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9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717)
사전(3,762)
- 수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장흥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백제의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마읍(馬邑)으로 고쳐 보성군의 영현을 삼았다. 940년(태조 23) 수령으로 고쳐 영암군에 귀속시켰다가 현종 때장흥부...이칭별칭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마읍(馬邑)
- 수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는 백성들이 모두 수령이라 부른다 하였다. 수령은 발해에서 일본에 보낸 사절단의 구성원에 다수가 보인다. 841년의 사절단의 경우, 뱃사공을 제외한 77명 중 62명이 수령이라는 직함을 띠고 있었다. 이들 수령은 주로 발해의 각 지방에 있던 토착 말갈족 마을의...
- 수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05현을 설치했는데, 이것은 통일 전의 군과 촌(村 또는 城)을 개편한 것으로 군에는 태수(太守), 현에는 현령(小縣에는 少守)을 중앙에서 파견하였다. 고려 초기에는 지방에 수령이 파견되지 못하고 호족(豪族)들의 자치에 맡겨져 있다가 983년(성종 2)에 최초로...
- 수령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최수성이 가족을 이끌고 내려와 학문을 닦으며 마을의 풍속이 크게 변해 집집마다 효자와 충신이 넘치자 기뻐한다. 그리고 수성이 있는 마을을 포함하여 인근 마을도 요역을 면제해 준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은 그 마을을 제역동(除役洞)이라고 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수령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조선시대 주(州)‧부(府)‧군(郡)‧현(縣)의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의 총칭.정의고려‧조선시대 주(州)‧부(府)‧군(郡)‧현(縣)의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의 총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uryeong | MR표기sur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논문(1)
- 발해의 지방지배와 중개무역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윤재운 | 게재정보 : 한국사학보
고서·고문서(6,407)
- 김수령새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536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김수령새 〈ad〉慶南南海郡任浦面四一五〈/ad〉 〈in〉孔日東君報〈/in〉 〈#229〉 아우에라 들 남게 김수령 새가 안자 불너나네 불너내네 서울에로 불너내네 낸들사 네 탓인가 낸들사구분창가
- 책수령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책수령 맹 남자 강원도 철원군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신화가(新华亍) 6조 33호 2 1 책수령, 간...대표표제어책수령 | 성씨맹
- 分水嶺(성경)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문종실록 7권, 문종 1년 4월 4일 임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문종실록 문종 1년 4월 4일 임신(1451) 1451 分水嶺(성경) 平安道 唐人 婆猪江 分水嶺 八渡河 외교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分水嶺(성경)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明實錄』 憲宗純皇帝實錄 卷三十六 成化二年 十一月 二十九日 2번째기사 『明實錄』 憲宗純皇帝實錄 成化二年 十一月 二十九日(1466) 1466 分水嶺(성경) 毛憐 分水嶺 鳳凰山 遼東 鐵嶺 廣寧출처전거『明實錄』 憲宗純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分水嶺(성경)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卷之三百五十三 光緒二十年 十一月 二日 11번째기사 『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光緒二十年 十一月 二日(1894) 1894 分水嶺(성경) 連山關 分水嶺 군사 又諭·電寄李鴻章等.李鴻章裕祿電奏均悉....출처전거『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18)
- 수령(守令)의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 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1-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 제보자백기순
- 수령령(授令嶺)고개(혜음령 이칭)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의 이야기가 혜음령과 관련되었으므로, 제보자에게 혜음령 고개에 대한 명칭 의미를 물었다. 하지만 제보자는 그것은 잘모르겠다고 하면서, 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 이야기는 혜음령의 이칭인 수령령(授令嶺)의 유래에 관한 것인데, 갑자기 ‘수령령(授令嶺)’이라는 명칭...조사일시2010. 2. 2(화) | 조사장소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1리 양지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박종윤
