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운판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
사전(53)
- 수운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경기도관찰사 예하에서 한강 수운을 담당하던 관직. [내용] 중앙의 전함사(典艦司)에 배속되어 선박의 건조나 수리 등의 일에도 참여하였다. 충주 가흥창(可興倉)에 기지를 둔 좌수운과 배천 금곡포창(金谷浦倉)에 기지를 둔 우수...
- 수운판관(水運判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수운판관 수운판관 水運判官 판관(判官) 해운판관(海運判官), 전함사(典艦司) 경제재정/전세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철성 세조대 1779년(정조 3) 전함사(典艦司) 정5품 [정의]상위어판관(判官) | 관련어해운판관(海運判官), 전함사(典艦司)
- 가흥창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는 일을 하였다. 이 곳에서 서울까지 수로로 260리였으며, 수운판관이 최고책임자였다. 이 창고의 크기는 1879년 당시 70여 칸이었으나, 육상교통의 발달로 창고는 폐허가 되고 흔적만 남아 있다.
- 봉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평촌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원. [내용] 이이(李珥)를 배향한 서원이다. 조선 중종 때 이이의 아버지 이원수(李元秀)가 수운판관(水運判官)으로 재직하면서 이곳에서 이이를 배태하였는데, 후세사람들이 이를
- 윤응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가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선생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39세 때에 학행으로 조정으로부터 동부참봉(東部參奉)을 제수받았으며, 성실하게 직책을 수행하여 1592년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이듬해 수운판관(水運判官)이 되었다.이칭별칭군빙(君聘)
고서·고문서(20)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1339 B01133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8年 4月 28日_022 ... 水運判官, 何敢偃臥京家? 漕運船, 今到近畿, 給津船, 其令卽詣領來爲敎, 而水運判官, 則自忠州來, 而水淺未及來, 漕運則海運判官領來, 而都事兼之矣。 上曰, 都事誰也? 思觀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629 B00962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8年 4月 28日_022 ... 水運判官, 何敢偃臥京家? 漕運船, 今到近畿, 給津船, 其令卽詣領來爲敎, 而水運判官, 則自忠州來, 而水淺未及來, 漕運則海運判官領來, 而都事兼之矣。 上曰, 都事誰也? 思觀曰, 都...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趙明履爲修撰, 吳彥胄爲兼弼善, 吳瑗爲工曹參議, 鄭義祥爲軍資主簿, 朴弼承爲水運判官, 申命式爲礪山府使, 林蘧爲富平府使, 韓蹇朝爲延豐縣監, 金尙魯爲吏曹佐郞, 金愼行爲掌樂僉正, 金重采爲 大靜縣監, 奉敎單李成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음현(江陰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許檍爲肅川府使, 金鉽爲獻納, 韓尙玄爲禮曹佐郞, 李興浡爲錦城縣監, 李幼洙爲司䆃主簿, 沈棇爲慶山縣令, 安鈸爲德川郡守, 李松齡爲瑞興府使, 辛喜道爲谷城縣監, 李恢爲金溝縣令, 李惟寅爲高山縣監, 鄭養爲右水運判官, 洪處尹爲正言, 禹尙中爲寧邊府使, 崔東亮爲引儀, 崔克亮爲司評, 吳挺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潚德川郡守, 尹求·柳景朋水運判官, 許澗綾城縣令, 李雄男蔚珍縣令, 任德後咸悅縣監, 洪濟南海縣監, 朴允章谷城縣監, 鄭鑮旌義縣監, 柳天根麒麟察訪, 李脩靑丹察訪, 李堪輿平陵察訪, 崔敬一銀溪察訪, 柳希載楊口縣監, 鄭宗吉咸昌縣監, 李德溥禮安縣監, 韓慶生玄風縣監, 崔應斗昌寧縣令,...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수운판관 / 水運判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기도관찰사 예하에서 한강 수운을 담당하던 관직. 중앙의 전함사(典艦司)에 배속되어 선박의 건조나 수리 등의 일에도 참여하였다.
-
강도일기 / 江都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어한명이 병자호란 당시에 작성한 일기. 1책. 필사본.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봉림대군(鳳林大君)과 인평대군(麟平大君) 등은 강화로 피란하였는데, 이때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이었던 필자가 갑곶진(甲串津)에서 강화까지 궁실을 보호
-
전선색 / 典船色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세조 때 군선과 조선을 관장하였던 관서. 조선 초기에 선박을 관리하는 기관을 처음에는 사수감이라 하였다가 사재감·사수색·수성전선색·전함사 등으로 명칭이 바뀌고, 1461년(세조 7)에는 한때 전선색이라고도 하였다. 관원으로는 조운을 관장하는 수운판관 2인과 해
-
정양 / 鄭瀁 [정치·법제/법제·행정]
뒤 의금부도사ㆍ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ㆍ수운판관을 역임하였다.
-
조세창 / 漕稅倉 [경제·산업/산업]
조운할 전세를 보관하는 창고. 초기의 조창은 아래 세주에 명기되었다. 그 가운데 황해도의 금곡포창과 조읍포창 등은 경기우도 수운판관이 겸하는 벽란도승의 관장 아래 수참선으로 전운되었다. 금곡포창은 배천군의 동쪽 20리에 소재하며, 배천·해주·연안·풍천·강령·옹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