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술관”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식(交飾) 계산 시험을 통해 우수한 자를 취해 임명하도록 했으며, 1770년(영조 46)에 을 설치했다. [내용] 정원은 삼력관과 천문학전함(天文學前銜)을 각각 6명씩(전체 12명) 하였다가 그뒤 6명으로 줄였다. 그 중 2명은 삼력관이 겸임하고,...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상감(觀象監), 역법(曆法) 삼력(三曆) 교식(交食), 월식(月食), 일식(日食) 문화과학/천문 직역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정성희 1770년(영조 46) 관...
    상위어관상감(觀象監), 역법(曆法) | 동의어삼력수술관(三曆修述官) | 관련어교식(交食), 월식(月食), 일식(日食)
  • 별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천문‧지리‧명과의 각 분야에는 또 () 6인, 상지관(相地官) 7인, 수선관(修選官) 6인이 구성되어 있었던바, 별선관들이 수습을 마치면 각기 이들 기성 전문직으로 승진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종 때부터 잡학의 생도들을 학관으로 부르는 관례가 있었으...
  • 추길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의 일은 삼력관(三曆官)과 ()의 예와 같이 했다. 청나라에 사행(使行)시 일관(日官)으로 삼력관과 추길관을 매년 번갈아 보냈다. 『서운관지(書雲觀志)』 『육전조례(六典條例)』
  • 추보관(推步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추보관 추보관 推步官 관상감(觀象監), 천문(天文) 대통추보관(大統推步官) 삼력관(三曆官), (), 역법(曆法), 월식(月食), 일과력(日課曆), 일식(日食), 칠정력(七政曆) 문화과학/천문 직역 대한민국 조선...
    상위어관상감(觀象監), 천문(天文) | 동의어대통추보관(大統推步官) | 관련어삼력관(三曆官), 수술관(修述官), 역법(曆法), 월식(月食), 일과력(日課曆), 일식(日食), 칠정력(七政曆)

고서·고문서(1)

  • 李太王實錄資料 2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全泰善을 보내 交食法을 질정해 올 것을 청하는 觀象監의 啓를 윤허한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314)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2. 06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3)

  • / [과학기술/과학기술]

    영조 46)에 을 설치했다. 정원은 삼력관과 천문학전함을 각각 6명씩(전체 12명) 하였다가 그뒤 6명으로 줄였다. 그 중 2명은 삼력관이 겸임하고, 4명은 전함에서 임명하였다.

  • 추보관 / 推步官 [과학기술/과학기술]

    , 추보관은 내편법을 관장했다. 1791년(정조 24)에는 추보관을 감하고 ()으로 하여금 내편을 겸장하게 했다. 정원은 10명이다.

  • 삼력관 / 三曆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생도와 과명이 있는 자를 시험하여 임명, 1766년(영조 42) 추보관, 별선관 외에는 응시하지 못하게 하였다. 1787년(정조 11) 이후에는 만 응시하여 삼력관의 전문성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