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록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23)
- 수록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의빈계(儀賓階) 정1품 상계(上階)의 위호(位號). [내용] →의빈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朝鮮初期) 양반(兩班) 연구(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 「朝鮮初期の文武散階...
- 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의빈부(儀賓府)의 작호(爵號). [내용] 왕이나 왕세자의 사위인 부마들에게 주는 명예직으로 정1품에서 종2품까지 4종이 있었는데 각기 수록대부(綏祿大夫)‧성록대부(成祿大夫)‧광덕대부(光德大夫)‧숭덕대부(崇德大夫)의 의빈계(儀賓階...
- 홍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466년(세조 12)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혼인하여 당양위(唐陽尉)에 봉하여지고 세조의 사랑을 받아 도총관이 되었다. 연산군 초에 수록대부(綏祿大夫)가 되었다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 함평으로 유배되었다가 가까운 안성으로 옮겨졌으며, 다...이칭별칭 자강(子剛)| 소이(昭夷)
- 이백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大匡輔國崇祿大夫)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에 봉하여지니 부마를 부원군으로 봉하기는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1422년에 진하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50년에 수록대부(綏祿大夫) 청평위(淸平尉)가 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부마들 중에서 청렴하고 근면하다고 일컬어졌...이칭별칭 정절(靖節)|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청평위(淸平尉)
- 상보국숭록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산계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와 보국숭록대부의 상하계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친‧의빈계는 상하의 구분 없이 상보국숭록대부만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조선 초기의 종친계인 현록대부(顯錄大夫)‧수록대부(綏祿大夫), 그리고 의빈계인 흥록대부(興祿大夫)‧...
고서·고문서(1)
- 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謚忠僖公墓誌銘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三 潘南朴趾源美齋著 孔雀舘文稿○墓誌銘 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謚忠僖公墓誌銘 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謚忠僖公墓誌銘 三從…誌銘 : 이 제목이 ‘산4’에는 ‘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謚忠僖朴公墓誌銘 并序’로 되...대표표제어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謚忠僖公墓誌銘 | 목차孔雀舘文稿○墓誌銘
주제어사전(3)
-
수록대부 / 綏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빈계 정1품 상계의 위호. 1447(세종 26) 7월에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가 부마부(駙馬府)로 개칭되고 부마(駙馬)에게 정1품에서 종3품에 이르는 품계명을 정하여 주면서 의빈문산계가 정비되었다.
-
위 / 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빈부의 작호. 왕이나 왕세자의 사위인 부마들에게 주는 명예직으로 정1품에서 종2품까지 4종이 있었는데 각기 수록대부·성록대부·광덕대부·숭덕대부의 의빈계가 주어졌다. 이들 의빈은 국초에는 정치에 관여하였으나 태종대부터 정치에의 참여가 많이 제한되었다. 따라
-
정일품 / 正一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종친계의 정1품 상·하계로 현록대부·흥록대부가 신설되었다. 또한, 의빈계는 1444년 7월 수록대부·성록대부가 제정되었다. 그런데 1865년(고종 2)부터 종친계와 의빈계의 정1품 관계명이 상보국숭록대부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