- 염제와 황제의 다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태양을 잡으러 간 화부〉 이야기를 마친 뒤, 주경옥씨가 컴퓨터를 켜달라고 다시 요청을 하였다. 잠시 확인한 후, 어릴 적 들었던 이야기여서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며 확인 후 이야기를 다시 시작하였다. 옛날에 적제, 열싼씨, 신농씨라고도 불리던 염제는 강씨 부락의 수령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주경옥 [중국(한국계), 여, 197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박초선 춘향가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지고 보고지고\"라는 사설에서 끝남.B면 \"질러 놓은 것이 상방에 사또 들으시고 깜짝 놀래어 이리오너라\"라는 사설에서 시작함. \"둥둥 내 사랑 둥둥 내 사랑 도련님을 업고 보니 각읍 수령을 업은 듯 팔도 감사를 업은듯\"라는 사설에서 끝남.소리 박초선 북 김명환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초선 춘향가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지고 보고지고\"라는 사설에서 끝남.B면 \"질러 놓은 것이 상방에 사또 들으시고 깜짝 놀래어 이리오너라\"라는 사설에서 시작함. \"둥둥 내 사랑 둥둥 내 사랑 도련님을 업고 보니 각읍 수령을 업은 듯 팔도 감사를 업은듯\"라는 사설에서 끝남.소리 박초선 북 김명환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초선
기초학문(14)
- 백인준의 수령형상화와 계급성 논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영선, 게재일 : 200943614 전영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남북문화예술학회 2009 백인준의 수령형상화와 계급성 논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북한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수령 형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양희, 게재일 : 200407892 김양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교육학회 2004 북한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수령 형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조선후기 충청감사와 청주수령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8858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연구회 2004 조선후기 충청감사와 청주수령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수령독재 하에서 권력과 이권을 둘러싼 갈등 동학 그리고 장성택 숙청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형중, 게재일 : 201467315 박형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북한연구학회 2014 수령독재 하에서 권력과 이권을 둘러싼 갈등 동학 그리고 장성택 숙청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고려 후기~조선 전기 수령 중심 군현 편제의 전개와 연속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요근, 게재일 : 201717386 정요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제연구소 2017 고려 후기~조선 전기 수령 중심 군현 편제의 전개와 연속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2,984)
- 花鬪守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슈유상경야 두류 각군슈에게 륜회훈령야 최쵹하송말은 이왕긔엿거니와 부령이 그훈령을 각 군슈에게돌니고 셩명밋헤 도쟝을밧데 즁셔동곡거는 안악군슈 윤쥬영씨 화투를 버렷데 령이 독쵹즉 윤군슈가 일쟝호령며 이 화투가 공보다 뎨일급니 도쟝...게재일1906년 8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頑陋守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령남의언으슈령 슈구 고고 슈구에 슈구로다날마다공동달이흥슈입고머리에모쓰고 하례향교알셩슌망으로 참여 젼후관속긔구잇계 벽졔셩이대단니 그긔구 그셔실에 셩이살슈업셔 관찰셔라도 이직기 소원인데 그군슈 가기슬혀돈을쥬고 병식혀 부에원류로셰 금년봄그...게재일1906년 3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守令可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외방각군수령들이 상납밧 대야 악화이오 졍젼이업셔셔 공젼을수새수 업다 보고가답지은 다알거니와 려항젼셜을들은즉 탁지에셔 부임러가 수령에게 동화갑을병삼죵으로 셰식주며 갑죵은 신화 이젼오리리오 을죵은 일젼에뎍탕고 병죵은 불용건이니 그로 알아지라...게재일1905년 10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守令擇差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각각부부원쳥으로 통쳡하기 수령을방금 됴용터이니 각기 마을쥬판임관즁구근쟈로 이인식 공쳔하면 본부에셔 일명식 차하야 쥬본한다 하엿다더라게재일1904년 10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守令規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쳐분을 봉승야 군슈의 도임것과 과만 긔한 규측을 다시 뎡엿데 군슈를 셔임지 일삭이 지나도록 부임치 아니면 부대신이 비직으로 쥬본야 면징계가 된후에야 도임계고 과만은 십륙삭으로 작뎡얏 의졍부에셔 부로 죠회기를 각군슈가 과만젼에 쳔젼된...게재일1903년 6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0)
