奉李德柱 任懿陵叅奉朴榮喜以上十一月十二日 景孝殿提調리乾夏解臨時署理學部大臣事務 贊政朴齊純命臨時署理學部大臣事務以上十一月十二日
    게재일1904년 11월 16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기로소에 소속된 문신 참하관(특히 정7품)의 겸직. 정원은 2인이다. 근무일수가 900일이 차면 종6품에 승자되었다. 그리고 직제상 기로소에 소속되기는 하나 그 기능은 기로들에 관련된 예우를 담당한 비서장(祕書長)·전무관(典務官)·녹사(錄事)와는 달리 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