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원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73)
사전(287)
- 수원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수도 방위를 목적으로 수원에 설치되었던 특수 행정구역. [내용] 조선왕조는 수도 방위를 위해 한성부 주변의 행정적‧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주‧부‧군‧현의 일반적인 행정 체계와는 별도로 특수 행정 체계로 유수부를 설치, 운영했다....
- 수원부(水原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수원부 수원부 水原府 경기(京畿) 쌍부현(雙阜縣), 용성현(龍城縣) 한남(漢南), 수성(隋城), 매홀(買忽), 수성(水城), 수주(水州)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 수원유수부(水原留守府), 화성(華城)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상위어경기(京畿) | 하위어쌍부현(雙阜縣), 용성현(龍城縣) | 동의어한남(漢南), 수성(隋城), 매홀(買忽), 수성(水城), 수주(水州) | 관련어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 수원유수부(水原留守府), 화성(華城)
- 양간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화성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인주(仁州: 지금의 仁川)에 속하였는데, 1418년(태종 18)수원부에 편입시켰다. 수원 남쪽 30리라는 기록이나 현재의 위치로 보아 당시에 양간처는 수원 내에 있는 인천의 비월지...
- 영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영신으로 이름을 바꾸어 수주(水州: 지금의 수원)에 속하였다가 뒤에 양성현(陽城縣)에 이속시켰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 때에는 수원부(水原府)의 속현이었다가 1433년(세종 15)진위현(振威縣)으로 이속시켰다. 조선시대에는 영신이 있던 곳이 내천(奈川)과 장호...이칭별칭오타(五朶)|영풍(永豊)
- 수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때 다시 수원부로 격하되었다. 1362년(공민왕 11) 홍건적 침입사건으로 다시 수원군으로 격하되었으나 군민의 노력으로 복구되었다. 1413년(태종 13) 도호부가 되었고 그 뒤 군ㆍ도호부ㆍ유수부 등을 거쳤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이칭별칭매홀군(買忽郡)|수성군(水城郡)
고서·고문서(1,061)
- 龍洞宮 (1731)_경기도 수원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42070 18295_0001 圭18295 龍洞宮 (1731)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41 41결 노 계손(戒孫 ) 노 계손(戒孫 )자료번호18295_0001 [圭18295]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龍洞宮 (1731)_경기도 수원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42071 18295_0002 圭18295 龍洞宮 (1731)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43 43결 노 계손(戒孫 ) 노 계손(戒孫 )자료번호18295_0002 [圭18295]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龍洞宮 (1731)_경기도 수원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42072 18295_0003 圭18295 龍洞宮 (1731)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30 30결 박일선(朴日善 ) 박일선(朴日善 ) 晋川君奴자료번호18295_0003 [圭18295]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龍洞宮 (1731)_경기도 수원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42073 18295_0004 圭18295 龍洞宮 (1731)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121 121결 박일선(朴日善 ) 박일선(朴日善 ) 晋川君奴 ...자료번호18295_0004 [圭18295]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龍洞宮 (1731)_경기도 수원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42074 18295_0005 圭18295 龍洞宮 (1731)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경기도 수원부 貞松面 12 12결 晋川君奴 무수(戊水) 晋川君奴 무수(戊...자료번호18295_0005 [圭18295]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
- 배짱으로 수원부사가 된 백씨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혼령이 자신의 원을 풀어달라는’ 이야기는 없는지 묻자 이 이야기를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0. 3. 20(토) | 조사장소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마지1리 봉수길 자택 | 제보자봉수길
신문·잡지(16)
- 羅漢駿(水原婦人商會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羅漢駿(水原婦人商會 ) 수원 羅漢駿 水原婦人商會 本町 2町目 83 - - 면/견포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羅漢駿(水原婦人商會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면/견포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本試驗塲 을擬設水原府矣러니仍設于西江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試驗塲 을擬設水原府矣러니仍設于西江前廣興倉內고春期學員을募集니願學人은陰三月晦內로來會應試事 農商工部蠶桑試驗塲게재일1906년 3월 30일 | 기사분류광고