- 적 대칭 구조 4. 신정정치: 북한 김일성 초상화에 드러나는 얼굴의 권력 5. 세습권력: 김정일-김일성 이미지 유사성과 차별화 6. 사회정치적 생명체: 북한 인민의 환영적 신체 7. 수령 형상 창조 원칙: 지도자와 인민의 정치적 관계 8. 주체사실주의: 신화적-초현실적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1차시
- 적 대칭 구조 4. 신정정치: 북한 김일성 초상화에 드러나는 얼굴의 권력 5. 세습권력: 김정일-김일성 이미지 유사성과 차별화 6. 사회정치적 생명체: 북한 인민의 환영적 신체 7. 수령 형상 창조 원칙: 지도자와 인민의 정치적 관계 8. 주체사실주의: 신화적-초현실적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2차시
- 적 대칭 구조 4. 신정정치: 북한 김일성 초상화에 드러나는 얼굴의 권력 5. 세습권력: 김정일-김일성 이미지 유사성과 차별화 6. 사회정치적 생명체: 북한 인민의 환영적 신체 7. 수령 형상 창조 원칙: 지도자와 인민의 정치적 관계 8. 주체사실주의: 신화적-초현실적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3차시
- 적 대칭 구조 4. 신정정치: 북한 김일성 초상화에 드러나는 얼굴의 권력 5. 세습권력: 김정일-김일성 이미지 유사성과 차별화 6. 사회정치적 생명체: 북한 인민의 환영적 신체 7. 수령 형상 창조 원칙: 지도자와 인민의 정치적 관계 8. 주체사실주의: 신화적-초현실적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4차시
- 적 대칭 구조 4. 신정정치: 북한 김일성 초상화에 드러나는 얼굴의 권력 5. 세습권력: 김정일-김일성 이미지 유사성과 차별화 6. 사회정치적 생명체: 북한 인민의 환영적 신체 7. 수령 형상 창조 원칙: 지도자와 인민의 정치적 관계 8. 주체사실주의: 신화적-초현실적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5차시
기타자료(471)
- 교원연수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원연수령 교원연수령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원 재교육 관보 대통령...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대통령령
- 교원연수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원연수령 교원연수령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원 재교육 관보 대통령...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대통령령
- 교원연수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원연수령 교원연수령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원 재교육 관보 대통령...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대통령령
- 교원연수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원연수령 교원연수령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원 재교육 관보 대통령...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대통령령
- 교원연수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원연수령 교원연수령 교육 문헌 교육법령 법령안 교원 재교육 문서 문교부장...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문교부장관
연구과제(1)
-
9세기대 발해의 지방 지배 방식 사례 연구 - 연해주 지역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양시은 | 충북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주제어사전(213)
-
수령 / 守令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주·부·군·현의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의 총칭. 수령의 임무는 권농·호구 증식·군정·교육 장려·징세 조역·소송 간평·풍속 교정이었으며, 수령의 하부 행정 체계로서는 향리와 면리임(面里任)이 있고, 자문 및 보좌 기관으로 유향소(留鄕所)가 있
-
수령 / 遂寧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장흥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마읍(馬邑)으로 고쳐 보성군의 영현을 삼았다. 940년(태조 23) 수령으로 고쳐 영암군에 귀속시켰다가 현종 때 장흥부(長興府)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말기 왜구의 침
-
수령정사 / 守令呈辭 [정치·법제]
어느 고을의 수령이 관찰사에게 노친의 시병 및 자신의 신병 등을 이유로 체직을 요청하는 정사. 먼저 피폐한 고을을 소생시킴에는 방법이 없지 않으나 3~5년의 세월이 소요됨을 말하고 나서, 자신의 처지와 신병 등을 진술하면서 귀양 및 조리의 편의를 위해 체직하여 줄 것
-
마식령 / 馬息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咸鏡南道) 문천군(文川郡) 풍산면과 문천면 사이에 있는 고개. 마식령의 동남쪽에 있는 철령이 서울을 비롯한 영서지방과 관북지방을 연락하는 교통의 요지라고 한다면, 마식령은 관북지방과 평안남도의 동부지역 및 황해도 등의 관서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였다. 특히
-
비장 / 裨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감사·절도사 등 지방장관이 데리고 다니던 관료. 조선 후기에는 의주·동래·강계·제주의 수령 및 방어사를 겸한 모든 수령들이 비장을 거느리는 것을 관례화하였다. 감사나 절도사 등은 수령에 대하여 연명(延命)의 예를 비장으로 하여금 대신하게 한다든가, 민정에