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재유고”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곤수(李崑秀)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서문‧발문이 없어 정확한 간행 연도를 알 수 없으나 정조 연간인 18세기 말기로 추정되고, 편자는 미상이다. [서지적 사항] 8권 3책. 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유학자 박봉혁(朴菶赫)의 시문집. [내용] 8권 3책. 석인본. 1936년 아들 종국(鍾國)과 문인 조상기(趙相紀)ㆍ박선규(朴善圭)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동석(奇東奭)의 서문과 권말에 박선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庸講說)」과 최익현과 문답한 「채산강설(茝山講說)」은 후학의 경전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훈적인 내용이 실려 있다. 용 조선 후기의 학자 강순(康洵)의 시문집. 용 조선 후기의 학자 강순(康洵)의 시문집. 진어농서 부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묘사한 「구석조왕승상(九錫朝王丞相)」 등이 있다. 관 조선 후기의 학자 홍계영의 시문집. 1721년(경종 1) 아버지 우채가 편집, 간행하였다. 규장각도서.

고서·고문서(1)

  • 박해량(朴海量)의 『율(聿稿)』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聿稿』는 6권3책의 활자본이다. 구성은 1권에 詩, 2권에 書, 3권 記, 跋, 說, 祭文,行錄, 4권 日記, 5권 講說, 6권 附錄으로 되어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詩는 56수로 勉庵 崔益鉉, 蘆沙 奇正鎭등 스승을 뵙고 난 느낌을 적은 시를 비롯하여 제주도와...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주제어사전(5)

  • / 稿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2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7.5×19.2cm이고, 반곽은 19.3×14.1cm이다. 판심제는 (稿)이다. 박봉혁(朴奉赫)이 지은 것으로, 서문(序文)은 丁未(1967)

  • / 謙稿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8.7×19.7cm이고, 반곽은 18.3×13.7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겸(謙稿)이다. 이홍기(李弘基)가 저술하였으며, 서문(序文)은 辛亥

  • / 觀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계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721년(경종 1) 아버지 우채(禹采)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세태(洪世泰)와 조의중(趙毅仲)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시 106수, 명 1편, 사

  • 희설 / 喜雪 [문학/고전시가]

    1704년(숙종 30) 홍계영(洪啓英)이 지은 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65행의 국한문 혼용으로 된 가사이다. 작자의 문집 『관(觀稿)』에 실려 있다. 눈이 내리는 광경의 아름다움을 완숙하고 화려하게 나타내었으나, 신선을 그리며 애상에

  • 홍계영 / 洪啓英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관』, 「희설」 등을 저술한 문인. 아버지는 우채(禹采)이며, 어머니는 조씨(趙氏)이다. 어린 시절부터 자질이 특출하여 8세 때 지은 「연적명 硯滴銘」은 널리 알려졌다. 문중에서 천리지구(千里之駒)주 01)를 얻었다고 기대하는 바가 컸으나 19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