- 本試驗塲을擬設水原府矣러니仍設于西江前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試驗塲을擬設水原府矣러니仍設于西江前廣興倉內고春期學員을募集니願學人은陰三月晦內로來會應試事 農商工部蠶桑試驗塲게재일1906년 3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 本試驗塲을擬設水原府矣러니仍設于西江前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試驗塲을擬設水原府矣러니仍設于西江前廣興倉內고春期學員을募集니願學人은陰三月晦內로來會應試事 農商工部蠶桑試驗塲게재일1906년 3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本試驗塲을擬設水原府矣러니仍設于西江前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試驗塲을擬設水原府矣러니仍設于西江前廣興倉內고春期學員을募集니願學人은陰三月晦內로來會應試事 農商工部蠶桑試驗塲게재일1906년 3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8)
- 경산 중소기업 제3연수원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시,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558㎡(약 7,400평) 경산 중소기업 제3연구원 신축으로 인한 긴급 시굴조사 조사지역인 연수원부지는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경산시 백천동 산 21-1, 147, 148번지로서 부지내는 대부분이 과수원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었으며, 동남쪽 일부분은 현재까지 묘지로...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 | 발굴지역경상북도
- 수원 고읍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판단된다. 탐색트렌치 굴착과정에서 노출된 적심석 2기는 고려시대 유구로 판단되는데 직경 2m, 중심부간 거리가 대략 360cm인 점으로 보아 수원부 관아의 중요건물이 이곳에 위치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 S1E1 탐색트렌치의 고려후기층에서 목탄층이 일정한 두께로 확인되...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화성군/한신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대무예가 사신을 보내 당으로 투항한 문예의 죄상을 알리고 죽이기를 청하다, 현종은 사신을 파견하여 대문예의 행방을 거짓으로 알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衛將軍 武藝尋遣使朝貢 仍上表極言門藝罪狀 請殺之 上密遣門藝往安西 仍報武藝云 門藝遠來歸投 義不可殺 今流向嶺南 已遣去訖 及留其使馬文軌䓤勿雅 別遣使報之 俄有洩其事者 武藝又上書云 大國示人以信 豈有欺誑之理 今聞門藝不向嶺南 伏請依前殺却 由是鴻臚少卿李道邃源復以不能督察官屬 致有漏洩 左...대표표제어대무예가 사신을 보내 당으로 투항한 문예의 죄상을 알리고 죽이기를 청하다, 현종은 사신을 파견하여 대문예의 행방을 거짓으로 알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26년(丙寅/신라 성덕왕 25/ 발해 무왕 仁安8/唐 玄宗 開元 14/日本 聖武天皇 神龜 3)
- 왜에서 소나갈질지가 가야로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授牛主 因以將來置于寢中 其神石化美麗童女 於是 阿羅斯等大歡之欲合 然阿羅斯等去他處之間 童女忽失也 阿羅斯等大驚之 問己婦曰 童女何處去矣 對曰 向東方 則尋追求 遂遠浮海以入日本國 所求童女者 詣于難波爲比賣語曾社神 且至豊國國前郡 復爲比賣語曾社神 竝二處見祭焉] (『日本書紀』 6 垂仁天...대표표제어왜에서 소나갈질지가 가야로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B.C.28년(癸巳/신라 혁거세거서간 30/고구려 동명성왕 10/漢 建始 5, 河平 1/倭 垂仁 2)
- 가야에서 보낸 소나갈질지(蘇那曷叱知)가 왜에 귀국을 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因以將來置于寢中 其神石化美麗童女 於是 阿羅斯等大歡之欲合 然阿羅斯等去他處之間 童女忽失也 阿羅斯等大驚之 問己婦曰 童女何處去矣 對曰 向東方 則尋追求 遂遠浮海以入日本國 所求童女者 詣于難波爲比賣語曾社神 且至豊國國前郡 復爲比賣語曾社神 竝二處見祭焉] (『日本書紀』 6 垂仁紀) 이...대표표제어가야에서 보낸 소나갈질지(蘇那曷叱知)가 왜에 귀국을 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B.C.28(癸巳/신라 혁거세거서간 30/고구려 동명성왕 10/漢 建始 5, 河平 1/倭 垂仁 2)
주제어사전(17)
-
수원부 / 水原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수도 방위를 목적으로 수원에 설치되었던 특수 행정구역. 조선왕조는 수도 방위를 위해 한성부 주변의 행정적·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주·부·군·현의 일반적인 행정 체계와는 별도로 특수 행정 체계로 유수부를 설치, 운영했다. 수원부는 1793년(정조 17) 개
-
별군관 / 別軍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수어청·총리청 등의 각 군영에 소속된 군직. 궁성의 순라(巡邏)를 담당한 군사이다. 정원은 각 10인씩이며, 수어청은 9인, 총리청은 100인이었다. 임용절차는 무재가 있는 한량이나 금군 중에서 차출하였으며, 수원부(水原府)의 총리영
-
이정보 / 李鼎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3∼1766). 173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수원부사·도승지·이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지평에 재임 중 시무십일조를 상소하는 등 여러 번 탕평책을 반대하다 면책받았다. 1762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
기전영지 / 畿甸營誌 [지리/인문지리]
의정부에서 수원, 춘천, 강화부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5년에 편찬한 지방지. 『기전영지(畿甸營誌)』는 1895년(고종 32)에 의정부(議政府)에서 편찬한 읍지로, 제1책 『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 제2책 『춘천지(春川誌)』, 제3책 『강화부읍
-
김시혁 / 金始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6∼1750). 김선여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득원, 아버지는 제용감봉사 김홍주, 어머니는 주서 남궁배의 딸이다. 1708년(숙종 34) 식년 병과 급제 후, 경종 대에 수원부사로 물러났다가 영조 때 정미환국 후 복직되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