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어청” 에 대한 검색결과 3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5)

사전(1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설치된 중앙 군영. [개설] 의 설치에 대해서는 ≪속대전≫에 1626년(인조 4) 남한산성을 수축해 청(廳)을 건설하고 광주(廣州) 등의 경기 진관을 적절하게 조절했다고 기록되었다. 그러나 축성 당시의 기록에서는 설청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군영의 하나로, 조선 후기에 남한산성을 지키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중앙 군영.
    정의오군영의 하나로, 조선 후기에 남한산성을 지키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중앙 군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ueocheong | MR표기Suŏ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겸별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에 편제되어 있던 관직. [내용] 정3품 무관직으로 여주목사 및 이천부사로 겸직하게 하였다. 별장은 용호영‧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 및 각 지방의 산성‧나루터 등에서 설치되어 있었으나, 별장의 겸직이 구체적으로 법...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영군문(五營軍門) 남한산성(南漢山城), 수어사(守禦軍), 속영체제(屬營體制)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인조~고종 윤훈표 인조 고종 [정의]
    상위어오영군문(五營軍門) | 관련어남한산성(南漢山城), 수어사(守禦軍), 속영체제(屬營體制)
  • 수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인조 때 남한산성을 개축하고 이를 수어하기 위해 설치한 ()의 종2품직 장관. [내용] 남한산성은 처음에는 삼남도검찰사(三南都檢察使)가 관리하였다. 그러나 정묘호란이 끝난 1628년(인조 6) 11월에 광주목사(廣州牧使)...

고서·고문서(234)

주제어사전(12)

  • /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에 설치된 중앙 군영. 의 설치에 대해서는 ≪속대전≫에 1626년(인조 4) 남한산성을 수축해 청(廳)을 건설하고 광주(廣州) 등의 경기 진관을 적절하게 조절했다고 기록되었다. 그러나 당시 기록에서는 설청한 사실을 찾아볼 수 없다.

  • 별군관 / 別軍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총리청 등의 각 군영에 소속된 군직. 궁성의 순라(巡邏)를 담당한 군사이다. 정원은 각 10인씩이며, 은 9인, 총리청은 100인이었다. 임용절차는 무재가 있는 한량이나 금군 중에서 차출하였으며, 수원부(水原府)의 총리영

  • 둔아병 / 屯牙兵 [경제·산업/산업]

    조선시대 둔전을 경작하는 남한산성의 소속 병사. 의 둔전은 1624년(인조 2)에 남한산성의 수축이 시작된 다음해에 심기원의 주관 아래 농사에 밝은 윤조원의 기용을 통하여 확보되기 시작하여 경기도·강원도·충청도 등지의 10개처에 산재하였다. 둔전의 소출

  • 기패관 / 旗牌官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 ≪대전회통≫에 의하면 훈련도감에 20인, 금위영에 10인, 어영청에 11인, 총융청에 2인, 에 19인, 그리고 강화도의 진무영(鎭武營)에 71인을 두었으나 시기에 따라 증감이 있었다.

  • 오군영 / 五軍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수도 및 그 외곽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다섯 군영. 임진왜란 이후 설치된 군영들로서 훈련도감·어영청·금위영은 수도를 직접 방어하는 중앙군영이며, 총융청·은 남한산성과 북한산성 등 수도 외곽의 방어를 담당하는 군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