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륙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2)
사전(165)
-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륙재의 기원과 의식절차에 대한 것을 모은 책. [내용] 편자 연대 미상이다. 1562년(명종 17) 쌍봉사(雙峯寺) 간행 목판본, 1565년 3월 가야산 보원사(普願寺) 개판 목판본, 1571년(선조 4) 3월 전라도 강진 월출산 무위...
- 수륙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게 한다고 하여 크게 융성하였다. 송나라 때에는 희령 연간(熙寧年間)에 동천(東川)이 ≪수륙문 水陸文≫ 3권을 다시 지어 이를 널리 보급함으로써 수륙재가 크게 성행하게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수륙재가 행하여진 것은 고려 때부터이다. 광종 때에 때때로 성대히 열린...
- 수륙재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일반용어 사 수륙재 ☞ 감로탱대분류일반용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수륙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불교에서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과 아귀(餓鬼)를 달래며 위로하기 위하여 불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푸는 종교의식.정의불교에서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과 아귀(餓鬼)를 달래며 위로하기 위하여 불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푸는 종교의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uryukjae | MR표기Suryukch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수륙재(水陸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수륙재 수륙재 水陸齋 수륙회(水陸會) 국행수륙재(國行水陸齋), 국행수륙전(國行水陸田) 문화종교/불교 의식 행사 대한민국 고려~조선 김자운 봄·가을, 국상 [정의] 불가(佛家)...동의어수륙회(水陸會) | 관련어국행수륙재(國行水陸齋), 국행수륙전(國行水陸田)
고서·고문서(13)
-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견암사(見庵寺)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687 B020687 견암사 見庵寺 문화 太宗實錄 十四年(1414) 二月 태종실록_11402006_002 ○命李灌傳旨曰: “觀音窟津寬寺、臺山上元寺、巨濟見庵寺, 行每年二月十五日水陸齋, 今後行於正月十五日以爲式。”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황해(黃海)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36335 B236335 황해 黃海 바다 文宗實錄 二年(1452) 三月 문종실록_10203027_005 ○京畿觀察使啓: “近京州縣, 疾病死亡者頗多, 請使人救療。” 上曰: “前者欲治黃海之病, 設水陸齋, 衆皆非之, 然此事不可不預防。” 遣承旨朴仲孫, 以設水陸, 問于安平大...출처전거文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아이를 돌보면서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먹고 길을 나서 해인사에 가까스로 도착했는데, 수륙재(水陸齋)는 이미 끝나 있었다. 주지승 원오(圓悟)를 만났는데, 그가 다과를 내어 대접했다. 저문 후에 밥을 내주기에 이를 먹고 잠자리에 들어 쉬었다. 쌍운당(雙運堂)에서 잤는데, 몽정이 함께 유숙했다. 현희(玄曦)‧...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노량(露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之是日三更公於船上跪祝于天曰今日固決死願天必殲此賊祝罷自領銳師先進露梁十九日四更賊圍都督甚急公直前救之手自擊鼓忽中丸而仆臨絶顧謂麾下曰諱言我死勿令驚軍都督聞公死顚倒於船者三曰無可與有爲者南民聞公之喪奔走巷哭湖南寺僧爲李忠武公舜臣設齋無山不擧有慈雲者隨公陣中常將僧軍頗立功公歿之後以米六百石大設水陸齋於...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정읍 무가 조사(전명자 대담)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대한 증언이 담겨져 있다. 2) 음질 상 도신 안택 씻금 오구씻금 넋맞이 수륙재 어정 공관 신의성방 앉은반 덩덕궁이 살풀이 중모리 염불 굿거리 중중모리 잦은염불 신임장단 외장구 무속음악 1985-02-23 서울특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전명자
기초학문(2)
- 조선 태조 4년 국행수륙재 설행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7687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조선 태조 4년 국행수륙재 설행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하늘’의 얼굴, 그 내재성과 역동성-호남지역 세습무 전금순의 ‘무속수륙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영배, 게재일 : 201141244 이영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교민속학회 2011 ‘하늘’의 얼굴, 그 내재성과 역동성-호남지역 세습무 전금순의 ‘무속수륙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1)
- 제경회요(諸經會要) 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이나, 冊의 형태는 線裝本이며, '華嚴品目會要'와 '天地冥陽水陸齋儀疏방文牒節要'가 合本되어 있음 書名은 版心題에 依함 2. 合本: 諸經會要 + 華嚴品目會要 + 天地冥陽水陸齋儀疏방文牒節要 전남대학교도서관 홈페이지 송광사고문헌 검색 홈페이지대표표제어제경회요(諸經會要) 7 | 대표서명諸經會要 | 한글서명제경회요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60)
-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32, 2017) - (논문)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 -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 중심으로-(불교문예연구9, 2017) - (논문) 불교에서의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32, 2017) - (논문)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 -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 중심으로-(불교문예연구9, 2017) - (논문) 불교에서의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32, 2017) - (논문)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 -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 중심으로-(불교문예연구9, 2017) - (논문) 불교에서의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32, 2017) - (논문)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 -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 중심으로-(불교문예연구9, 2017) - (논문) 불교에서의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32, 2017) - (논문)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 -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 중심으로-(불교문예연구9, 2017) - (논문) 불교에서의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주제어사전(8)
-
수륙재 / 水陸齋 [종교·철학/불교]
불교 의식의 하나. 물이나 육지에 있는 외로운 영혼과 배고픈 귀신에게 불교의 교법과 음식을 공양하는 법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971년 수원 갈양사에서 혜거국사가 처음 시행하였다. 이후 조선시대에와서 크게 성행하였다. 현재는 뭍에서 행해지지는 않고 강이나 바다에서 시행되
-
예수재 / 預修齋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살아 있는 사람의 사후를 위하여 공덕을 쌓는 종교의식. 49재나 수륙재(水陸齋)가 죽은 자의 명복을 빌고 그 고혼이 극락왕생할 수 있도록 하는 불교의식인 데 반하여, 예수재는 살아 있는 동안에 공덕을 미리 닦아, 사후에 지옥 등 고통의 세계에 떨어지지 않고
-
고양 원각사 수륙무차 평등재의 촬요 / 高陽圓覺寺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종교·철학/불교]
서흥 자비령사에서 수륙재의 제반 의식에 필요한 절차를 정리하여 1490년에 간행한 의례서.불교의례서. 이 책은 물과 뭍에서 살다 죽은 무주고혼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지내는 의식과 절차를 기록한 것이다. 수륙재는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과 아귀를 위로하기 위해
-
범패 / 梵唄 [종교·철학/불교]
불교의례에서 공연되는 음악. 넓은 의미의 범패는 성악, 기악, 무용 등의 불교음악을 전부 종합한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범패를 성악에 한정하여 이해하고 있다. 범패는 예수재, 수륙재 등과 같은 불교 고유의 의례에서 공연된다.
-
봉황대 / 鳳凰臺 [문학/고전산문]
일반적인 영웅소설에서처럼 천축국 백운암 도승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봉황대」에서는 유대국 백운동에서 ‘하나님께 기도하고 경배를 일삼는 사람’으로 바뀌어 있다. 또한 「이대봉전」에서는 애황이 어릴 때 정혼한 이대봉과 그의 부친을 위해 수륙재(水陸齋)를 올리는 데 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