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문장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6)
- 수문장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수행하는 체계는 잡혀 있지 않았다. 그 뒤 영조 때에 편찬된『속대전』에 이르면, 수문장을 정직(正職)으로 삼아 관원을 두고 관청을 설치함으로써 종6품아문으로서의 수문장청이 정식으로 등재되는데, 이것은 궁궐의 수위체계가 강화, 정립되는 것을 뜻한다. 그...
- 수문장청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에 궁궐문의 수위(守衛)를 맡은 수문장들이 소속된 관청.정의조선시대에 궁궐문의 수위(守衛)를 맡은 수문장들이 소속된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umunjangcheong | MR표기Sumunjang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수문장청(守門將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수문장청 수문장청 守門將廳 수문장(守門將)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오종록 1894년(고종 31) [정의] 조선후기에 수문장(守門將)들이 소속되어 있던 관청....관련어수문장(守門將)
- 군무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직청(軍職廳)‧용호영(龍虎營)‧기기국(機器局)‧선전관청(宣傳官廳)‧수문장청(守門將廳)‧부장청(部將廳) 등의 관장업무를 포함하여, 전국 육해군정을 통할하는 부서였다. 직제의 구성은 대신 1인, 협판(協辦) 1인을 두고, 그 아래 총무국을 비롯하여 대내소예(大內...이칭별칭군부
- 수문장(守門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수문장 수문장 守門將 궁성수문장(宮城守門將) 경관직(京官職), 무관(武官), 무장(武將) 수문군(守門軍) 왕궁수문장(王宮守門將) 부수천(部守薦), 선부수삼천(宣部守三薦), 수문군(守門軍), 수문장청(守門將廳), 수천(守薦), 운검차비(雲劒...상위어경관직(京官職), 무관(武官), 무장(武將) | 하위어수문군(守門軍) | 동의어왕궁수문장(王宮守門將) | 관련어부수천(部守薦), 선부수삼천(宣部守三薦), 수문군(守門軍), 수문장청(守門將廳), 수천(守薦), 운검차비(雲劒差備)
고서·고문서(4)
- 3 第三統統首韓承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本慶州父正兵戒生 祖正兵得甫曾祖正兵斤貴外祖正兵金石乙伊本金海率父石乙年捌拾參甲申率 子兵營旗手軍太外年拾玖戊子率子富平驛吏保太先年貳拾肆癸卯未率 女自隱連今故等癸卯戶口相准 第四戶 府案付主鎭騎保朴命得年參拾捌己巳本密陽父正兵宗益祖軍功守門將靑立 曾祖嘉善大夫進必外祖軍守門將李日男本慶州妻宋召史...연도_면이름1726년_미상 | 면이름미상 | 마을이름第九新里坊
- 8 第八統統首金海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密陽父業武命得祖正兵宗益曾祖守門將靑立外祖宋戒良本懷德妻朴召史年肆拾貳甲辰本密 陽父業武今同祖業武玉立曾祖正兵完石外祖夫之率女召史年拾伍辛未率母宋召史年柒拾壹乙亥等壬午戶口相准 第四戶 舟師旗牌官鄭奉太年參拾參癸丑本迎日父良人時石乙祖良人戒還曾祖加音山外祖張九希本仁同妻金召史年參拾捌戊申本金海 父...연도_면이름176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十五長生浦里
- 6 第六統統首李天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第二戶 主鎭軍朴殷守年肆拾捌辛丑本密陽父業武命得祖正兵宗益曾祖守門將靑立外祖宋戒良本懷德妻朴召史年肆拾伍 甲辰本密陽父業武今東祖業武玉立曾祖正兵元石外祖不知率母宋姓年柒拾肆乙亥率女年拾貳丁丑等乙酉相准 第三戶 舟師旗牌官鄭鳳泰年參拾玖庚戌本延日父良人是石乙祖業武戒還曾祖正兵加音山外祖張九希本仁...연도_면이름1768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十六長生浦里
- 兵曹參判柳公【誼】遺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kr/inLink?DCI=ITKC_MP_0597A_0170_060_0060_2014_003_XML 003 公爲兵曹郞,巡夜至崇禮門,旣審封鑰,受守門將名銜訖,回馬到水閣橋,還至門拿入守門將,數之曰:“我點檢爾,爾何不點檢我耶?故事監軍到門,守門將請見巡牌,所以備非常,爾何不請見耶...권차명文集 卷十七 | 문체傳記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수문장청 / 守門將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궐 문의 수위를 맡아보던 수문장들이 소속되었던 관서. 수문장청은 종6품의 수문장 5인과 종9품의 수문장 18인 등 모두 23인이 소속되도록 규정되었는바, 그들 가운데 5과는 중인이나 서얼이 허통되는 자리였고, 1과는 금군 중에서 도목 때마다 취재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